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발 4천m가 넘는 험준한 고원에 사는 티벳 사람들의 신산(辛酸)한 삶을 다룬 EBS 다큐멘터리
'차마고도(車馬古道)'에는 소금밭 염정(鹽井)이 나온다. 바다의 융기덕분에 내륙이 된 티벳 란창강
강물로 소금을 만드는 옌징 홍염마을에 있다.
강가 지하수를 양동이에 담아 머리에 이고 날라 나무 구조물로 만든 소금밭을 일구는 티벳여인들의
거칠고 억척스런 삶을 보면 경외감을 느껴진다. 소금은 이들에게 '신의 선물'이다. 황량하고 삭막한
오지에서 살 수 있는 것은 오로지 소금 때문이다.
흔히 소금은 바닷물을 원료로 하는 천일제염법을 연상하지만 차마고도의 란창강변 홍염마을처럼
지하수(지하 200m)를 끌어올려 소금을 생산하는 암연(巖鹽)도 있다.
라오스 수도 비엔티엔 근교에도 이런 암연이 있다. 이 곳이 내륙지역이라고 믿기 힘들만큼 제법 규모가
큰 콕사앗(Khok satth) 마을의 염전이다. 지금은 연륙교가 있는 서해안의 섬, 증도의 바닷가 염전을
연상케한다. 아마 이곳은 수만년전엔 바다였을 것이다.
이 때문에 지하수는 짠맛이 나는 간수가 올라와 식수로 사용할 수 없었다. 그래서 마을주민들은 소금기가
있는 지하수를 끌어올려 전통적인 방식으로 염전을 일구고 소금을 생산했다.
변변한 공장도, 대규모 농장도 없는 라오스는 공산품은 물론 식료품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소금'만은 자급자족한다. 콕사앗 주민들은 처음부터 끝까지 수작업으로 소금을
생산해 라오스 전지역에 공급한다.
차마고도의 홍염마을은 소금을 만드는 전 과정을 여자 혼자 감당하지만(남자들은 차와 소금을 말에 싣고
수백km에 걸친 험준한 강길과 산길을 걸어 생필품과 교환한다) 콕사잇마을 주민들은 온 가족이 아침
일찍부터 소금생산에 매달린다. 물론 아이들도 부모와 함께 따라 나선다.
콕사앗 염전에 들어서면 실망스럽다. 간혹 외국 여행객들이 소문을 듣고 찾아 오기도 하지만 염전에
오래 머무는 관광객은 거의 없다. 소금창고는 다 쓰러질듯 낡고 흙길엔 먼지가 풀풀 날리며 소금밭은
단조롭다.
바다가 없는 내륙마을의 염전이라는 호기심만으로 관광객들의 기대치를 만족시키기는 쉽지 않을 터다.
하지만 안으로 깊숙히 뻗어있는 염전과 소금창고 가까이 다가가 유심히 바라보면 매력적인 풍경이
기다린다.
소금밭에 지하수를 퍼 올린 물을 부어놓으면 뜨거운 남국의 햇살에 물기가 마르며 서서히 소금결정체가
하얗게 드러난다. 마을주민들에겐 고생스런 삶의 애환이 스며있는 터전이지만 소금밭 풍경은 그림처럼
시선을 끌었다.
이 소금을 온 마을 주민들이 모두 나와 밀대로 밀대로 밀어 중간중간 쌓아놓는다. 한창 학교다니거나
멋부릴 나이인 10대 여학생이나 20대 처녀들도 소금밭에서는 남자 못지 않은 귀한 일꾼이다.
20대 초반인 사진속 처녀는 소금밭에서 선머스마처럼 맨발로 고된 노동을 하면서도 소박한 미소로
반겨주었다.
이렇게 쌓아놓은 소금을 마을 장정들이 손수레를 이용해 다시 가마솥으로 옮긴다. 고품질 소금을 생산하기 위해서다. 우리나라에서 한때 '염전노예'가 사회문제가 될 만큼 '극한직업'일 수도 있지만 이곳 주민들은
따갑고 짠내나는 소금밭에서 온 종일 일하면서도 표정은 밝다.
요즘처럼 비가 내리지 않는 라오스의 건기(乾期)엔 염전도 성수기다.
쌓아놓은 소금을 손수레로 나르는 마을주민들은 대부분 맨발로 일하고 있지만 힘든 내색없이
한 눈 팔지않고 일에 집중하고 있었다.
소금물이 흘러 밀가루를 풀어놓은듯 물색이 하얗게 변한 염전옆 개울 풍경은 무척 생경하다.
소금기때문인지 도랑에는 수초(水草)도, 물고기도 전혀 보이지 않았다.
황톳길옆 나무로 얽기설기 만든 낡은 창고로 들어서면 소금을 가열시키는 재래식 소금공장이 나온다.
염전에서 햇볕으로 말린 소금을 대형 사각형 철판에 부은 후 다시 나무 장작으로 20시간 정도 끓이면
살균처리가 된 소금만 남게 되는데 마지막으로 이를 대나무 바구니에 넣고 남은 물기마저 완전히
제거하면 양질의 '천일염'을 얻을 수 있다.
품질좋은 소금을 만드려면 10시간 이상 직사각형 대형철판속에 담긴 소금물을 저어줘야할 만큼 고된
노동이 뒤따른다. 염전에서 가져온 탁한 소금위의 바구니에 담겨진 정제된 양질의 순백색 천일염은
뽀얗게 빛난다.
재래식 소금공장 선반엔 소금물이 흘러내려 동굴속의 종유석처럼 굳어진 소금고드름.
엄마^아빠가 염전에서 일하는 동안 소금창고 '해먹'에 누워 스마트폰으로 게임에 빠진 귀여운 꼬마도
몇 살만 더 먹으면 소금밭 일손을 보태게 될 것이다.
소금밭 끝에 줄지어 선 낡은 소금창고가 콕사앗 소금마을의 역사를 알려준다.
그 옛날 이곳에 정착한 마을주민들은 도저히 마실 수 없는 지하수에 절망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지금은 그 지하수가 소금을 만드는 귀한물이 됐다.
소금만드는 과정이 고생스러워도 지하수는 마을주민들에겐 삶을 지탱해주는 생명수다.
첫댓글 신안 증도와 정말 많이 닮은 느낌이네요. 그래도 기후가 많이 달라서 직접 가심 다른 느낌일듯... 내륙깊숙한 곳에서 소금생산이라 세상에 상식을 엎는 신기한건 끝이 없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