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錦江)
신동엽
1
우리들의 어렸을 적
황토 벗은 고갯마을
할머니 등에 업혀
누님과 난, 곧잘
파랑새 노랠 배웠다.
울타리마다 담쟁이넌출 익어가고
밭머리에 수수모감 보일 때면
어디서라 없이 새 보는 소리가 들린다.
우이여! 휘어이!
쇠방울소리 뿌리면서
순사의 자전거가 아득한 길을 사라지고
그럴 때면 우리들은 흙토방 아래
가슴 두근거리며
노래 배워 주던 그 양품장수 할머닐 기다렸다.
새야 새야 파랑새야
녹두밭에 앉지 마라.
녹두꽃 떨어지면
청포장수 울고 간다.
잘은 몰랐지만 그 무렵
그 노랜 침장이에게 잡혀가는
노래라 했다.
지금, 이름을 달라졌지만
정오(正午)가 되면그 하늘 아래도 오포(午砲)가 울리었다.
일 많이 한 사람 밥 많이 먹고
일하지 않은 사람 밥 먹지 마라
오우우.... 하고,
잘앗티
콩이삭 벼이삭 줍다 보면 하늘을
비행기 편대가 날아가고
그 때마다 엄마는 그늘진 얼굴로
내 손 꼭 쥐며
밭두덕길 재촉했지
내가 지금부터 이야기하려는
그 가슴 두근거리는 큰 역사를
몸으로 겪은 사람들이 그땐
그 오포 부는 하늘 아래 더러 살고 있었단다.
앞마을 뒷동산 해만 뜨면
철없는 강아지처럼 뛰어 다니는 기억 속에
그래서 그분들은 이따금
이야기의 씨를 심어주고 싶었던 것이리.
그 이야기의 씨들은
떡잎이 솟고 가지가 갈라져
어느 가을 무성하게 꽃피리라.
그 일을 그분들은 예감했던 걸까
그래서 눈보라치는 동짓달
콩강개 묻힌 아랫목에서
숨 막히는 삼복(三伏) 순이 엄마 목매었던
그 정자나무 근처에서 부채로 매미소리
날리며 조심조심 이야기했던 걸까
배꼽 내놓고
아랫배 긁는
그 코흘리개 꼬마들에게
2
우리들은 하늘을 봤다.
1960년 4월
역사(歷史)를 짓눌던, 검은 구름장을 찢고
영원(永遠)의 얼굴을 보았다.
잠깐 빛났던
당신의 얼굴은
우리들의 깊은
가슴이었다.
하늘 물 한아름 떠다
1919년 우리는
우리 얼굴 닦아놓았다.
1984년쯤엔
돌에도 나무등걸에도
당신의 얼굴은 전체가 하늘이었다.
하늘,
잠깐 빛났던 당신은 금세 가리워졌지만
꽃들은 해마다
태양(太陽)과 추수(秋收)와 연애(戀愛)와 노동(勞動)
동해(東海)
원색(原色)의 모래밭
사기 굽던 천축(天竺) 뒷길
방학이면 등산모 쓰고
절름거리며 찾아나섰다.
없었다.
바깥세상엔, 접시도 살점도
바깥세상엔
없었다.
잠깐 빛났던
당신의 얼굴은
영원(永遠)의 하늘
끝나지 않는
우리들의 깊은
가슴이었다.
(이하생략)
(서사시 『금강』, 1967)
[어휘풀이]
-오포 : 정오를 알리는 포(砲)
-콩강개 : 콩누룽지. ‘강개’는 ‘누룽지’의 방언
-나무등걸 : 줄기를 잘라 낸 나무의 밑동
-천축 : 인도의 옛 이름
[작품해설]
전쟁의 생채기를 꽃의 핏빛 이미지로 보여 준 「진달래 산청」(1959)에 이어 격동의 1960년대 초반을 지나온 신동엽은 4.19를 돌아보는 화자의 서정적 정서를 드러낸 「산에 언덕에」(1963)를 통해 그리운 사람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을 노래한다. 이 시를 통해 1960년대 대표적 참여 시인으로 자리를 잡은 그는, 격동기를 겪으면서 역사의 허구성을 목격하게 됨으로써 권력의 폭력성을 배격하는 목소리를 지니게 된다. 민중⸱민족⸱민주의 정치적 신념을 드러낸 「껍데기는 가라」((1967)를 발표하여 우리 시문학사에 커다란 발자취를 남긴 그는, 「종로5가」(1967)를 거쳐 마침내 자신의 문학적 역량이 하나로 집약된 장편 서사시 「금강」을 발표함으러써, 민족 시인으로서 자신의 이름을 이 땅에 깊이 새겨 놓고 1969년 39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나갔다.
이 시는 2장씩 전 ⸱ 후시를 포함하여 총 30장 4800여 행의 장편 서사시로 실존 인물인 전봉준과 가공 인물인 신하늬로 대표되는 인물군(人物群)들을 등장시켜 동학혁명을 형상화하고 있다. 동학혁명이라는 역사적 사건의 시화(詩化)를 통해서 민중적 세계관과 반외세에 대한 시인의 인식 태도를 보여 주는 이 시는 여러 인물들 사이에 얽힌 사건들이 교직(交織)될 뿐 아니라, 시간의 넘나듦을 통해 재구성된다. 특히 기존에 발표했던 「종로5가」⸱「산사」 등의 여러 서정시를 삽입하여 형상화하는 특징도 함께 보여 준다.
이 시의 대체적인 사건 진행은, 기이하게 태어난 후 초혼에 실패했다가 진아를 만나는 신하늬와 동학에 입교하였다가 조병갑의 학정에 아버지를 잃은 전봉준과의 만남과 헤어짐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들의 만남은 동학혁명으로 시작되며, 혁명의 실패로 끝난다. 즉 혁명이 실패하자 신하늬는 아들을 낳은 후 죽음에 이르고, 전봉준은 체포 구금되어 형장의 이슬로 사라지게 된다. 이런 운명적인 만남을 통하여 화자는 역사의 유구함을 화자 자신으로 추정할 수 있는 신하늬의 아들에세서 확인한다.
신동엽은 민족사를 관통하고 있는 사건들인 동학혁명, 한국전쟁, 4.19 등에서 현실 인식의 뿌리를 찾아 이를 정당하게 해석하고자 한 시인이었다. 그는 시대의 아픔을 민중적인 시각에서 재해석하여 보여 줌으로써 이 나라에 새로운 문학적 전망을 열어 놓았다. 나아가서는 1970년대 민중⸱민족 문화의 튼튼한 뿌리를 참여시라는 형태로 선도함으로써 자신의 시사적 위치를 더욱 값진 것으로 한 시인이었다.
[작가소개]
신동엽(申東曄)
1930년 충청남도 부여 출생
단국대학교 사학과 및 건국대학교 대학원 국문과 졸업
1959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시 「이야기하는 쟁기꾼의 대지」가 당선되어 등단
1967년 장편 서사시 「금강」 발표
1969년 사망
1980년 유고시집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발간
시집 : 『아사녀(阿斯女)』(1963), 『금강』(1967), 『신동엽전집』(1975),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1980), 『꽃같이 그대 쓰러지면』(1989), 『젊은 시인의 사람』(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