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둥근해가 떴습니다 자리에서 일어나서. 제일먼저 이를 닦자 윗니 아랫니 닦자
세수할때는 깨끗이 이쪽저쪽 목닦고. 신묘년 새로운 시작입니다.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산토끼 토끼야 어디를 가느냐/ 깡총 깡총 뛰면서 어디를 가느냐/ 산고개 고개를 나혼자 넘어서/ 토실토실 알밤을 주워 올테야' 신묘년 (辛卯年) 토끼해를 맞아 국민 동요 '산토끼' 이 노래는 일제 강점기였던 1928년 창녕군 이방면 안리에 있는 이방보통학교에 재직하던 고(故) 이일래(1903~1979) 선생이 작사, 작곡한 것입니다.
산토끼 반대말??
끼토산. 집토끼. 죽은 토끼. 바다 토끼. 판 토끼. 알카리 토끼.
56. 레닌은 왜 독일과 불평등조약을 체결했나?
1차 대전은 1918년 11월 독일의 항복으로 끝났다. 하지만 엄청난 인적, 물적 피해를 낳은 최초의 세계 대전. 1918년 3월 신생 소비에트는 독일과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을 맺고 강화했던 것이다. 그런데 이 조약의 내용은 소비에트로서는 매우 가혹하고 굴욕적인 것이었다. 강화의 조건으로 상당 부분의 영토와 배상금을 독일에 제공해야 했다. 소비에트는 왜 이런 조약을 맺을 수밖에 없었던가?
러시아의 2월 혁명(신력으로는 3월 혁명)은 “빵을 달라”라는 요구로 시작되었다. 1917년 2월 23일 국제 여성의 날 페트로그라드의 여성들이 “빵을 달라!”,“우리 아이가 굶주린다!”라고 외치며 거리 행진을 했다. 여기에 공장에서 일손을 놓은 노동자들이 합세하여 사태는 점점 커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시위대의 주장도 “빵을 달라”에서 “차리즘 타도”, “전쟁 중지”, “평화와 자유”로 확대되었다. 정부는 군대를 동원해 시위를 진압하려 했지만 반대로 사병들은 혁명의 편으로 돌아섰다. 시위가 일어난 지 9일 만에 차르 니콜라이 2세는 퇴위할 수밖에 없었다. 300년이나 이어져 온 로마노프 왕조가 썩은 나무 쓰러지듯 일순간에 넘어져 버린 것이다.
2월 혁명은 3년이 넘게 진행된 엄청난 희생을 강요받은 국민의 분노가 끝내 폭발한 것이었다. 하지만 그 밑바닥에 깔린 것은 전제적인 러시아 사회 자체에 대한 불만과 저항이었다. 1861년 알렉산더 2세에 의해 농노 해방이 실시되었지만 철저하지 못한 상태로 끝났고 도리어 정치적인 면에서는 더 후퇴했다. 1890년대에 들어 러시아에서도 공업이 발전하게 되어, 한편으로는 부르주아지가 대두하고 자유주의가 확산되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공장 노동자의 증가에 따른 노동 운동의 발전과 혁명적인 사조들이 퍼지게 되었다. 하지만 차르의 전제 정치에는 변함이 없었고 자유주의와 혁명 운동에 대한 탄압만 점점 심해졌다.
1차대전이 일어나자 러시아는 국내에서 고조된 혁명 운동을 잠재우기 위해 적극적으로 전쟁에 참가했다. 러시아는 엄청난 인원을 동원하여 무기도 부족한 상태에서 동부 전선에 대군을 투입했다. 그 때문에 농촌에서는 노동력을 빼앗겨 식량 생산이 반감되었고 식량난이 일반화되었다. 게다가 전쟁은 시작부터 패배를 거듭했으며 교착된 전선을 유지하기 위해 엄청난 물적, 인적 자원이 소모되었다. 그리하여 전쟁이 장기화되자 국내의 사회 불안이 급속히 증대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일어난 2월 혁명은 급속히 전국으로 파급되어 각 지역에서 노동자, 병사의 대의 기관인 소비에트가 성립되었고 수도 페트로그라드에서는 자유주의자를 중심으로 한 의회 다수파에 의해 임시 정부가 만들어졌다. 그런데 임시 정부는 평화와 새로운 정치 체제에 대한 민중의 열망을 외면하고 질서의 회복과 전쟁 속행을 당면 임무로 삼았다. 임시 정부는 정치범의 사면, 언론 출판 집회의 자유를 선언했지만 토지 개혁이나 정치 체제의 변화 등은 일정에 올리지도 않았던 것이다.
"기대하세요 2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