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목 : 예도진도 - 민속문화예술 수도 진도
* 저 자 : 박영관
* 분 량 : 144쪽
* 가 격 : 12,000원
* 책 크기 : 182x 257mm
* 초판인쇄 : 2022년 12월 07일
* ISBN : 979-11-92487-88-5(03810)
* 도서출판 명성서림
저/자/소/개
梅軒(매헌) 朴英寬(박영관)
■ 문학박사, 시인, 아동문학가, 한시인, 서예인
■ 출생 : 전남 진도
■ 학력 : 목포교육대학
광주교육대학(교육학사)
행정학사(평생교육진흥원)
한국교원대학교(교육학석사)
조선대학교(문학박사)
서울대학교 교육행정연수원 수료
■ 경력 : 초등학교 교사, 교감, 교장(우수영초등학교장 정년 퇴임)
■ 상훈 : 황조근정훈장 외 다수
■ 문학 등단 : 계간 문학춘추
■ 예술활동인증명 확인서 : [문학, 전통미술(미술)], 한국예술인복지재단
■ 서예 : 사) 대한민국기로미술협회 초대작가
사) 한국서예·미술협회 초대작가
사) 대한민국소치미술대전 추천작가(진도미술협회)
■ 저서 :『내 사랑 진도 - 매화 꽃보라 사이로 -』 『玉峯 白光勳의 交遊詩』
■ 작사 :「내 사랑 진도」
■ 동요 :「비」,「은구슬 금구슬」,「내 동생」,「반가」등
■ 활동 : 전) 통일부 통일교육위원
전) 대한민국재향군인회 안보교수
전) 한국문인협회 진도지부장
현) 한국문인협회 재정협력위원
현) 독도의용수비대정신교육 강사
현) 민방위 강사
현) 통일부 통일교육 전문강사
현) 전라남도평생교육진흥원 문해교육 강사
현) 진도군 한글교육 강사
현) 진도문화원 부원장
■ 이메일 : rgo1070@daum.
지은이의 말
진도는 2022년 8월 1일 현재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3종[강강술래(2009), 아리랑(2011), 농악(2014)], 유형문화재 27종(국가 12, 도 15), 무형문화재 12종(국가 5, 도 7) 보유자 15명(국가 6, 도 9)이다. 향토문화유산은 36종(유형 23, 무형 13)이다. 대단하다. 더구나 진도를 주제로 연구한 학자들을 보면 2022년 10월 14일 현재 석사학위 262명, 박사학위 논문 발표자가 39명이나 된다. 지구상의 어느 지역과 견주어도 손색이 없다.
민속문화예술이 영롱하게 간직된 진도! 그래서 2013년 전국 최초로 유일하게 「민속문화예술특구」로 지정되지 않았는가? 진도는 예부터 시(詩)·서(書)·화(畵)·창(唱)으로 이름난 곳이며 토속적인 문화가 빼어난다. 이제는 지방자치단체와 중앙정부 차원의 노력과 지원이 절실하다.
이제 진도는 「민속문화예술특구」를 벗어나 「예도(藝都 : 민속문화예술의 수도) 진도(珍島)」라고 칭해야 한다.
진도의 나무와 작은 풀 한 포기, 돌멩이 하나에도 정감이 넘친다. 이런 진도의 산과 들은 바다와 조화롭게 어울려 정과 흥이 되어 멋을 돋운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진도문화원과 한국한시협회진도지회, 한국예총진도지회, 한국문인협회진도지부 회원은 든든한 멘토였다. 또한 말없이 응원해준 내자와 5녀 1남의 자녀들은 넘어지지 않게 마음을 바로 세워주는 버팀목이었다.
그 어렵던 시절 배고픔을 이겨내고 누덕누덕 기워 입고 오로지 필자만을 바라보며 고달프게 사셨던, 외할머니와 어머니 영전에 ‘감사합니다’라며 큰절로 이 책을 바친다.
2022년 11월 일
개미산 기슭 모옥(茅屋)에서 매헌 박영관
지은이의 말 …… 1
축간사 진 도 군 수 김희수 …… 2
축간사 진 도 군의회 의 장 장영우 …… 3
축간사 한국예총진도지회장 함재권 …… 4
Ⅰ. 「예도(藝都 : 민속문화예술 수도) 진도(珍島)」 …… 7
「예도(藝都) 진도(珍島)」 …… 8
「예도(藝都) 진도(珍島)」를 가꾸려면 …… 12
「예도(藝都) 진도(珍島)」의 힘 - 문화예술인들의 예혼(藝魂)을 심어 진도를 진도답게 - …… 15
「예도(藝都) 진도(珍島)」의 믿음 …… 18
Ⅱ. 진도 문화 …… 23
뽕할머니에 대한 小考(소고) - 보배 섬을 꿈과 약속의 터전으로 - …… 24
문화 융성은 행복의 지름길 …… 30
진도 서당 …… 34
진도 문화를 담는 그릇 …… 42
명량대첩을 다시 생각한다 …… 45
진도 문화의 꽃 …… 50
기본이 바로 선 문화 …… 54
진도 문화의 마중물 …… 57
정월대보름 …… 60
어린 시절 즐겨 하던 놀이 …… 64
호남의 유배문화 활용방안 …… 68
Ⅲ. 좋은 말 쓰기 …… 73
좋은 말 아름다운 얼굴 …… 74
행복 특구를 이끄는 말씨 …… 77
우리 말 좋은 말 바로 쓰기 …… 80
Ⅳ. 바른 행동 …… 85
좋은 생각, 행복한 세상 만들기 운동 -좋은 생각 행복한 동행 …… 86
바른 행동 꿈을 실현하는 지름길 …… 89
바람직한 부모의 역할 …… 92
Ⅴ. 바른 마음 가꾸기 …… .96
홀로서기 …… 97
참고 베풀고 즐기자 …… 100
새로운 길을 찾아서 …… 102
독서하는 진도 군민 …… 106
누나 그리고 어머니의 삶 …… 110
보배의 땅을 일구며 …… 114
군민이 함께하는 독서 …… 118
아버지란 이름 …… 122
후박나무 같은 어른 …… 125
어릴 때의 회상 …… 129
작은 재능 기부 행복의 뒷마당 …… 132
청렴한 목민관 - 진도의 큰 바위 얼굴을 기대하며 - …… 136
부록 …… 138
문화재 현황 …… 138
유형문화재 …… 138
무형문화재 …… 139
진도군 향토문화유산 현황 …… 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