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 D에 대해
비타민 D 결핍이 잘 생기는 사람
• 고령자 : 나이가 들면 피부나 신장, 간 기능의 노화로 체내에서 비타민 D를 생성하는 능력도
급격하게 떨어집니다. 고령자는 젊은 성인에 비해 비타민 D 생성 능력이 75%까지 감소합니다.
- 여성, 흡연자, 운동 안 하는 사람 : 여성은 남성에 베해,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비타민 D가
결핍될 가능성이 많습니다. 운동을 잘 하지 않는 경우도 햇빛에 노출되는 시간이 적기 때문에
비타민 D 혈중농도가 낮을 수밖에 없습니다.
• 신장과 간에 질병이 있는 사람 : 비타민 D는 간과 신장을 거쳐 체내에서 활성화되는데 간 질환
이나 신장 질환이 있는 경우 비타민 D의 활성화 능력이 떨어집니다.
- 장기간 약물을 복용하는 사람 : 진통 소염제를 처방할 때 위륜 보호하기 위해 첨가하는 위장약.
항경련제.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아토피 등에 사용하는 스테로이드 제제가 비타민 D의 결핍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약물입니다.
이러한 성분이 든 약을 6개월 이상 복용할 때에는 비타민 D 결핍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
니다.
만일 비타민 D 혈중농도가 10ng/ml 미만이라면 구루병 등 결핍 증이 우려되는 병적 상태이며 즉
각적인 치료7} 필요합니다.
하루에 2.000IU의 비타민 D를 섭취하고 10~15분 정도 자외선에 노출되는 사람들은 대장암, 유
방암, 전립선암 발병률이 50-60% 가량 줄어든다는 보고가 많습니다.
하루 1.00이0으| 비타민 D를 섭취하려면 음식으로는 얼마나 먹어야 할까?
우유나 요거트 200ml에는 대략 100~20이U의 비타민 D가 함유 되어 있습니다.
참치나 정어리와 같은 등 푸른 생선 한 토막(50g) 안에는 12이0 정도의 비타민 D가 있습니다.
단위 그램당 비타민 D를 가장 많이 함유한 음식은 잡채 재료로 많이 사용하는 목이버 섯입니다.
마른 목이버섯의 경우 100g당 440pg의 비타민 D가 들어 있습니다. 대부분 표고버섯에 비타민
D가 많다고 알고 있지만 목이버섯의 비타민 D 함량이 표고버섯보다 많습니다.
하루 1.000IU의 비타민 D를 섭취하려면 등 푸른 생선을 매일 7~8 토막 이상 먹어야 합니다.
우유나 요거트는 매일 10컵 혹은 건조 시리얼의 경우 5~10인분을 먹어야 합니다. 버섯도 열풍
건조된 것이 아닌 햇볕에 말린 것을 찾아야 합니다.
한국 남성들은 아내가 아침에 시리얼을 주면 정성이 부족하다고 화를 냅니다. 그러나 비타민 D
섭취 측면에서는 밥과 국 그리고 나물로 준비된 정성스런 한식보다 비타민 D가 강화된 시리얼
과 저지방 우유틀 먹는 것이 더 낫습니다.(펌글)
첫댓글 만약 햇볕을 충분히 받기가 어렵거나 음식으로 충족시킬 수 없으시다면
비타민D 보충제 섭취를 권장 드립니다.일반적으로 비타민D 혈중농도가
20ng/ml 이하 일 때 비타민D 결핍증이라고 합니다!이 기준에 미치지 못하면
별도로 비타민D 보충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권장하는 일일 비타민D 요구량은
소아, 청소년 200IU성인 50세 미만 400IU 성인 50세 이후 800IU 라고 합니다.
비타민D 보충제는 본인의 혈증 비타민D 농도를 측정한 뒤 자신에게 맞는
적절한 용량을 처방받아 복용하시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저도 작년 년말 피검사
결과 비타민D 결핍으로 나와 보충제를 복용하고 있습니다. 나이들면 비타민,미네랄
결핍으로 건강 이상이 많이 발생 합니다. 검사 해 보시고...보충제를 꼭 드시는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