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신도시 입주민 교통편의 높였다.
▶ 대중교통 중심의 대책으로 광역‧시내‧마을버스, DRT 등 총 194대 확충
▶ 출‧퇴근 시 배차간격 5~40분 단축, 하루 이용객 약 7만 명 상승
▶ (검단) DRT 배차간격 43% 단축(△17분), 이용객 128% 증가(11,456명)
▶ (고덕) 시내 1452번 배차간격 50% 단축(△15분), 이용객 160% 증가(1,887명)
▶ (동탄 2) 시내 116-2번 배차간격 67% 단축(△40분), 이용객 41% 증가(380명)
□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위원장 강희업)는 올해 수도권 29개 집중관리지구*에 대한 대중교통 중심의 단기 특별․보완대책 수립 및 이행을 통해 각 지구별 입주민의 교통편의를 높였다고 밝혔다.
* ①입주가 진행되었거나 1년 이내에 입주 예정 지구 중 ②개선대책 이행률 또는 집행률이 50% 미만이거나 철도사업 1년 이상 지연된 지구
ㅇ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이하 대광위)는 작년 10월 「신도시 등 광역 교통 개선 추진방안」을 마련하여 집중관리지구 등을 선정한 후,
ㅇ 화성 동탄 2, 수원 호매실 지구에 대한 특별대책*을 시작(22.10)으로, 시흥권(군자․목감․은계․장현) 등에 대한 보완대책(`23.5)까지 수도권 29개 지구에 대해 단계적으로 특별․보완대책을 수립**하였다.
* 「광역교통법」에 따라 광역교통 특별대책지구로 이미 지정된 경우 특별대책으로 수립하였고, 그 외 지구는 보다 신속하게 대책 수립‧이행을 위해 보완대책으로 추진
** 주민간담회 및 대광위, 개발사업자, 지자체 등과 TF 운영을 통해 대책 마련
ㅇ 이들 대책 내용은 광역․시내․마을버스 노선 신설 또는 증차, 수요응답형 교통수단(DRT) 확충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광역교통 특별․보완대책 수립 및 이행에 따른 주요 효과는 다음과 같다.
① 특별대책 지구로 지정된 화성 동탄 2, 수원 호매실, 평택 고덕지구의 경우, 화성 동탄 2는 광역․전세버스 24대 확충으로 이용객 2,244명/일 증가, 시내․마을버스 14대 확충으로 이용객 2,134명/일 증가하였다.
- 수원 호매실은 광역․전세버스 19대 확충으로 이용객 1,082명/일 증가, 시내․마을버스 3대 확충으로 이용객 1,071명/일 증가하였다.
- 평택 고덕은 광역버스 12대 확충(신설)으로 이용객 683명/일 이용, 시내․ 마을버스 15대 확충으로 이용객 5,538명/일 증가, DRT 15대 신설로 이용객 1,100명/일 이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