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체연구회 샘들의 생생한
미디어 수업 이야기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실천 사례를 한눈에 읽는다
지은이 : 전국국어교사모임 매체연구회 (송여주, 권혜령, 오은영, 이귀영, 임세희, 장은주, 최은옥)
펴낸곳 : (주)해냄에듀 / 펴낸날 : 2019년 8월 15일 / 책의 형태 : 신국판(152×225)
책의 장정 : 무선날개 / 면수 : 240면 / 값 : 16,000원 / ISBN 978-89-6446-170-9
분야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책소개
선생님들이 실제로 수업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실천 사례를 한눈에 읽는다
이 책은 교육과정 분석에서 수업과 평가까지 선생님들의 실제 미디어 수업 사례를 담고 있다. 미디어 교육과 관련하여 여러 이론서들이 있지만 실제로 미디어를 활용한 수업 경험들을 모아 놓은 사례는 드물다. 학교에서 미디어 교육을 하려고 하는 여러 선생님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미디어 수업의 방향,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수업, 평가를 모두 아우르고 있다.
이 책은 크게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하기 위해 알아 두어야 할 기본적인 내용을 다룬 1부와 교사들이 실제 수업한 생생한 사례를 다룬 2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학교에서의 미디어 교육의 필요성과 내용, 어려움을 짚어 보고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2부에서는 매체연구회 선생님들이 미디어 유형별 수업을 계획하고 실천한 과정에서 느낀 성과와 고민을 진솔하게 드러내고 있다. 또한 미디어 유형별 워크북 및 학습지를 출판사 홈페이지에서 내려받아 수업 시간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저자소개
매체연구회
전국국어교사모임 매체연구회는 학생들의 삶과 밀착된 미디어를 통해 삶을 위한 국어 교육을 하려는 모임입니다. 1998년부터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국어 교육의 연계를 실천해 왔습니다. 『삶의 시, 삶의 노래』, 『국어 시간에 매체 읽기』, 『국어 시간에 매체 가르치기』, 『슬기로운 미디어 생활』을 펴냈으며, 공부 모임에서 수업 사례 나누기, 독서 토론을 꾸준히 하고 있습니다. 초, 중, 고 교사 및 교육 연구자들에게 열려 있는 모임이며, 연구하고 실천한 것을 여러 방법으로 공유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교육 현장에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송여주_경기글로벌통상고등학교
미디어 문화와 청소년의 성장과의 관계에 관심이 많습니다. 청소년들이 자라 우리 사회의 시민으로서 공공의 가치와 개인의 욕구 사이에 균형을 이루며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으려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필수적임을 느낍니다. 그 깨달음을 매체연구회 선생님들과 함께 공부하고 학생들과 함께 수업하며 실천하고 있습니다.
권혜령_부천 상원고등학교
‘연구하며 실천하는 교사’로 살겠다는 젊은 시절에 품은 마음을 들여다보며 제 속도와 보폭에 맞게 걸어가려 합니다. 매체연구회 선생님들과 『슬기로운 미디어 생활』을 함께 썼습니다.
오은영_서울 장곡초등학교
미디어, 사람, 공간을 사랑하는 교사입니다. 세상을 주체적으로 바라보는 안목을 기르고 삶과 연계 짓는 미디어 수업을 하고자 합니다. 씨실과 날실을 엮는 마음으로 오늘도 시행착오를 겪으며 여전한 부족함을 열정으로 채우고 있습니다.
이귀영_전주 양현고등학교
게임 제작자를 꿈꾸며 수많은 밤을 게임으로 지새우던 학창 시절의 힘으로 아이들과 미디어로 만나고 있습니다. 매체연구회 선생님들의 뒤를 따르며 미디어 수업을 배우고 있습니다.
임세희_서울 풍성중학교
2005년부터 매체연구회에서 함께 하고 있습니다. 청소년 문화, 교실 문화에 관심이 많습니다.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즐겁게 참여하는 미디어 수업, 세상과 교실을 연결 짓는 미디어 수업, 세상을 보는 법을 알게 해 주는 미디어 수업을 아이들과 함께 열심히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장은주_서울 마곡중학교
세상을 비추는 미디어를 재료로 수업을 만드는 일이 좋습니다. 어떻게 하면 함께 더 즐겁고, 현명하게 미디어 교육을 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최은옥_고양 대화중학교
‘가장 좋은 매체는 바로 교사다.’라는 말을 가슴에 품고 ‘재미’와 ‘의미’, 이 둘을 모두 잡는 좋은 매체가 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 미디어 생활』에 이은 두 번째 책 작업입니다.
목차
[1부] 학교에서의 미디어 교육
거부할 수 없는 흐름, 미디어 교육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어떻게 해야 할까?
[2부] 수업으로 실천한 미디어 교육
뉴스로 세상 보기, 뉴스로 내 삶 읽기
자본주의의 욕망, 광고 읽고 표현하기
몰입의 즐거움, 게임으로 세상 이해하기
그리고 올리고 읽고 나누기, 웹툰
영화처럼, 카메라에 담은 우리들의 이야기
유튜브와 SNS로 소통하기
매체 변형, 새로운 의미와 가치의 탄생
•.QR 코드를 통해 워크북 및 학습지를 해냄에듀 홈페이지에서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책속으로
교사들은 늘 자신보다 어린 세대들을 만난다. 그런데 지금 우리가 만나고 있고, 앞으로 만날 아이들은 현재 40대 이후인 교사들과는 성장 배경과 물적 조건이 전혀 다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실시한 2017년도 인터넷 이용 실태 조사에 따르면, 한국 인터넷 이용률과 스마트폰 이용률은 각각 90.3%와 87.8%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편이다. 10대의 인터넷 이용률과 스마트폰 이용률은 각각 99.9%와 97.2%로 청소년들 중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는 거의 없다. 또한 인터넷 이용자의 99.3%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인터넷 미디어를 이용한다. 한편 4차 산업인 인공지능, 사물 인터넷, 가상 현실, 가상 화폐 등이 현실화되면서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한 인간 생활의 변화는 그 폭을 가늠하기 힘들다.
디지털 네이티브인 청소년들은 유·소년기 때부터 스마트폰을 장난감처럼 다루기 시작했다. 골목과 놀이터에서 놀았던 어른들과는 달리, 유·소년기 시절에 스마트폰으로 영상을 보거나 게임을 하고 SNS를 하며 대화한다. 또 개인용 PC의 시공간적 제한성에서 벗어나 걸어 다니면서도 스마트폰을 들여다본다. 모든 자료는 디지털화되어 인터넷에 있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공유한다. 네트워크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여 유튜브와 같은 플랫폼들에서 동영을 공유하고 있다. 청소년 중에는 이러한 플랫폼에서 1인 방송을 하며 활동하는 경우도 있다. 오늘날 미디어는 청소년들의 경험의 핵심이며 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힘이다. 다음 세대들에게 미디어란 무엇인가를 질문하고 탐구하는 과정이 학교에 없다면 그것은 교육의 방치에 다름 아닐 것이다.
추천사
세상이 무척 빠르게 변하고 있다는 말을 자주 듣습니다만 그 빠른 변화를 주도하는 것은 미디어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매체연구회 선생님들은 이렇게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미디어를 교육에 접목시키려고 한결같이 매달려 왔습니다. 선생님들이 수업으로 실천한 사례를 보면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맞춰 미디어 교육도 매체 읽기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으로 범위가 넓어지고 깊어진 것 같습니다. 『미디어 수업 이야기』는 자세한 설명을 곁들인 다양한 수업 사례들을 바로 교실에서 실행해 보고 싶도록 용기를 북돋우는 훌륭한 안내서입니다.
—고용우(전국국어교사모임 이사장)
미디어 교육은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학교 밖 실제 삶에서 경험하는 미디어의 힘과 작용 방식을 올바로 이해함으로써, 스스로의 삶을 성찰하고 시민적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교육이다. 이 책은 미디어 교육을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리터러시 교육의 변화를 위해 함께 학습하고 지혜를 모으며 성장해온 매체연구회 선생님들의 또 다른 역작으로, 현대 디지털 환경에서 미디어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모든 교사, 교육 연구자, 교육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정현선(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출판사 서평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실제 수업을 만나다
미디어 환경의 변화로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미디어와 미디어 텍스트를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서 이해하고 비판하며 창조적으로 표현하고 사회적으로 참여하기 위한 능력 및 태도를 갖추기 위한 교육이다. 또한 미디어가 전달하는 정보나 문화 콘텐츠에 적절히 접근하여 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미디어를 활용하여 의미 있는 정보와 문화를 생산하고 전달할 수 있는 능력 및 윤리적으로 책임 있게 미디어를 이용하는 태도를 함양하는 교육을 의미한다.
『매체연구회 샘들의 생생한 미디어 수업 이야기』는 이러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관한 관점을 바탕으로 수업을 구상하고 실천한 과정을 담고 있다. 이 책에는 매체연구회 교사들이 국어 수업 시간뿐만 아니라 창의적 체험 활동, 자유 학기, 동아리 활동 시간 등 가능한 모든 시간에 행한 학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활동이 제시되어 있다.
미디어 유형별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에 대한 실제 경험들을 모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실천서이자,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수업, 평가를 모두 아우르는 이 책은 학교에서 미디어 교육을 하고자 하는 선생님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본문 미리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