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시 포교리와 월승리 일대의 저수지를 ‘벽골제(碧骨堤)’라고 하며,
우리 나라에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저수지로 알려져 있다.
이 유적은 농업 국가로서 일찍부터 벼농사를 위해 수리 시설을 갖추었던
조상의 슬기를 엿볼 수 있는 곳이다.
벽골제에 대한 연혁을 살펴보면,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330년
(신라, 흘해왕 21)에 공사를 시작해 790년(신라, 원성왕 6)에 증축했다고 했고,
『동국여지승람』과 『세종실록지리지』에는 고려 현종 및 인종 때와
조선 1415년(태종 15)에 개축했다고 했다.
김제시 부량면 포교리를 기점으로 하여 남쪽으로 월승리에 이르는 평지에
남북으로 일직선을 이루고 약 3㎞에 달하는 제방이 현재 남아 있다.
부수 시설로는 제방의 남단 수문지였던 경장거(經藏渠)와 북단 수문지였던 장생거(長生渠),
그리고 중앙 수문지였던 거대한 석주(石柱)들이 우뚝 서 있다.
1925년 일제에 의한 동진농지개량조합에서 이 제방을 농지 관개용의 간선수로로 개조해
제방의 폭이 두개로 갈라졌으며, 양분된 제방의 중앙을 수로로 만들어 농업 용수를 흐르게
한 탓에 원형이 크게 손상되었다.
1975년에 실시된 일부의 발굴 조사에 의하면 제방의 높이는 북단이 4.3m이고,
남단이 3.3m이다. 수문의 구조는 길이 5.5m의 석주를 4.2m 간격으로 세우고 석주의
안쪽에 너비 20㎝, 깊이 12㎝의 홈〔凹溝〕을 만들어 여기에 목제 둑판을 넣고 상하로
이동시켰는데, 방수량(放水量)을 조절한 것으로 짐작된다.
수문 밖에 마련된 방수로(放水路)는 양쪽에 일정한 크기로 가공된 장방형의 큰 석괴(石塊)를
사용해 대규모의 석축을 하였다. 수로의 바닥에는 대반석(大盤石)과 같은 석괴들을
깔아 웬만한 방수량에도 잘 견딜 수 있게 하였다.
제방은 세 번에 걸쳐서 판축되었는데, 판축토 아래에 두께 2㎝ 정도의 흑색 식물 탄화층이 있었다.
이 탄화물로 세 차례에 걸쳐 방사성탄소 측정(放射性炭素測定)을 해본 결과 4세기라는 결과가 나와
문헌의 기록과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발굴 결과 벽골제는 부분적인 개수 공사는 있었다 할지라도 전장 3㎞에 달하는 제방과
수문 석주 및 그 전면의 호안석축(護岸石築)들은 시축(始築) 때부터 현재처럼 거대한 규모였음이 밝혀졌다.
제방의 북쪽 기점인 포량리 근처의 초혜산(草鞋山, 신털뫼) 정상 남단에 벽골제중수비가 세워져 있다.
석비의 크기는 높이 6.4척, 너비 3.4척으로 점판암제(粘板巖製)인데 비문은 마모되어 판독이 불가능하다.
이곳은 4세기 삼국 사회의 토목, 측량, 석공 등 여러 기술의 발달 수준을 해명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으로 사적 제111호에 지정되었다. (한국문화대백과사전참조)
매년 9월에 김제 지평선축제가 여기에서 열리고 있음.
벽골제 서적지에 들어가면 먼저 눈에 들어오는게 벽골탑이라는 표지석이 보인다.
사적지에 만들어 놓은 단야루 여기에는 누구나 출입이 가능하다.
일단은 종합 안내판을 먼저 잠시 살펴본다.
태마공원으로 조성해 놓은 정원도 잘 가꾸어 놓았다.
사적지내에 있는 쌍룡의 모습.
제방을 훼손하려는 청룡과 제방을 지키려는 백룡에 대한 설화를 형상화 해놓은 것.
벽골제 제방모습 이러한 모습이 3.3km 나 된다는데 ~~~
맨처음 안내글에 나온 벽골제 수로 일제 강점기에 벽골제방에 수로를 만들었다는
그 모습이다.
수로에 핀 수선화라고 하는지 노란 꽃이 이쁘게 피었다.
아래 사진의 안내판이 위에 있는 장생거안내
태마공원에 있는 그네 어린들이 즐겁게 놀고 있으니 이런 그네를 아무곳에서
볼수가 없는데 ~~ 옛날에는 마을 마다 이런 그네가 설치되어 있었다는데 ~~~~~!
작은 연못에 피어있는 수련이 아주 자태를 뽑네고 있는듯~~~!
농경사회에서 가뭄이 들어 물을 퍼 올려야 할때 이런 시설물을 설치하여
물을 퍼 올리는 모습 아마도 우리 조상님들의 지혜를 엿볼수 있음이 좋았다.
태마공원에 작은 물레방아도 설치해 놓았는데 지금 아이들은 이런것을 보기가
힘들며 또 한 무엇에 쓰는지도 모르고 옛 시절 나이 드신분들에게는 좋은 추억거리가
되는 것이다.
물레방아간에서 청춘 남녀의 사랑이야기가 생각나는 것을 ~~
공원에 나들이 온 청춘남여 무엇을 보고 있을까?
김제 벽골제비와 축제에 관한 내용이 안내된 것인데 위에 사진 오른쪽부분에 나타난 것이
옛날에 벽골제 저수지의 모습이란다.
단야각이라는 조그만 건물이 있는데 여기에는 무엇이 있을까
잠겨진 문이라 안을 볼수가 없어서 조금은 아쉬운 마음이다.
사랑을 위하여 목숨도 버리는 숭고한 단야의 초상을 보관해 놓은 곳이라네요.
벽골제 농경문화 박물관 ~~ 안으로 들어가면 여러가지 농경문화를
볼수가 있도록 전시를 해놓았다.
문화간 내부의 일부를 담아 보았다.
이 시설물들은 축제를 위하여 만들어 놓은 것인데 ...
이 시설물 저 멀리보이는 곳들이 벽골제 축조당시에는 저수지 역활을 하던 곳인데
지금은 농경지와 마을 집들이 들어서 있다고 알려져 있음.
벽골제는 우리나라 삼대 고저수지로 알려져 있는데 제천 의림지. 밀양 수선대,와
여기 벽골제임 ( 160924. 그냥 제미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