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5년 3월 7일 토요일
경춘선 신내역 2번 , 3번 출입구(중랑공영차고지 연결통로) 가 개통되었습니다!!!

신내역에서 내린 뒤 분홍색 화살표를 따라서...

위로 올라가는 계단을 따라서...

복도가 나옵니다. 버스 탈때는 2번 출구로 내려가면 됩니다.
(긴 통로이기 때문에 뛰지 마세요)

신내역 2,3번 출입구 개통 축하 현수막이 걸려 있습니다.

2번 출입구로 나오면 바로 이렇게 '중랑공영차고지.신내역' 정류장이 나옵니다!!!
단 반대로 버스에서 내려서 신내역으로 갈 때는 계단으로 올라가기엔 좀 힘드니, 엘리베이터 타면 도움이 됩니다.
2번,3번 출입구 모두 엘리베이터가 있습니다!!!
신내역 2,3번 출구 개통의 효과는
바로 서울 시계 동부권에 새로운 환승센터가 생긴다는데 큰 의의가 있습니다.
남양주, 가평, 춘천에서 경춘선 전철을 타고 신내역에서 내린 후
중랑공영차고지에서 나오는 수 많은 서울시내 간선-지선버스로 앉아서 편하게~ 갈아탈 수 있다라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중랑공영차고지에는 서울 시내 간선-지선 버스 노선이 정말 많은데요.(단, 70번은 경기버스)
(260번, 273번, 240번, 241번, 242번, 2012번, 2015번, 2016번, 2114번, 2115번, 2227번, 2235번, 2311번, 2312번 등등등)
(단 262번, 70번, 2113번, 2234번 버스는 기존 신내역 1번 출구에서 타실 수도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가장 유용한 버스 노선 몇 개를 소개해볼까 합니다.
첫번째. 6호선 시종착역 봉화산역으로 빠르게 갈 수 있는
2114번,2115번 버스
가장 먼저
경춘선-버스-6호선 환승이 가능한 2114번,2115번 버스입니다.
그동안 지금까지 경춘선에서 6호선으로 갈아타기가 쉽지가 않았는데요.

신내역에서 내려서 70번,262번,2113번,2234번 버스로 양원역 근처까지는 갈 수 있었지만
현 1번,4번 출구에서
6호선 봉화산역 방향으로 가는 버스가 없었습니다.
때문에 기존 상봉역까지 우회해서 복잡하고 긴 환승통로를 따라 7호선 도봉산행,장암행 열차로 갈아타고,
또 태릉입구역에서 6호선으로 갈아타아만 해서 시간 낭비가 아닐 수 없었는데요.

하지만 중랑공영차고지와 연결되는 신내역 2,3번 출구가 설치되면
굳이 상봉역으로 우회하지 않고도 2114번,2115번 버스를 통해서
2~3분 만에 봉화산역으로 빠르게 갈 수 있기 때문에
커다란 통행 시간 단축이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2115번 버스는 서경대학교도 갈 수 있기 때문에
서경대학교 가시는 분들은 2115번 버스를 이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그리고 , 2114번, 2115번 버스가 자주 다니기 때문에 갈아타는 데는 문제가 없을 걸로 보입니다.
경로 |
현재 소요시간 |
경춘선 신내역 중랑차고지 방향
2,3번 출구 개통 후 소요시간(예상) |
마석역~이태원역 |
72분(마석↔상봉↔태릉입구↔6호선 이태원) |
66~67분(마석↔신내역 하차 후 2114,2115번 버스 탑승↔봉화산역↔6호선 |
어제 마석역에서 이태원역까지 직접 가보았는데 약 5분 정도의 시간 단축 효과가 있더라구요.
<경춘선→6호선으로 갈아탈 시>
-경춘선 신내역 하차 후, 2번 출구로 나가서
-'중랑차고지.신내역' 정류장에서 2114번,2115번 버스 탑승
-봉화산역2번출구 정류장에서 하차
-6호선 게이트 찍은 후 응암순환행 열차 탑승
<6호선→경춘선으로 갈아탈 시>
-6호선 봉화산역에서 하차 후, 3번 출구로 올라와서
-정류장에서 2114번,2115번 버스 탑승
-신내역 3번 출구가 있는 '중랑차고지.신내역' 정류장에서 하차
-경춘선 게이트 찍은 후 춘천행, 마석행 열차 탑승
또 경춘선-버스-6호선 이 루트의 이용객이 늘어나면 늘어날 수록, 수요가 많다라는 의미로
6호선 신내역 건설에도 청신호가 올 걸로 보입니다.
(2012번,241번 버스도 마찬가지로 봉화산역을 가지만,
각각 신내6단지, 신내3단지 아파트들을 돈 다음에 봉화산역을 가므로 유용한 버스 노선에서 제외 했습니다
추후 버스 노선이 조정된다면 그 때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두번째. 서울 시내 주요 대학,대학로 등을 지나는 273번 버스

그 다음은 대학투어 노선으로 유명한 273번 버스입니다.
한국외대,경희대 부터 시작해 카톨릭대,혜화(대학로거리),이화여대,연세대,서강대,홍익대,홍대거리까지
이 버스로 한 번에 갈 수 있습니다.
|
기존 경로 |
경춘선 신내역 중랑차고지 방향
2,3번 출구 개통 후 경로 |
한국외대 |
춘천,가평,남양주에서 경춘선 전철 탑승
→상봉역에서 중앙선 환승
→회기역에서 1호선 환승
→외대앞역 도착
(환승 횟수 2회) |
춘천,가평,남양주에서 경춘선 탑승
→신내역에서 2,3번 출구로 나간 후 273번 버스 탑승
→'외대앞' 정류장에서 하차
(환승 횟수 1회) |
혜화(대학로거리) |
춘천,가평,남양주에서 경춘선 전철 탑승
→상봉역에서 중앙선 환승
→왕십리역에서 2호선 환승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에서 4호선 환승
→혜화역 도착
(환승 횟수 3회) |
춘천,가평,남양주에서 경춘선 전철 탑승
→신내역에서 2,3번 출구로 나간 후 273번 버스 탑승
→'혜화역.서울대병원입구(마로니에공원)'정류장에서 하차
(환승 횟수 1회) |
즉, 환승횟수를 1~2회 줄일 수 있다라는 점입니다.
(물론 버스 vs 지하철을 비교하기는 좀 그렇지만... 환승횟수 1~2번 줄어드는 메리트는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273번 버스는 이제
대학투어 노선과 더불어 '엠티가는 노선' 이라는 이름도 붙여지겠지요.
위의 대학에서 273번 버스 한 번으로 경춘선 전철(대성리역,강촌역)을 탈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주의할 점은 중랑차고지 출발 막차가 밤 10시 40분이라는 점 유의하시고요.
세번째. 서울 도심으로 갈 수 있는 260번 버스

종로1~6가,광화문,동대문,충정로(경기대),공덕,여의도 등등등 도심 업무단지를 한 번에 갈 수 있는 노선입니다.
보통 전철로 종로를 가려면 2회 환승을 해야 하지만(경춘선→중앙선→1호선)
여기서는 1회 환승 만으로도 종로로 편하게~ 앉아서 갈 수 있습니다. (경춘선 신내역→260번 버스)
네번째. 서울 전농동, 장안동으로 갈 수 있는 2015번 버스

서울 전농동이나 장안동도 마찬가지로 전철로 접근하기 힘든 지역인데,
2015번 버스를 타고 한 번에 전농동이나 장안동으로 접근이 가능해집니다. 또한 중랑구청도 갈 수 있고요.
이제 신내역이 서울 동부권의 대중교통 허브가 되길 기대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