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악" 재정 적자…나랏빚 급상승, 투표하러 가기 전 체크! [숫자로 알 수 있는 지금의 일본] / 10/21(월) / TV아사히계(ANN)
총선거에 대해 생각하는 참고가 될 최근의 일본의 상황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소개하게 되었다. 솔직히 마음이 무겁다. 일반적인 말투를 쓰면 「나쁜 데이터」 「우측하향의 데이터」가 많아지는 것을 처음부터 알고 있기 때문이다. 요즘 우리 건강검진 수치 같은 것이다.
◇ 재정적자 국제적 이상상태 고착화
그래서 거론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 일본의 재정 적자, 즉 나랏빚이다. 계속 증가해 약 1100조엔까지 쌓여 버렸다.
나랏빚은 국제적으로 GDP 대비로 비교되지만 첫머리 그래프처럼 일본의 채무잔액은 257%(2.57배). G7=주요 7개국에서 나쁜 의미의 "독주 상태"를 계속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세계 178개의 나라·지역에서도 단연 최악이다(2022년).
일본의 재정 적자는 국제적으로는 분명히 비정상이다. 버블 붕괴 후의 1990년대부터 세수가 침체한 한편으로 세출이 계속 증가해, 그 보충으로부터 재정 악화가 확대되었다. 게다가 그 이상함이 최근 들어 고착화되고 있다.
빚은 급상승으로 불어나고 있다. 사사건건 「경제 대책」이라고 칭해 도깨비 방망이를 휘둘러 온 나가타쵸의 "축제의 흔적"이다.
국가는 세금으로 이뤄진 셈이고 국채 잔액이 늘어난다는 것은 세금으로 갚아야 할 빚이 늘고 있다는 얘기다. 최종적으로 변제하기 위한 세금을 실제로 부담하는 것은 장래의 세대라고 하는 것이 된다.
일본 사회의 미래에 어두움을 느끼는 가장 큰 뿌리는 여기에 있다. 더욱이 현재도 이미 과거의 빚을 갚도록 하고 있다는 점도 잊어서는 안 된다.
◇ 초인플레이션에 걸릴 위험을 누구에게
나랏빚인 국채가 아무리 늘어나도 매수자 측인 국민의 자산만 늘어날 뿐 정부는 파탄이 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더욱이 빚을 갚는 것을 우선시하는 정책이 통과될 가능성은 애초부터 낮다.
그러나 빚이 늘어나면 언젠가 어느 단계에서 시장에 의한 정부에의 신용이 저하해, 초인플레이션과 국채의 가치 저하가 일어나는 것이 역사다.
일본의 과거에서도, 공채 의존도가, 이미 전쟁 전인 1930년대 중반에는 군사비의 팽창으로 4할 가까이로, 게다가 전쟁 중에는 군사비 회계를 포함해 7할 초과에 이르렀다. 그 외상은 결국, 전후 수년간의 약 22000%(220배, 대전전비)에 이르는 하이퍼·인플레이션에 의한 국민의 부담으로 처음 정리되었다. 자산이었을 국채의 가치도 있었던 것은 아니다. 사실상의 '떼어먹기'다.
우리 대부분이 모르고 지내온 초인플레이션의 위험을 자식과 손자 세대에게 떠넘기는 것이 좋은가. 이미 감당할 수 없는 인플레이션이 올 것 같은 조짐이 느껴지지 않는가.
◇ 경제 대책이나 급부는 필요성의 판별이 필요하다
재정 적자의 대 GDP비를 낮추려면 재정 지출의 재검토에 의한 「분자의 축소」와 경제성장에 의한 GDP 즉 「분모의 확대」의 양륜이 필요하다.
그러나 사회보장비가 중심인 재정지출을 크게 줄이기도 어렵다면 GDP를 급신장시키는 것도 현실적이지 않다.
절약 제1의 "재정 지상"이라든가 지출 우선의 "적극 재정"이라고 하는 양 극단이 아니라, 밸런스를 잡으면서 줄타기를 하고, 일본의 국제적 신용을 떨어뜨리지 않도록 하면서, 재정을 유지·개선해 나가는 수밖에 길은 없다.
각 당의 공약·정책은 경제 대책이나 급부를 중심으로 한 재정 지출로 끌어당기기 쉽다. 그것이 나라의 장래까지 책임진 것인가.
유권자는 그 재정 지출이 필요한지 선심성인지, 재원이 있는지 빚을 늘릴 뿐인지도 포함한 시점에서 판별할 필요가 있다.
불편한 데이터라고 해서 그걸 눈감아주거나 그냥 넘어갈 수는 없다. 인간의 일생과 달리 일본이란 나라는 계속되고 계속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된 건 왠지", "앞으로 어떻게 할 건가". 선거공약이나 후보자가 교묘하게 잘못된 인식이나 무책임한 것을 꾸며서 호도하지 않았는지를 데이터를 통해 판단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