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하(麾下)
장군의 지휘 아래, 또는 장군 지휘 아래에 딸린 군사를 말한다.
麾 : 기 휘(麻/4)
下 : 아래 하(一/2)
(유의어)
기하(旗下)
당하(幢下)
예하(隸下)
절하(節下)
아래 또는 아래쪽이나 밑을 나타내는 하(下)를 붙여서 자신을 낮추고 상대를 높이는 존칭으로 쓰는 말이 많다.
고리타분한 표현이지만 이전 대통령이나 장군에게 각하(閣下)라고 호칭한 것이나 더 오래된 것으로 황제에게 폐하(陛下), 왕에게 전하(殿下), 세자에게 저하(邸下) 등이다.
용상으로 오르는 돌계단이 폐(陛)이고 정승들이 정사를 논의하던 곳이 폐(閣), 세자가 거처하던 높은 집이 저(邸)로 불렀기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예스러운 것 말고도 부모의 보살핌을 말하는 슬하(膝下)나 상대방을 높인 대명사 귀하(貴下)도 있고, 교황을 높여 성하(聖下)라고도 칭한다.
황제나 왕에 대한 존칭 구별은 송(宋)나라의 고승(高承)이란 사람이 쓴 사물기원(事物紀原)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옛날 군대에서 장군이 가진 대장기 등 깃발을 휘(麾)라고 했다. 이것으로 병사를 지휘했기 때문에 장군에 직속된 모든 군사나 그 진영을 나타내는 말로 휘하(麾下)가 나왔다. 희하(戲下), 희하(戱下)라고 써도 같은 뜻이다.
여러 곳에서 용례를 볼 수 있는데 먼저 사기(史記)부터 보자. 위기무안후(魏其武安侯) 열전에 나온다.
獨二人及從奴十數騎 馳入吳軍 至吳將麾下 所殺傷數十人.
독이인급종노십수기 치입오군 지오장휘하 소살상수십인.
오직 두 사람과 노복 십여 기만 오나라 군대에 치고 들어가 오의 장군기 아래에 이르러 수십 명을 살상했다.
한서(漢書) 이광(李廣)전에는 ‘이광은 청렴하여 상을 받으면 아래 병사들에게 나눠주고, 음식은 아래 군사들과 함께 나눴다’란 부분이 있다.
廣廉 得賞賜 輒分其戲下 飲食與士卒共之.
광렴 득상사 첩분기희하 음식여사졸공지.
우리 고려(高麗) 때의 명문장가 이규보(李奎報)의 시에 사용된 것을 보자.
學士毫端鸞鳳舞(학사호단란봉무)
將軍麾下虎態趨(장군휘하호태추)
학사의 붓 끝 난새와 봉황이 춤추듯 하고, 장군의 휘하엔 범과 곰 같은 군사 달리네.
이순우(李純祐)란 상장군을 높인 노래다.
부하의 사기를 높이려면 북을 울리며 깃발을 높이 든다. 새로운 목표를 정하여 기세 좋게 앞으로 나아갈 때 기치(旗幟)를 내건다고 한다. 깃발을 걸어 높이 올리면 장병들이 적을 향해 출정한다.
새로운 일을 시작할 때 치밀하게 계획을 세우지 않고 깃발부터 올리면 우왕좌왕 병사들이 갈피를 못 잡는다. 의욕만 앞세워서는 아랫사람만 죽을 맛이고 일은 일대로 성공할 수가 없다.
▶ 麾(기 휘)는 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엄 호(广; 집)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手(수)를 바탕으로 靡(미, 휘)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手(수)가 毛(모)로 변한 글자이다. 그래서 麾(휘)는 (1)아악(雅樂)을 연주(演奏)할 때 시작(始作)과 끝을 알리는 기(旗). 누른 바탕에 용(龍)을 그렸는 데, 이것을 들면 풍류(風流)가 시작(始作)되고 누이면 그치게 됨 (2)장병(將兵)을 지휘(指揮)할 때 쓰던 대장기(大將旗), 교룡기(蛟龍旗) 따위의 군기(軍旗)를 통틀어 이르는 말 등의 뜻으로 ①기(旗) ②대장기(大將旗: 지휘하는 깃발) ③가리키다 ④부르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기 당(幢), 깃발 번(幡), 기 치(幟), 기 정(旌), 기 기(旗), 기 독(纛)이다. 용례로는 주장의 지휘 아래 또는 그 아래 딸린 사졸을 휘하(麾下), 지휘하여 움직임을 휘동(麾動), 휘하의 병정을 휘병(麾兵), 휘를 눕힘을 언휘(偃麾), 휘를 아래위로 흔듦을 점휘(點麾), 지휘하는 데 쓰는 기를 정휘(旌麾), 대장이 명령할 때에 사용하였던 기를 대휘(大麾), 병졸을 지휘할 때 쓰는 기의 한 가지인 작은 휘를 소휘(小麾), 아악을 연주할 때에 지휘봉처럼 쓰는 기의 한 가지인 휘를 들어 올림을 거휘(擧麾) 등에 쓰인다.
▶ 下(아래 하)는 ❶지사문자로 丅(하)는 고자(古字)이다. 밑의 것이 위의 것에 덮여 있는 모양이며, 上(상)에 대한 아래, 아래쪽, 낮은 쪽, 나중에 글자 모양을 꾸며 지금 글자체가 되었다. ❷지사문자로 下자는 ‘아래’나 ‘밑’, ‘끝’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下자는 아래를 뜻하기 위해 만든 지사문자(指事文字)이다. 下자의 갑골문을 보면 윗부분은 오목하게 아랫부분은 짧은 획으로 그려져 있었다. 윗부분의 오목한 형태는 넓은 대지를 표현한 것이다. 아래의 짧은 획은 땅 아래를 가리키고 있다. 그래서 下자는 아래를 가리키고 있다 하여 ‘아래’나 ‘밑’이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모습은 금문에서 숫자 二(두 이)자와 자주 혼동되었기 때문에 소전에서는 아래의 획을 세운 형태로 바꾸게 되면서 지금의 下자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그래서 下(하)는 (1)아래. 밑 (2)품질(品質)이나 등급(等級)을 상(上)과 하(下), 또는 上, 中, 下로 나눌 때의 가장 아랫길(끝째). (3)일부 한자로 된 명사(名詞) 다음에 붙이어 ~밑에서, ~아래서의 뜻으로, 그 명사가 조건이나 환경 따위로 됨. 나타냄. ~하에, ~하에서, ~하의 형으로 쓰임 등의 뜻으로 ①아래 ②밑(물체의 아래나 아래쪽) ③뒤, 끝 ④임금 ⑤귀인(貴人)의 거처(居處) ⑥아랫사람 ⑦천한 사람 ⑧하급(下級), 열등(劣等) ⑨조건(條件), 환경(環境) 등을 나타내는 말 ⑩내리다, 낮아지다 ⑪자기를 낮추다 ⑫못하다 ⑬없애다, 제거하다 ⑭물리치다 ⑮손대다, 착수하다 ⑯떨어지다 ⑰항복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낮을 저(低), 낮을 비(卑), 내릴 강(降), 항복할 항(降), 낮출 폄(貶),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윗 상(上), 높을 존(尊), 높을 고(高)이다. 용례로는 공중에서 아래쪽으로 내림을 하강(下降), 값이나 등급 따위가 떨어짐을 하락(下落), 어떤 사람의 도급 맡은 일을 다시 다른 사람이 도거리로 맡거나 맡기는 일을 하청(下請), 아래쪽 부분을 하부(下部), 강이나 내의 흘러가는 물의 아래편을 하류(下流), 산에서 내려옴을 하산(下山), 낮은 자리를 하위(下位), 공부를 끝내고 학교에서 집으로 돌아옴을 하교(下校), 한 달 가운데서 스무 하룻날부터 그믐날까지의 동안을 하순(下旬), 정오로부터 밤 열두 시까지의 동안을 하오(下午), 차에서 내림을 하차(下車), 위에서 아래로 향함을 하향(下向), 보호를 받는 어떤 세력의 그늘을 산하(傘下), 일정한 한도의 아래를 이하(以下), 치적이 나쁜 원을 아래 등급으로 깎아 내림을 폄하(貶下), 상대방을 높여 부르는 말을 귀하(貴下), 끌어 내림이나 떨어뜨림을 인하(引下), 원서나 소송 따위를 받지 않고 물리치는 것을 각하(却下), 낮아짐이나 내려감 또는 품질 따위가 떨어짐을 저하(低下), 아랫돌 빼서 윗돌 괴고 윗돌 빼서 아랫돌 괴기라는 하석상대(下石上臺), 붓만 대면 문장이 된다는 하필성장(下筆成章), 아랫사람의 사정이나 뜻 등이 막히지 않고 위에 잘 통함을 하정상통(下情上通), 어리석고 못난 사람의 버릇은 고치지 못한다는 하우불이(下愚不移)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