주변분들이 우리 광명시 대기상태가 안 좋다라는 이야기를 하곤 합니다...저역시 가끔 타는 냄새에 누군가
불법으로 소각을 하고 있구나라는 생각을 하곤 했는데...우연히 경기개발연구원의 연구 보고서인
'수도권 대기오염에 의한 건강 위해 취약지역의 평가' 를 알게 된 후 놀라지 않을수가 없었습니다...
내용은 우리 광명 시민중 취약계층인 노약자와 어린이에게 기관지염과 같은 대기오염에 의한 질병이
늘어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그렇다면 원인과 해결책이 어디 있는지를 알아볼 필요가 있어서 광명시 민원 게시판에 글을 올린 다음
담당자와 통화를 했을 때 그 담당자도 놀라움을 금치 못한다는 말씀을 하시더군요...
전혀 뜻밖이었다는 말씀을 하시면서 자세한 내용을 파악해 보겠다는 답변으로 마무리를 했습니다만...
앞으로 우리 환경에 대해 주의 깊게 살펴 보시면 좋겠습니다...그리고 민원 글의 전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광명시 대기질 24시간 감시체제 구축
작성자 | jhin05 | 작성일 | 2014.12.30 |
---|
내용 | 경기개발연구원의 연구보고서인 '수도권 대기오염에 의한 건강위해 취약지역의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대기오염 관련 질병 취약계층 발생 현황에서 광명시가 높은 발생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시흥시 > 하남시 > 인천시 옹진군 > 광명시 > 인천시 동구 > 서울시 구로구 순임...
시.군.구별 대기오염 관련 질병별 발생 현황에서도 기관지염 발생 비율로 분석해보면, 화성시 > 시흥시 > 오산시 > 수원시 > 광명시 > 인천시 남동구 순임...
이외 대기오염에 의한 건강위해성 취약지역 분석에서도 광명시가 높은 대기오염 취약지역으로 분류가 되어 있는데, 원인은 어디에 있었는지 그리고, 해결 방법은 무엇인지 궁금하며, 우리시의 대기질 오염도를 구간별로 24시간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 주시기를 고대합니다.
특히, 광명시 자원회수시설(쓰레기 소각장), 기아자동차 오폐수, 소하동 재활용센터의 소각로, 아파트 단지의 보일러실 굴뚝에서의 매연 방지 및 감시센서등으로 주민에게 실시간 안내 시스템을 구축하여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첨부파일 | |
---|
답변내용
담당부서 | 환경관리과 | 담당자 | 최평균 |
---|
답변일 | 2015.01.02 | 전화번호 | 02)2680-2288 |
---|
답변내용 | ○ 우리시 대기질 개선에 관심을 갖고 시정에 참여해 주신 귀하께 감사드립니다.
○ 우리시는 철산로 32 농협건물, 소하로 25 소하1동 주민센터 옥상에 설치된 대기오염측정소에서 측정(24시간)된 대기 오염도를 시 홈페이지 및 시민회관 앞 전광판에 실시간으로 표출하고 있으며, 또한 대기오염도 세부사항은 시 홈페이지 생활복지 ⇒ 환경/청소 ⇒ 대기오염 정보센터를 통해 시민들에게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으며, 우리시 대기질 오염도는 경기도 31개 시?군 중 중간 정도에 해당됨을 알려드립니다.
○ 우리시의 대기오염물질 다량 배출업소인 기아자동차와 자원회수시설(소각장)은 24시간 연속으로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TMS가 설치되어 환경기준을 준수하고 있으며, 또한 아파트 단지는 청정연료(도시가스) 사용과 저녹스버너 교체사업 추진으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감소하고 있으며,
○ 아울러 초미세먼지(PM2.5) 측정기 설치, 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사업, 친환경자동차 보급사업, 대기오염물질 배출 총량제 등 대기환경 개선 대책을 적극 추진할 계획임을 알려드립니다.
○ 답변내용과 관련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시면 시청 환경관리과(02-2680-2288)로 전화주시면 친절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 답변자 환경관리과장 이광수, 담당자 최평균. |
---|
첨부파일 |
---|
수도권대기오염에의한건강위해취약지역의평가-김동영.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