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립선언서 | 3.1운동 기념포스터 |
대한민국 헌법 전문(“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 대한민국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하고.”)에도 명시되어 있듯이 3.1운동은 한국 독립운동사에서 차지하는 역사적인 의의가 매우 크다. 특히 일제의 식민통치에 대한 분명한 거부와 문화·역사적 민족 개념에 기반 한 이상적인 국가건설이라는 지향점을 한민족에게 뿌리 내리는 결정적 계기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깊다.
도산 안창호 선생은 1920년 3월 1일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주최한 제1회 삼일절 기념식에서 “과거 일 년 간 일인(日人)은 이날을 무효(無效)화 하려 했고, 우리는 이날을 유효(有效)하게 하려 싸웠소. 일인의 최대 문제는 이날을 무효로 돌리는 것이고, 우리의 최대 의무는 이날을 영원히 유효하게 함이외다. …… 그리하기 위하여 우리는 작년 3월 1일에 가졌던 정신을 변치 말자 함이요.”라고 연설했다. 이는 국내외에서 독립운동을 했던 모든 세력들에게 3·1운동이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를 함축하고 있다.
3월 1일은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이듬해인 1949년 10월 1일, 국경일에 관한 법이 제정 · 공포되면서 ‘삼일절’이라는 명칭으로 명실상부한 대한민국의 국경일이 되었다.
정의 = 1919년 3·1운동의 독립 정신을 계승하여 민족의 단결을 굳게 하며, 국민의 애국심을 함양하기 위해 제정한 기념일로 4대 국경일 중 하나.
내용 = {3·1절(三一節)의 역사적 의의} 삼일절은 해방 이후 지금까지 가장 중요한 국가 기념일로 평가받는다. 이는 3·1운동이 한국 독립운동사에서 차지하는 역사적인 의의 때문이다. 이 점은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 대한민국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하고.”라고 밝히고 있는 대한민국 헌법 전문(前文)에도 잘 나타나 있다.
일제의 철통같은 무단통치를 뚫고 전국 각지에서 자발적이고 열정적으로 전개된 3·1운동은 일제의 식민통치에 대한 분명한 거부와 문화적, 역사적 민족 개념에 기반한 이상적 국가 건설이라는 지향이 한국 민족 개개인에게 뿌리 내리게 되는 결정적 계기였다. 비록 3·1운동을 통해 일제 식민 통치를 극복하지는 못했지만 3·1운동은 비로소 한국 민족을 한국 민족으로 각성시켰던 것이다.
3·1운동 이후 활동한 거의 모든 독립 운동 세력은 3·1 운동을 자신들의 모태로 간주하였으며, 독립 운동의 역사적 당위성과 그들 활동의 역사적 논거로서 3·1운동을 꼽았고, 따라서 매년 이날을 기념하면서 독립을 향한 의지를 새롭게 했다. 1920년 3월 1일 상해 올림픽대극장에서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주최한 제1회 삼일절 기념식에서 안창호는 “과거 일년간 일인은 이날을 무효화하려 하였고, 우리는 이날을 유효하게 하려 싸웠소. 일인의 최대 문제는 이날을 무효로 돌리는 것이고, 우리의 최대 의무는 이날을 영원히 유효하게 함이외다. …… 그리하기 위하여 우리는 작년 3월 1일에 가졌던 정신을 변치 말자 함이요.” 하고 연설했는데, 이는 국내외에서 독립운동을 했던 모든 세력들에게 3·1운동이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 적절히 함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 민족을 한국 민족으로 각성시킨 결정적 사건이었던 3·1운동은 당연히 해방 이후에 전 민족적으로 기념해야만 하는 가장 중요한 사건이었다. 특히 1946~1948년까지 해방 정국의 주도권을 쥐기 위해 다투었던 각 정치 세력은 자신들이 3·1운동의 진정한 계승자라는 점을 부각시키기 위해 삼일절 기념식을 자신의 주도로 치르기 위해 격렬한 경쟁을 전개하기도 했다.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이듬해인 1949년 10월 1일 국경일에 관한 법이 제정, 공포되면서 3월 1일은 ‘삼일절’이라는 명칭으로 명실상부한 대한민국의 국경일이 되었다. 매년 3월 1일에는 3부 요인을 비롯해서 광복회와 독립 유공자 유족들이 참석한 가운데 삼일절 기념식을 거행한다. 또 각 지역별로 1919년 3·1운동 당시 각 지역 만세 운동 광경의 재현을 비롯한 다채로운 행사를 열기도 한다.
삼일절은 1919년 3월 1일 정오를 기해 한민족이 일본의 식민통치에 항거하며 독립선언서를 발표합니다. 우리민족의 자주독립 선언과 총궐기하여 평화적 시위를 전개한 날. 간절한 마음을 담았던 삼일절국경일로 지정된 것은 1949년으로 나라와 민족을 위해 숭고한 자주독립정신을 기억하며 기념하기 위해 지정된 날. 3․1만세운동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독립운동가 유관순열사를 모두 알고 계실 것입니다. 두려움이 있을 수 있는 상황에서도 당당한 모습을 잃지 않았던 유관순열사는 독립만세 운동으로 인해 옥중에 구금되게 됩니다. 하지만 그곳에서도 굽히지 않는 독립에 대한 열망이 있었습니다. 삼일절 노래
정인보 작사 박태현 작곡 감옥 안에서도 끝임 없이 대한독립을 외쳤던 유관순열사. 무자비하고, 야만적인 고문도 그 열의를 꺾지는 못했습니다. 유관순열사는 1920년 9월28일 서대문감옥에서 18세라는 꽃다운 나이로 순국했습니다. 이렇듯 지금 우리나라가 성장하고, 잘 살 수 있었던 것은 목숨을 아끼지 않고 나라의 독립을 위해 끊임없이 독립을 외쳤던 선열들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입니다. 이날은 그날의 일을 마음 깊숙이 다시 한 번 되새기는 날이 되기를 바랍니다. -삼일절 태극기게양법- 국기게양은 대한민국의 4대 국경일과 1월1일, 국군의 날, 한글날인 경사스러운 날 게양합니다. 그리고 조의를 표하는 날인 현충일, 국장기간, 국만장일에는 조기 게양을 해주어야 합니다. 삼일 독립운동의 꽃 류관순 열사
(1902.12.16-1920.9.28 독립운동가)
|
첫댓글 정보 감사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