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팔몬정(Limaprost)과 리리카캡슐(Pregabalin)를 간단히 비교하겠습니다.
어떤 질환에 사용하는 약입니까?
Limaprost는 강력한 혈관확장작용, 혈류증가작용 및 혈소판기능 억제작용을 가지며, 폐색성혈전혈관염(버거씨병)에 따른 궤양, 동통 및 냉감 등의 허혈성 제증상에 사용합니다.
또한 디스크가 아닌(SLR시험에서 정상), 양측성의 간헐적 파행(보행시 심해지고, 쉬면 좋아지는) 환자의 후천성 요부척추관협착증에 의한 자각증상인 하지동통, 하지저림 및 보행능력의 개선에 사용하는 약물입니다.
Pregabalin은 부분발작에 보조제로 사용되는 뇌전증 치료제이자, 당뇨병성 신경통증, 대상포진 후 신경통, 섬유근육통, 척수손상에 의한 신경통 등에 널리 쓰이는 신경병성 통증 치료제입니다.
약물의 작용 기전은 무엇입니까?
Limaprost는 평활근 내 칼슘저하로 평활근을 이완시켜 혈관을 확장시키는 Prostaglandin E1 유사체로써 혈관확장작용과 C-AMP 증가로 혈소판 응집억제작용을 나타냄으로써 혈류를 증가시키고 말초순환장애를 개선하는 약입니다.
Pregabalin은 중추신경계 신경접합부에서 전위의존성((voltage dependent) 칼슘채널의 alpha2-delta subunit에 결합하고 말단에서 칼슘 유입을 조절해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인 (glutamate, substance P, norepinephrine 등)의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진통작용과 항경련작용을 나타냅니다.
이 약물은 대부분의 신경병성 통증에 일차 또는 이차선택약으로 사용됩니다. 약효도 빠르고, 진통 작용과 함께 수면과 삶의 질을 개선하고 약물상호작용이 적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용법·용량은 어떻게 다르나요?
Limaprost는 버거씨병엔 매회 2정씩, 척추관협착증엔 매회 1정을 하루 세 번 복용하며, 임상사례 논문에선 치료초기에 NSAIDs와 근이완제와 병용 투여해 통증을 완화하고, 6주 후부터 Limaprost를 단독 투여하는 증례들이 소개되곤 합니다.
Pregabalin은 하루에 투여되는 총용량을 두 번으로 나누어 음식물과 상관없이 복용합니다. 초기용량은 150mg으로 시작해 일주일 후 환자의 반응과 내약성의 정도에 따라 300mg으로 증량합니다. 최대 용량인 600mg까지 서서히 증량이 가능합니다.
약물 중단 시 구역, 설사, 불안, 우울증, 통증 등 금단증상을 예방하기 위해 1주일 이상 간격을 두고 서서히 중단하도록 해야 합니다. 약물이 대부분 신장으로 배설되므로 신기능이 저하된 환자인 경우 신기능에 따라 용량을 조절해야 합니다.
어떤 이상 반응이 일어날 수 있나요?
Limaprost의 일반적 이상반응은 설사, 구역, 복통, 식욕감소, 가슴쓰림의 소화기계 이상반응과 출혈경향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간기능 이상, 심계항진, 두통, 안면 홍조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드물게 사지청색증, 저혈압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Pregabalin의 일반적 이상반응은 구갈, 어지러움, 두통, 전신무력, 졸음, 말초부종, 체중 증가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처음 시작할때는 어지러움, 졸림 등의 이상반응을 예방하기 위해 75mg을 자기전에 복용하고, 환자의 상태를 살펴보면서 용량을 서서히 증량하도록 합니다.
일반적 주의사항은 무엇인가요?
Limaprost는 혈소판억제작용으로 출혈경향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비정상적인 출혈(코피, 멍, 생리과다 등)이 지속될 경우 전문가와 상의하도록 합니다. 또한 출혈경향이 있거나, 수술전엔 반드시 이 약의 복용사실을 의료진에게 알려야 합니다.
Pregabalin은 졸리거나 어지러울 수 있으므로 약의 영향에 대해 파악하기 전에는 운전이나 위험한 기계조작은 피하도록 합니다. 이 약은 자살충동 또는 자살위험이 증가되므로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Pregabalin이 약물남용과 관련된 수용체에 작용하지는 않지만, 미국에서는 Schedule IV 약물로 분류돼 오?남용 약물 카테고리에 속하는 약물이므로 환자의 약물 오?남용 여부를 주의 깊게 관찰하도록 합니다.
어떤 약물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나요?
Limaprost는 항혈소판제, 혈전용해제, 항응고제 등과 병용시 출혈 가능성이 있습니다.
Pregabalin은 체내에서 대부분 미대사체로 뇨로 배설되고, 혈장 단백질에 결합하지 않아 약물상호작용을 유발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시판 후 CNS억제제와 병용 시 호흡부전과 혼수가 보고되기도 했고, 변비를 유발하는 약물인 마약류와 병용 시 장폐쇄증, 무력 장폐쇄증, 변비가 보고되기도 했습니다.
임부와 수유부에게도 사용 가능한가요?
Limaprost는 동물실험에서 자궁수축이 보고된 적도 있고, 임부, 임신가능성 있는 여성에겐 안정성이 확립되지 않았으므로 투여하지 않도록 합니다.
Pregabalin은 FDA Pregnancy Category C 약물로 치료 유익성이 위험성보다 큰 경우에만 사용하고, 가임여성은 피임법을 병용하도록 합니다. 이 약은 모유중으로 이행되므로 수유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척추관협착증(Spinal Stenosis)이란 무엇입니까?
척추관협착증은 중년 이후에 흔한 질환으로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척추관, 신경근관, 추간공)가 좁아져 신경을 누르게 되는 증상을 의미합니다.
주로 요추부에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척추관협착증은 대부분 요추협착증을 의미하며, 경추에 발생하는 경우엔 경추관협착증이라고 합니다.
증상은 허리 통증, 엉덩이나 항문 쪽으로 찌르는 듯한 통증과 다리의 감각소실, 저린증상이 동반되기도 하고, 심한 경우엔 괄약근 장애까지 나타나게 됩니다. 이러한 증상은 춥거나 활동 시 악화되고 따뜻하게 해주고 쉬면 호전됩니다.
척추관협착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은 어떤 것이 있나요?
·통증 경감제: NSAIDs, acetaminophen
·항우울제: amitriptyline 등 TCA 계열
·뇌전증 치료제: gabapentin, pregabalin
·마약류: oxycodone, hydrocodone
·Limaprost, 칼슘, 비타민 D, 칼시토닌 등이 환자의 상태에 따라 선택됩니다. 예를 들면 고령의 환자에게는 대체로 limaprost와 celecoxib를, 심혈관계 질환을 가진 환자는 limaprost와 tramadol/acetaminophen을 투여합니다.
척추관협착증의 예방법은?
퇴행성 질환인 척추관협착증은 생활 습관이 큰 영향을 미칩니다. 평소 바른 자세를 가지고,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며, 규칙적인 운동을 함으로써 척추주변 근육을 강화시키도록 합니다.
특히 수영은 척추나 무릎에 무리를 주지 않으므로 권장됩니다. 또한 너무 무거운 것을 들거나, 허리를 너무 과하게 사용하게 되면 척추에 무리가 되니 가급적 그런 일은 피하도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