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Village 프로젝트 K-콘텐츠 연계, 해외 판로 지원 사업
참여 기업 모집 공고
중소벤처기업부와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은 (주) SBS 미디어넷의
K-Village 프로젝트와 연계하여, AI를 활용한 신개념 웹 드라마 제작과 해외
홍보 전시관 개최 및 온라인몰 입점, 다양한 라이브커머스 (페이스북, 틱톡 등) 을 통해 참여 중소기업의 판로개척을 지원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웹 드라마 콘텐츠 제작과 실질적인 해외시장 개척, 판매에 열정적인 중소기업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본 사업은 「대·중소기업 동반진출 지원사업」 K-콘텐츠 연계 유형 과제입니다.
2024. 08. 05.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사무총장
□ 지원목적
① AI 신기술을 활용한 해외 쇼핑몰內 ‘K-Village (가제)’ 개최 및 특별 이벤트
○ 해외 핫플레이스 쇼핑몰에서 ‘쇼핑 이벤트홀’ 개최 및 다양한 이벤트 등으로 제품
홍보 및 판매, 수출 상담회 등 운영 (현재 베트남 호치민 협의중)
② AI 활용한 웹드라마 제작, 효율적인 참여기업 제품 홍보 및 PPL
○ AI 이미지 활용한 웹 콘텐츠 영상 제작
○ AI 아바타 뉴스 및 참여 기업 브랜드별 로고송 등 제작
③ 온라인 플랫폼 입점, SNS 라이브 커머스로 전방위적 판로 개척
○ 온라인 플랫폼 및 SNS 라이브커머스 등으로 제품 판매 및 성과 도출
○ 국내 또는 해외 쇼룸 매장 상설 운영으로 전시, 홍보 및 B2B, B2C 등 추진
④ SBS미디어넷의 다양한 네트워크와 기술력 등으로 새로운 트렌드 제시
□ 주관기업 :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 (주) SBS미디어넷
□ 지원규모 : 중소기업 15개사 (뷰티, 패션, 다이어트, 생활용품, 푸드 등 소비재)
□ 진출국가 : 아시아 주요국 (베트남, 싱가폴,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
▶ 베트남 쇼핑이벤트 홀의 오프라인 판매, 전시를 위해 업체별 라이선스가 필요함.
(기존 라이선스 보유업체 및 기간 內 라이선스의 취득 의지가 있는 업체를 우대함)
□ 참여기업 부담금 : 참여 기업의 별도 비용 없음.
- 단, 국내 및 해외 물류창고 입고까지는 참여기업 부담
- 해외 전시관에 주관기업의 전시공간외에 별도의 개별기업 브랜드 부스를 신청하는 업체
의 경우 항공비, 체재비, 별도 인테리어비 등은 개별 부담
□ 세부 지원내용
➀ AI 신기술 등을 활용한, K-뷰티 글로벌 쇼핑 이벤트홀 설치 및 이벤트 운영 |
■ 베트남 유명 쇼핑몰 內, ‘K-Village’ 쇼핑 이벤트홀 개장으로 제품 판매 및 전시,홍보 (10월말경 추진 예정, 베트남 호치민 협의중, 참여기업 입점) ○ 구역을 설정하여 뷰티, 패션, 액세서리 등 테마 장르에 따라 제품 전시 ○ 쇼핑몰 입장 고객 대상, 이벤트 및 현지 소비자의 반응 및 니즈 파악 ○ 직간접적 매출 발생 및 해외 판로 개척을 통한 중장기적 판매라인 확보 ○ 해외 쇼핑몰 고객 대상, 현지 소비자의 반응 및 니즈 파악 목적 ■ 셀럽 및 인플루언서 등을 활용, 홍보 판촉 활동 전개 - 현지 인플루언서 등 해외 현지 타깃층 선호하는 셀럽으로 팝업쇼 구성 : 깜짝 판매쇼, 인플루언서 팬미팅, 뷰티 클래스 체험 등 홍보 - 현지 소비자들의 호응과 반응, 참여기업 프로모션 활용 및 이슈화 지속 ○ 셀럽의 팝업쇼, 인플루언서의 팬미팅, 뷰티 클래스 체험 등 제품 홍보 활동 추진 |
|
② AI 웹 드라마 콘텐츠 제작을 통해 효율적인 참여기업 제품 홍보 PPL |
■ AI 기술 트렌드를 활용한 브랜드 PPL용 웹 드라마 콘텐츠 제작 ○ 웹 콘텐츠를 통해 참여기업의 우수성 및 제품을 자연스럽게 PPL 홍보 ○ 제품 소개, 브랜드 노출 및 특장점을 다루는 최적화된 브랜디드 콘텐츠 제작이 가능 ○ 배경 요소 및 음악, 더빙, 번역 및 다국어 버전 등 다양한 콘텐츠 연출이 가능 ○ 콘텐츠 및 참여기업 브랜드의 타깃 주목도를 높이기 위해 숏폼 형태 제작 ○ 타깃 최적화된 다양한 상황 및 장소 연출 (직장, 쇼핑몰, 카페 등) ■ 영타깃 감성을 자극하는 ‘판타지 연애물’류의 시놉시스 구성 ○ 디지털 콘텐츠 7편 (티저 포함) / TV 1편 ○ 판타지 연애물 류의 웹드라마 형식의 트렌디한 스토리와 유머코드 |
|
③ AI 활용, 참여기업 브랜드 홍보영상 제작 (ex: 아바타 뉴스) |
■ AI 활용, 참여기업 홍보 콘텐츠 제작 (ex: 참여기업 소식을 전하는 아바타 뉴스) ○AI를 활용하여 참여기업 및 브랜드의 다양한 뉴스, 이벤트 등을 뉴스형태로 제작 ○ 제품소개 및 브랜드 소식 등 다양한 형태의 아바타, 다국어버전으로 제작 ○틱톡, 페이스북 업로드 및 참여업체에 콘텐츠를 제공하여 마케팅적 활용성 향상 |
|
➃ AI 신기술 활용, 참여기업 브랜드 로고송 제작 |
■ 참여기업 대상, 브랜드 로고송 제작 및 업체에 제공 (15개 업체 모두) ○ AI와 chat GPT를 활용하여 참여기업 슬로건 및 브랜드 특성을 반영한 로고송 제작 ○ 타깃 소비자 취향 및 시장의 문화적 특성, 마케팅적 활용성 등을 고려한 기업 로고송 제작 및 향후 업체들에게 제공 |
|
➄ 주요 국가들의 글로벌 온라인 플랫폼에 입점, 마케팅 |
■ 글로벌 e플랫폼 <쇼피 Shopee>에 참여기업 제품 입점 및 판매 진행 ○ 참여기업의 글로벌 시장 공략 및 판로 개척 지원 (ex: shopee Vn, ph, My, Sg) ○제품 판매 페이지 구축 및 등록, 상시 운영 ○쇼피의 부스트업 프로그램 적극 활용, 총판 및 운영 지원 등 판매 촉진 ○소비자 쿠폰 및 할인 이벤트, 스페셜 데이 등 판매 증진 위한 다양한 마케팅 진행 |
|
⑥ 국내 또는 해외 쇼룸 상설 운영으로 B2B, B2C 추진, 판매 성과 도출 |
■ 국내 또는 해외 쇼룸 추진으로 전시, 홍보 및 B2B, B2C 추진 (~12월 상설) ○ K-뷰티에 관심 있는 해외 관광객의 핫플레이스에 위치한 쇼핑몰내 입점 ○ 뷰티 및 패션, 액세서리 등 스토어 설치, 상시 운영 ○ 인플루언서의 트렌디한 제품 시연 및 리뷰, 라이브 커머스를 통한 판매 진행 ○ 바이어 초청, 참여기업의 직접 참여 및 계약 진행 추진 |
|
⑦ SNS 라이브 커머스를 통한 동남아 주요국가 공략 (틱톡, 페북 등) |
■ 동남아 시장 공략에 적합한 <SNS 라이브커머스> 운영 (20회 이상) ○ 주요국가의 라이브 커머스 시장의 성장세에 따라, 판매 채널 다각화의 차원 ○ 숏폼 콘텐츠와 인플루언서에 특화된 SNS 라이브 커머스로 판매 성과 도출 (ex: 틱톡, 페이스북 등) - 해외시장 개척 및 신규 판매 채널 확보 목적 ○ 참여기업의 해외시장 개척 지원 및 인플루언서 연계 - 쇼핑에서 재미를 찾는 ‘플레이슈머’공략에 적합한 ‘라이브 커머스’채널을 통해 제품의 특장점 및 리뷰, 직접 판매까지 연계 ○ 향후 영상 재편집을 통해 업체들에게 콘텐츠 제공, 활용 가능하게 제공 ○ 틱톡샵은 동남아시장 공략에 특화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 |
|
※ 추후 현지 상황에 따라 지원 내용 변동 가능성 있음
□ 지원대상
1) 국내 사업자등록번호를 보유하고 있는 『중소기업기본법』제 2조에 따른 중소기업
2)『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①특례대상 중견기업 또는 ②중소기업 유예기간에 해당하는 중견기업
* ①, ② 해당여부 확인 : 중견기업 정보마당 (https://www.mme.or.kr/PGHI0020.do)
| 신청 제외 대상 |
|
|
|
◦ 동반진출 지원사업 K-콘텐츠 연계 유형 연간 2회 초과 참여기업 * 참고사항 : K-컨텐츠 연계 과제 중 연간 2회까지만 참여 가능 ◦ 휴․폐업 기업 ◦ 대기업 및 그 출자회사(공정위 발표 대기업군), 유관기관(정부기관 및 공공기관 포함) ◦ 금융기관으로부터 불량거래처로 규제 중이거나 국세・지방세를 체납중인 자/기업 * 단, 신청 마감일(또는 최초 평가 개시일) 전까지 해소하거나 체납 처분 유예 받은 경우는 예외 ◦ 회생 신청 및 청산 절차가 진행 중인 경우(회생 인가결정시 예외) ◦ 지원제외 업종 영위기업 : 사행산업 등 국민 정서상 지원이 부적절한 업종 |
□ 주의사항
◦ 사후 3년간 주관기업 및 관리기관의 성과조사 협조 동의 필수
◦ 참여기업 사정에 의한 참여포기 시 당해연도 및 차년도 사업 참여 제한
* 선정결과 발표일 기준 1주 이후 참여를 포기하는 경우
□ 모집기준
◦ 아시아 주요 시장의 한국 제품의 소비 패턴을 근거로 선정
(뷰티, 패션, 액세서리, 생활용품, 푸드 등의 제품군을 우선 선정)
: 타깃 시장 수출 적합성 및 판매 경쟁력 고려
◦ 타깃 시장의 e커머스 플랫폼 MD 등과 협업하여, 사업성 있는 브랜드 제품 기준
선정 (영문 페이지 有無 포함)
◦ 상품성, 공급지속성 등을 종합 판단하여 15개사 선정
□ 선정방안
◦ 평가 주체 (방송전문가, MD, 커머스 등 마케팅 전문가 등) 약 7~8인 평가
◦ 평가 형식 : 서면평가 & 제품평가
◦ 평가 단계별 반영 비율
- 해외판매 준비도 및 수출실적, 수출국 다변화, 제품 시장성, 제품 차별성 등을 점수화하여
상위 15개 업체 선정 (*아래 평가 기준 참조)
□ 평가 기준
구분 | 평가요소 |
평가항목(100) | - 해외판매 준비도 및 수출실적(15) / 수출국 다변화(15) - 제품 시장성(20) / 제품 차별성(20) / 콘텐츠 연계성(20) - 해외배송 적합도(10) |
가점항목 (항목당 1점, 최대 5점 인정) | - R&D투자기업(재무제표상 R&D 집약도 3%이상) - R&D 매출성과 우수기업(ROI 5이상) - 명문장수기업 / 사회적 경제기업 / 지역혁신성장기업 -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기업 -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수출 피해기업 브랜드K 선정기업 / 글로벌강소기업 1000+ - 신규 수출국 진출 (최근 3년 수출실적 미보유 국) |
□ 추진 일정 * (참고) 상황에 따라 일정 변동 가능
□ 신청기간 및 조건 : 2024년 8월 5일(월) ~ 8월 21일(수), 24:00까지
* 마감기한 엄수, 신청기간 외 신청은 접수 불가
* 베트남 쇼핑이벤트 홀의 오프라인 판매, 전시를 위한 업체별 라이선스가 필요함.
(기존 라이선스 보유업체 및 기간 內 라이선스의 취득 의지가 있는 업체를 우대함)
□ 신청방법 : 상생누리 홈페이지(www.winwinnuri.or.kr)를 통해 신청·접수
* 세부내용 붙임 1. 참조
| 신청·접수 방법 |
|
|
|
①상생누리 홈페이지 접속 → ②회원가입 → ③대중소기업 동반진출 공지사항
④모집공고 확인 → ⑤참여신청 → ⑥신청완료 확인 |
<신청 접수 방법의 순서> |
|
| 3) 모집공고에서 [K-Village 프로젝트] 참여신청란을 클릭하여 신청 |
|
□ 제출서류
연번 | 평가요소 | 제출방식 |
1 | 필수 | 회사 및 제품 소개자료(국문·영문) | 신청서 작성 시 시스템에 직접 첨부 |
2 | 필수 | 제품이미지 |
3 | 필수 | 중소기업확인서 (유효기간 확인 必) |
* 참고사항 - (특례대상 중견기업) 특례여부 확인된 중견기업 확인서 제출 필요 - (중소기업 유예기간에 해당하는 중견기업) 중소기업확인서 제출 필요 |
4 | 필수 | 전년도(2023) 수출실적증명원 |
* 참고사항 - 한국무역협회 or 한국무역통계진흥원 발급 서류만 유효 - 신청서에 작성한 수출액과 일치 여부 확인 |
5 | 필수 | 법인·개인·신용정보 수집·이용·제공 조회동의서 |
6 | 필수 | 국세 완납증명서 (법인명의) |
7 | 필수 | 지방세 완납증명서 (법인명의) |
8 | 필수 | 신용정보 조회서 * 한국신용정보원 기업신용정보 조회서만 유효 |
9 | 필수 | 사업자등록증 |
10 | 선택(해당 시) | 가점 관련 증빙서류 (하단 ※참조) |
※ 가점관련 증빙서류
가점항목 | 내용 | 제출 증빙 |
R&D 투자기업 | 재무제표 상 R&D집약도 3% 이상인 기업 * 총 매출액 대비 총 R&D투자율 | 재무제표 |
명문장수 기업 |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선정 및 평가하여 선정된 업력 45년 이상이며, 사회·경제적으로 기여하는 중소·중견기업
<조회방법> https://www.kbiz.or.kr/ko/contents/contents/contents.do?mnSeq=360 | 중소기업중앙회 발급 명문장수기업 확인증 |
사회적 경제기업 |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이 인증한 4대 사회적경제기업(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조회방법> https://www.socialenterprise.or.kr/social/econ/econEntList.do?m_cd=D047 | 사회적 경제기업 확인증 혹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내 리스트 캡처 사진 |
지역혁신 성장기업 | 지역주력산업분야 연관 기업 중 성장성이 우수하며,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지역우수(스타)기업 | 기술혁신형 중소기업(Inno-Biz) 확인서 |
일자리 안정 기금 지원기업 | 영세 중소기업의 경영부담 완화 및 노동자 고용불안해소를 위한 지원금 | 당해년도 일자리안정자금 지급(부지급) 결정통지서 |
R&D 매출성과 우수기업 | ROI(정부출연금 대비 관련제품 매출액)이 5배 이상 | * 협력재단/중기부 자체 확인 |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수출 피해기업 |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인정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수출피해를 입은 중소기업 |
브랜드K 선정기업 | 중소기업 유통센터 선정 브랜드K 선정기업 |
글로벌 강소기업 1000+ | 글로벌 강소기업 선정기업 |
□ 문의처
구분 | 문의사항 | 담당자명 | 연락처 |
주관기업 (SBS미디어넷) | 지원사업(과제) 전반 상세내용 - 지원내용, 지원대상, 선정기준, 일정 등 | 안상남 부장 최동원 차장 | idoltruck@daum.net 02-6938-1384 |
시스템 관리 (상생누리) | 상생누리 시스템 관련 내용 - 시스템 오류 등 | leejy1@win-win.or.kr rje@win-win.or.kr 02-368-8722/8757 |
관리기관 (대·중소기업· 농어업협력재단 | 동반진출사업 참여이력 확인 | gw@win-win.or.kr 02-368-8725 |
* 가급적 이메일 문의 부탁드립니다.
공모사업 바로가기
https://goo.gl/forms/6U4SgcwlXWb836Qr2
https://cafe.daum.net/policyfund/HhFz/757
https://cafe.daum.net/policyfund/HhFz/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