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뇌(煩惱)
마음이 시달려서 괴로움 또는 그런 괴로움.
卍 불교 ▽
산스크리트어 클레샤(kleśa)를 번역한 말로, 혹(惑)ㆍ수면(隨眠)ㆍ염
(染)ㆍ결(結) 따위의 뜻이 있다. 마음이나 몸을 괴롭히는 노여움ㆍ바
람ㆍ어리석음 따위의 망념, 실체가 없는 '나'를 실재하는 것으로 믿는
데서 일어나는 나쁜 경향의 마음 작용을 말한다.
불교의 궁극의 목적은 번뇌를 극복하여 열반(涅槃)의 경지에 이르는
것이고, 특히 대승불교에서는 번뇌가 곧 깨달음이라 하여, 번뇌의 성
품이 비었음을 깨우치는 것이 번뇌를 근본적으로 극복하는 첩경이라
고 가르친다.
유식(唯識)에서는 번뇌를 모든 괴로움의 근본이 되는 탐욕ㆍ성냄ㆍ
어리석음과 만(慢)ㆍ의(疑)ㆍ악견(惡見) 등 여섯 가지의 근보번뇌(根
本煩惱)와 이에 수반하여 일어나는 게으름ㆍ불신ㆍ경망스러움ㆍ교만
등 스무 가지의 수번뇌(隨煩惱)로 구분한다.
卍 용례 ▽
백팔번뇌(百八煩惱) : 108가지의 번뇌. 우리의 육근(六根: 眼ㆍ耳ㆍ
鼻ㆍ舌ㆍ身ㆍ意)이 그 대상인 육경(六境: 色ㆍ聲ㆍ香ㆍ味ㆍ觸ㆍ法)을
대할 때, '좋다', '나쁘다', '좋지도 않고 나쁘지도 않다'는 3종의
마음에서 일어나는 18종의 번뇌와, 여기에 '즐겁다', '괴롭다', '괴
롭지도 즐겁지도 않다'는 3종의 수(受)로 일어난 18종의 번뇌를 합
한 36번뇌가 삼세(三世)에 걸쳐서 난다고 하여 모두 108가지의 번
뇌가 된다.
첫댓글 감사합니다......_()_
감사합니다.
_()_ _(())_
번뇌는 우리의 나쁜 버릇에서 나타나는 현상
그래서 아집(我집)을 제거 해려고 수행 하는것 이지요
좋은 공부하고 갑니다
....나무묘법연화경()()()
예, 제행이 무상하고 제법이 무아인데 이 사실을 깜빡하고 영원히 실재하는 줄 알고 내것인 줄 알다 보니
_()_ _(())_
고가 생기고 번민이 생기고 생각대로 내맘대로 안 되니 짜증나고 답답하고 망상이 생겨나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