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E (Long Term Evolution=장기간 진화=변천사).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1G. 2G. 3G. 4G에서 G는 Generation(세대)
LTE란 3세대 이동통신을 장기적으로 진화시킨 기술을 의미함
2008년 12월 LG전자가 세계 최초로 단말기용 LTE칩을 개발하였고,
2009년 12월 삼성전자가 LTE 단말기 세계 최초로 상용 서비스를 시작
최대 75Mbps의 속도로 1.4G 영화 한 편을 2분 안에 내려 받을 수 있고
이동 중에도 끊어짐 없이 즐길 수 있고
LTE기술덕에 언제 어디서나 영화도 보고 인터넷 서핑도 할 수 있게 됨
이동통신 세대 구분의 기준은 바로 속도로, 이동통신 세대를 결정하게 되는데
LTE는 3G의 속도를 5배 이상, 대폭 향상시킨 서비스라는 점에서,
당당히 4G라는 이름을 얻었다.
01. 1세대(1G)는 혁명의 시작
아날로그 방식이지만 선 없이 음성통화 밖에 할 수 없었던 시대.
우리나라에서는 88 서울올림픽을 기점으로 보급되기 시작.
당시 휴대폰은 승용차 한 대 가격과 맞먹는 부의 상징.
지금의 전화기와 비교하면 벽돌크기, 그러나 당시로는 혁명.
02. 2세대(2G)는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전환
2세대 이동통신은 CDMA와 GSM으로 표준이 나뉜다.
1996년 당시 세계 이동통신 업계에서 '변방의 기술'로 치부되던
CDMA 기술이었지만 반대를 무릅쓰고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시켜
우리 휴대폰이 국내는 물론 해외에 날개를 달고 수출됨.
03. 3세대(3G) 기술
1. 2세대의 기능에 영상통화까지 가능.
전송속도가 빨라지고, USIM 기술이 도입되는 등 기술의 진화.
휴대폰으로 할 수 있는 것들이 많아지면서 스마트폰이 등장하고.
영상전화, 인터넷. TV. 영화. 업무 등 다양한 기능들을 하나의 기기에서 구현.
3세대 스마트폰의 등장
3세대를 대표하는 단말기 애플사의 아이폰.
국내에서는 삼성전자의 갤럭시 시리즈,
LG전자에서는 옵티머스 시리즈 등이 출시, 본격적으로 스마트폰 열풍
04. LTE(Long Term Evolution) 시대(4G).
LTE란 3세대를 넘어서 4세대 통신망으로 넘어가는 과정으로 생각하면 됨.
4G는 3G 기술 중에서도 WCDMA가 진화한 기술이며
2009년 12월 스웨덴, 노르웨이에서 최초로 상용화되었고
우리나라에서는 2011년 7월 LG유플러스와 SKT가 상용화해 현재 서비스 중,
LTE는 3G보다 최대 5배 빠른 속도를 제공해서 큰 인기.
참고로 U+LTE는 3월 말까지
‘세계 최초 LTE 전국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 중.
(현재 전국 84개 시에서 이용가능)
첫댓글 "차돌"교수님 새로운 LTE의 스마트폰의 정보글 잘 보았습니다! ^*^.
새 세상 형님께 배운 것 쪼매 정리 해 본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