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자이너인 김모(33)씨는
시도 때도 없이 나타나는 온 몸의 통증 때문에 펜잘(펜잘Q), 게보린, 타이레놀 등 진통제를 입에 달고 산다.
하지만 김씨는 이런 약을 먹을 때마다 약효가 다르게 나타나서 고민이다.
두통이 생겨서 먹었을 때는 약효가 좋았던 것이 생리통이 있을 때 먹으면 효과가 전혀 없다.
같은 부위의 통증 약이라도 제품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기도 한다.
자주 먹었더니 내성이 생기는 것이 아닌지도 궁금하다.
사람들이 가장 흔하게 찾는 약, ‘진통제’에 대한 정보를 정리해 봤다.
◆ 진통제 종류는 어떤 것들이 있나?
진통제는 크게 비(非)마약성진통제와 마약성진통제로 나뉜다.
비마약성진통제가 말초신경 등 주로 체내에 직접 작용해 통증유발물질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면,
마약성진통제는 중추신경계를 직접 마비시켜 뇌에서 통증을 느끼지 못하게 한다.
주로 암 환자처럼 통증이 심한 경우에 사용되나 통증이 심하지 않더라도 다른 진통제가 듣지 않을 때도 쓴다.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하는 비마약성진통제는 해열진통제와 소염진통제, 해열진통소염제가 있다.
타이레놀·게보린·펜잘(펜잘Q) 등은 해열진통제, 트라스트·케토톱 등은 소염진통제, 아스피린은 해열진통소염제다.
해열진통제
말초 신경에 주로 작용해 체내 통증유발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을 억제한다.
두통, 치통, 생리통뿐 아니라 근육통, 관절통, 요통 등에도 효과가 있다.
대표적 해열진통제인 타이레놀과 게보린은 통증을 경감시키는 '아세트아미노펜'이 공통적으로 포함돼 있는데,
게보린은 카페인이 추가적으로 함유돼 있다.
카페인은 머리의 중추신경 혈관을 수축시켜 두통을 빠르게 해소시킨다.
머리 이외 부위의 통증 즉 치통, 생리통, 근육통 등에는 카페인의 추가적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카페인은 일시적으로 두통을 빠르게 완화시켜주지만
한계점을 넘으면 오히려 두통이 더 심해지고, 급기야 만성두통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문동언 강남성모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는 "카페인이 든 진통제를 7일 이상 먹는 것은 좋지 않다"며
"만성두통이 지속될 때는 카페인 없는 진통제가,
한 달에 하루 이틀 두통이 있을 때는 카페인 있는 진통제가 좋다"고 말했다.
한편, 해열진통제는 소염진통제나 해열진통소염제보다 부작용이 적지만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이 간세포 기능을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술과 함께 복용해선 안 된다.
위 점막세포기능도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위장질환이 있는 사람도 주의해야 한다.
소염진통제
염증으로 인한 통증을 완화시켜주는 진통제다.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관절통, 근육통, 어깨통증, 생리통(염증이 원인인 경우도 있고 아닌 경우도 있음) 등은 염증성 통증인 경우가 많다.
염증물질을 제거하는 소염진통제제(製劑)로는 '인도메타신', '케토로락', '나프록센' 등이 있으며
일반의약품과 전문의약품의 비율이 반반 정도다.
같은 통증이라면 해열진통제보다 소염진통제의 효과가 더 빠르고 좋다.
그러나 부작용 가능성도 크다.
위 보호물질 생성을 억제시켜 위염, 위출혈 등을 일으키는 것이 가장 흔한 부작용이다.
일반적으로 케토톱이나 트라스트처럼 붙이는 소염진통제는 일반의약품인 경우가 많아
부작용도 적고 의사 처방도 필요 없지만,
먹는 소염진통제는 대부분 전문의약품이라 반드시 의사 처방을 받아야 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2006년 초, 소염진통제를 잘못 사용할 경우
심근경색, 뇌졸중, 위장 출혈 등이 일어날 수 있다고 보고
76개 성분 9000여 개의 제품에 대해 경고 문구를 삽입하도록 했다.
붙이는 진통제는 부작용이 적지만 피부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사용해선 안 된다.
해열진통소염제
'살리실산(아스피린)'과 '메페나믹산(폰탈캅셀)' 등의 성분이 대표적이다.
이것들은 '사이클로옥시게나제'라는 물질을 차단해 염증을 막는데,
위 점막 보호물질도 함께 차단돼 속 쓰림이나 위 점막 출혈 같은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면역반응에도 영향을 미쳐 피부알레르기나 천식 등을 유발할 수도 있다.
문동언 교수는 "아스피린(500㎎)의 경우
위장장애 등 부작용이 심해 심한 편두통인 경우에만 의사 처방에 따라 사용한다"며
"특별한 경우가 아닌 일반적인 통증에는 소염진통제나 해열진통제를 쓴다"고 말했다.
한편 아스피린은 혈전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어
현재는 용량을 크게 낮춘 저 용량 아스피린(100㎎)을 심혈관질환 예방 목적으로 더 많이 사용한다.
◆ 두통약, 내성 생기나?
습관적으로 두통약을 복용하면 내성이 생겨 점점 더 용량을 늘여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
반은 맞고 반은 틀린 얘기다.
일반적으로 카페인이 첨가된 진통제는 중추신경을 흥분시키는 효과가 있어 의존성을 일으킨다고 보고돼 있다.
따라서 이 약품을 계속 복용할 경우 내성이 생겨 더욱 더 강한 약품을 복용해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카페인이 없는 진통제는 내성이 생기지 않는다.
이상철 서울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는
"카페인 없는 진통제를 복용했는데도 통증이 나아지지 않고 더 심해지는 것 같다면
진통제가 안 듣는 것이 아니라 통증 자체가 예전보다 심해졌거나
자신이 그 진통제와 잘 맞지 않기 때문인 경우가 더 많다"고 말했다.
첫댓글 저도 예전엔 펜잘, 게보린을 잘 먹었는데 게보린에는 카페인이 있다니 좋지 않네요. 편두통이 심하니 무조건 먹었는데...
울 아들도 저를 닮았나, 자주 머리가 아프다며 타이레놀을 상시 갖고 다니니 큰일이예요. 뭔 젊은애가 뻑하면 타이레놀을 먹는지...
우리집도 그런걸요.
컴퓨터탓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