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본문내용
조선 제19대 왕 숙종 (肅宗 1661∼1720(현종 2∼숙종 46))
조선 제19대 왕(1674∼1720). 이름은 순, 자는 명보(明普). 현종의 외아들이며, 어머니는 명성왕후(明聖王后) 김씨이다. 비는 김만기(金萬基)의 딸 인경왕후(仁敬王后), 계비(繼妃)는 민유중(閔維重)의 딸 인현왕후(仁顯王后), 제2계비는 김주신(金柱臣)의 딸 인원왕후(仁元王后)이다. 1667년(현종 8) 왕세자(王世子)에 책봉되고 1674년 즉위하였다. 당시 예론(禮論)에서의 승리로 남인이 득세하였으나, 1680년 허견(許堅) 등의 복선군(福善君) 추대 음모가 발각되자 남인들을 축출하고 서인을 등용시켰다. 그 뒤 숙원(淑媛) 장씨(張氏)를 총애하여 1689년 장씨에게서 왕자(후일의 경종)가 태어나자 세자 책봉문제가 빌미가 되어 남인정권이 들어섰고, 인현왕후를 폐위시키고 희빈(禧嬪)이 된 장씨를 1690년 왕비로 책봉하였다. 1694년 폐출되었던 인현왕후를 복위시킴으로써 남인이 정계에서 완전히 거세된 반면, 이미 노론·소론으로 분열되어 있던 서인이 재집권하였다(甲戌換局). 그 뒤 노론·소론의 불안한 연정(聯政)이 지속되다가 1716년 노론이 중용되었다. 재위 동안은 거의 사생활과 관련되어 붕당정치가 가장 치열하였던 시기였으나, 왕권은 도리어 강화되어 임진왜란 이후 계속되어 온 사회체제 전반의 복구정비작업이 거의 끝나면서 많은 치적을 남겼다. 경제적인 면에서 대동법(大同法)을 평안도·함경도를 제외한 전국에 실시하여 실효를 거두었고, 임진왜란·병자호란 이후 계속된 토지개혁을 추진하여 종결시켰으며, 주전(鑄錢)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여 중앙관청·지방관아 등에 통용하도록 하였다. 대외적인 치적으로는 폐한지(廢閑地)로 버려둔 압록강변에 무창(茂昌)·자성(慈城)의 2진(鎭)을 신설하여서 옛 영토 회복운동을 시작하고, 1712년 백두산 정상에 정계비(定界碑)를 세워 국경선을 확장시켰다. 이 시기에는 《선원록(璿源錄)》 《대명집례(大明集禮)》 《북관지(北關誌)》 등이 편찬되고, 《대전속록(大典續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이 간행되었다. 능은 경기도 고양시(高陽市) 서오릉(西五陵)의 명릉(明陵)이다. 시호는 현의광륜예성영렬장문헌무경명원효(顯義光倫睿聖英烈章文憲武敬明元孝).
|
다음검색
출처: 추억속으로 원문보기 글쓴이: 그림자
댓글
검색 옵션 선택상자
댓글내용선택됨
옵션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