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고궁(古宮)을 나오면서
김수영
왜 나는 조그마한 일에만 분개하는가
저 왕궁(王宮) 대신에 왕궁에 음탕(淫蕩) 대신에
오십 원짜리 갈비가 기름 덩어리만 나왔다고 분개하고
옹졸하게 분개하고 설렁탕집 돼지 같은 주인년한테 욕을 하고 옹졸하게 욕을 하고
한 번 정정당당하게
붙잡혀 간 소설가를 위해서
언론이 자유를 요구하고 월남(越南) 파병(派兵)에 반대하는
자유를 이행하지 못하고
이십 원을 받으러 세 번씩 네 번씩
찾아오는 야경꾼들만 증오하고 있는가
옹졸한 나의 전통은 유구(悠久)하고 이제 내 앞에 정서(情緖)로
가로놓여 있다
이를테면 이런 일이 있었다
부산에 포로수용소의 제 십사 야전병원(第十四野戰病院)에 있을 때
정보원이 너어스들과 스폰지를 만들고 거즈를
개키고 있는 나를 보고 포로 경찰이 되지 않는다고
남자가 뭐 이런 일을 하고 있느냐고 놀린 일이 있었다.
너어스들 옆에서
지금도 내가 반항하고 있는 것은 이 스폰지 만들기와
거즈 접고 있는 일과 조금도 다름없다
개의 울음소리를 듣고 그 비명(悲鳴)에 지고
머리에 피도 안 마른 애놈의 투정에 진다
떨어지는 은행나뭇잎도 내가 밟고 가는 가시밭
아무래도 나는 비켜 서 있다 절정(絶頂) 위에는 서 있지
않고 암만해도 조금쯤 옆으로 비켜 서 있다
그리고 조금씩 옆에 서 있는 것이 조금쯤
비겁한 것이라고 알고 있다!
그러니까 이렇게 옹졸하게 반항한다.
이발장이에게
땅 주인에게는 못하고 이발장에게
구청 직원에게는 못하고 동회(洞會) 직원에게도 못하고
야경꾼에게 이십 원 때문에 십 원 때문에 일 원 때문에
우습지 않느냐 일 원 때문에
모래야 나는 얼마큼 적으냐
바람아 먼지야 풀아 난 얼마큼 적으냐
정말 얼마큼 적으냐.....
(시집 『거대한 뿌리』, 1974)
[작품해설]
이 시는 시인 자신의 소시민적 행동을 진솔하게 보여 주는 작품이다. ‘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 발견하게 된 자신의 초상(肖像)은 자신이 추구하는 시의 경향이나 민중 시인으로서이ㅡ 명성과 전혀 어울리지 않음을 알게 된다. ‘땅 주인’이나 ‘구청 직원’ 또는 ‘동회 직원’, 소위 가진자, 힘 있는 자에게는 반항하지 못하면서, ‘이발장이’나 ‘야경꾼’들로 대표된 가지지 못한 자, 힘없는 자에게는 단돈 일 원 때문에 흥분한다. 또 화자는 ‘언론의 자유를 요구하고 월남 파병에 반대하’다 ‘붙잡혀 간’ 소설가를 보면서도 두려움 때문에 대항하지 못하고 ‘설렁탕집’에서 ‘오십 원짜리 갈비가 기름 덩어리만 나왔다고 분개’한다. 이렇게 커다란 부정과 불의에는 애항하지 못함ㄴ서도 사소한 것에만 흥분하고 분개하는 자신의 모습을 돌아봄으로써 마침내 화자는 자기모멸 감정에 빠진다. 또한 ‘절정 위에는 서 있지 / 않고 암만해도 조금쯤 옆으로 비켜 서 있’는 자신의 방관자적 자세를 확인한 화자는 ‘모래’ ⸱ ‘풀’ ⸱ ‘바람’보다도 보잘 것 없는 자신의 존재를 비판⸱반성한다. 시인은 이렇게 정치권력에는 정면에서 대적하지 못하고 방관하는 지식인의 무능과 허위의식을 폭로⸱ 고발한다.
[작가소개]
김수영(金洙暎)
1921년 서울 출생
선린상업고등학교 졸업 후 일본 토쿄(東京)상대 전문부에 입학했다가
학병 징집을 피해 귀국
1947년 『예술부락』에서 시 「묘정(廟廷)의 노래」를 발표하여 등단
1958년 제1회 한국시인협회상 수상
1959년 시집 『달나라의 장난』 발간
1968년 사망
1981년 김수영문학상 제정
시집 : 『새로운 도시의 시민들의 합창』(공저, 1949), 『달나라의 장난』(1959), 『거대한 뿌리』(1974), 『달의 행로를 밟을지라도』(1979), 『김수영전집』(1981), 『시인이여 기침을 하자』(1984),『사람의 변주곡』(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