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way 네트워크 스피커 만들기

이번에는 2way 스피커에서 우퍼와 트위터의 대역(주파수)를 나누어 주는 회로(네트워크)를 설계해보 갰습니다. 네트워크는 우퍼와 트위터에 들어가는 신호 의 주파수를 나누어주는 회로이고 코일, 콘덴서, 저항 등의 부품이 들어가는데 그에 대한 역할을 알아보고 네트워크의 차수와 설계를 진행해보겠습니다.

콘덴서
네트워크에 들어가는 콘덴서의 종류로 전해 콘, 필름 콘, 오일 콘 등으로 나누어지는데 순서대로 비싸진다. (콘덴서 1개에 2만 원이라...) 콘덴서는 교류 성분을 통과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코일과 달리 저역은 차단하고 고역을 통과 시기 때문에 트위터에 직렬로 연결하여 저역이 흘러들어가 트위터가 고장 나는(터지는) 걸 막는 역할을 합니다. 콘덴서의 용량(uF)이 커질수록 높은 대역을 통과시킵니다.

코일
스피커의 네트워크에 들어가는 코일은 철심 코일, 공식 코일로 나누어지는데 나는 공심 코일을 사용했다. 코일은 전자기 유도와 관련이 있다. 그래서 고역은 차단하고 저역을 통과시켜 우퍼 쪽에 연결하면 고역은 차단되고 저역만 소리 나는 걸 느낄 수 있고 코일 용량 (mH 밀리 헨리) 가 높을수록 더 낮은 주파수만 통과시킨니다.

저항
종류로는 시멘트 저항, 산화 금속 피막 저항, 금속 피막 저항 등이 있으며 순서대로 비싸진다.(저항 주제에 만 원이 넘는다 ㅆ)
그래서 나는 시멘트와 산화 금속 피막 저항을 섞어 썼다. 저항의 역할로는 음압 감쇠 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트위터의 소리만 너무 셀 때 저항을 넣어 음압을 감쇠시켜 밸런스를 맞추는 용도로 쓰인다.
네트워크 차수
네트워크는 소리를 걸러주는 일종의 필터이다. 차수는 그 소리를 몇 번 걸러주는 가와 관련이 있다고 본다. 그리고 차수가 높아질수록 커팅 주파수의 감쇠율이 올라간다. 이거 말고도 필터링 주파수, Q에 따른 분류가 있는대 양이 많아지고 어려움으로 생략 ㅋ(자세한 건 고수들에게 물어본다)

첫댓글 2way, 3way 스피커를 직접 튜너해 사용한다면 서로 연결하는 네트워크가 필요합니다. 저항으로 아주 간단하게 만든 것도 있고 트랜스를 감아서 스피커통 안에 설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옛날 스피커통은 조립한 나사가 교묘하게 숨어 있어서 내부를 뜯어보지 못하게 단단하게 만들었습니다. 유닛을 유심히 관찰해서 숨어있는 나사를 찾아서 제거하면 스피커 유닛을 통에서 분리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스피커 네트워크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 관찰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