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채소 - 김장배추 파종시기와 재배법
채소의 파종 시기
종 류 |
시 기 |
품 목 |
|
|
|
파종
시기 |
|
씨 앗 |
모 종 |
3월초 ~
3월 중순 ~ |
쑥갓, 방울토마토, 고추,
알타리, 도라지
감자, 대파, 당근, 호박,
부추, 상추, 대파1차, 가지,
완두콩 |
고랭지배추, 딸기 |
4월초 ∼
4월 중순 ~ |
토마토, 오이, 참외, 봄배추, 옥수수, 청경채, 시금치1차, 얼갈이
수박, 토란, 들깨, 생강,
강낭콩, 양배추, 열무, 호박, 작두콩, 약콩, 결명자 |
쑥갓, 상추, 양상추, |
5월 초순 ∼ |
여름 청상추, 근대, 아욱,
땅콩 |
케일, 신선초, 방울토마토, 호박, 청상추 |
5월 중순 ~ |
참깨, 무1차, 검정콩 |
고추, 가지, 토마토, 오이, 수박, 참외, 여름 청상추, 고구마, 호박, 봄배추,
들깨 |
6월 초 ~ |
시금치 2차 |
대파, 무1차 |
6월 중순 ~ |
메주콩, 조, 수수 |
|
김장
파종
모종
심기 |
8월 초 ∼
8월 중순 |
김장배추 파종 |
8월 중순 ∼
9월 초 |
김장배추 모종, 쪽파, 시금치 3차 파종 |
8월 중순 ∼
8월 말 |
김장무, 양파 파종 |
9월 중순 ∼
9월 말 |
상추, 대파 2차, 부추2차, 아욱, 알타리, 갓, 돌산 갓,
춘채 |
10월 초 |
마늘 | |
김장 무우, 배추, 알타리, 상추, 갓 심는 시기와 방법
http://blog.daum.net/tmkor/
8월 20일경 김장 무우 씨앗 파종,
8월 말 ~ 9월 초 김장배추를 모종하는 시기이다.
풀을 제거하고 퇴비를 다시 넣고 흙을 뒤집은 뒤 씨앗을 파종한다.
무나 배추를 심을 밭은 가스장애를 방지하기 위해서 일주일전 쯤 밭을 만들어야 한다. 밭을 갈 때에는 먼저 석회를 뿌리고 밭을 갈아엎는다.
그리고 퇴비를 충분히 넣고 요소비료(복합)도 주고 미량의 붕사도 준다.
김장배추
1. 포트(8월초)
2. 밑거름(퇴비, 복합비료, 붕소)--깊이 갈아준다- 두둑 및 고랑을 만들어 준다.
3. 멀칭 --- 30cm간격으로 구멍을 내고 --- 물을 충분히 주고 -- 1포기씩 정식(8월말 - 9월초)
4. 배추가 자리를 잡으면 진딧물 방제(2회 정도) - 배추 묶음 전에 배추벌레를 반드시 잡아준다.
* 배추벌레를 잡아주지 않으면 묶은 상태에서도 생존하기 때문에 속이 모두 썩음
김장 무우
1. 직파
2. 밑거름(퇴비, 복합비료, 붕소) - 깊이 갈아 준다. -- 두둑 및 고랑을 만들어 준다.
3. 한 뼘 간격으로 씨앗 3~4개 직파 후 물을 준다.
4. 추후 튼튼한 놈 하나만 남긴다.
요소비료(복합비료)는 조금만 넣고 나중에 웃거름으로 2번 정도 더 주는데 티스픈 하나 정도로 뿌리에 닿지 않게 배추(무우)와 배추(무우) 사이에 뿌려주고 물을 뿌려서 흙속으로 녹아 들어가게 한다.
요소비료는 많이 주면 배추의 맛이 쓰고 좋지 않으므로 용량에 주의해야 한다.
붕사가 부족하면 무우는 속이 비거나 검게 되는 장애를 입을 수 있고, 배추는 배추잎에 검은 반점이 생길 수 있다.
붕사는 엽면시비를 해도 되는데 엽면시비는 붕사 0.3%를 2~3회 한다.
[물2L(2,000cc 팻트병하나)+붕사6cc]를 2~3회에 나누어서 잎에 뿌리면 된다.
[붕사를 녹일 때는 약간 뜨거운 물로 해야 녹는다]
석회비료도 많이 사용하면 토양을 황폐화 시키고 붕사의 흡수를 방해 한다고 하니, 석회와 성분이 비슷한 난각칼슘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무우는 배추 모종을 이식하기 일주일 전쯤에 직파를 하는 것이 좋고, 땅 속으로 뿌리가 자라는 직근성 작물이므로 땅을 깊이 갈아야 하며 뿌리가 잘 내리도록 흙을 부드럽게 해두는 것이 좋다.[돌맹이도 없게]
무우씨는 너무 깊이 심으면 발아율이 떨어지므로 씨앗 크기의 3배 정도의 깊이로 심는 것이 좋으며, 파종 후 20일 정도는 생육에 중요한 시기 이므로 초기에 물을 충분히 줘야 한다.
파종 후 20일경에 추비를 해주어야 하고 그 다음에는 15일 간격으로 추비를 하고 수확 20일 전에는 추비를 마친다.
배추는 모종을 심는 것이 좋고, 김장용 배추는 90일 배추를 심는다.
김장용 배추는 중부지방에서는 보통 처서를 전후해서 모종을 정식 하는 것이 좋다.
김장용 배추의 모종을 내기 위해서는 배추종자의 육묘기간이 보통 15일~25일정도 걸린다고 하니, 미리 계산해서 모종을 준비하면 된다.
[모종을 사서 심을 경우 어떤 씨앗으로 만든 것인지 반드시 확인하고 구입을 하는 것이 좋다]
물론 배추를 직파한다고 해서 안 되는 것은 아니지만, 직파를 하면 잎이 두껍고 거칠어서 맛이 떨어지고, 한창 더운 8월에 직파를 하면 무더위에 발아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새싹들이 벌레 때문에 잘 자라지를 못한다.
그리고 배추는 건조에 약해서 물을 잘 줘야하며, 밭도 물 빠짐이 잘 되어야 한다.
초기에는 물을 많이(매일) 줘야 엽수가 많이 생기고 엽수가 많이 생겨야 속이 꽉 찬 배추를 재배 할 수 있다
배추는 영하 5~7도 정도가 되면 얼고, 무우는 영하로 내려가면 언다.
배추의 병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배추 잎마름병과 배추속이 녹는 꿀통배추는 석회부족으로 생긴다고 한다.
석회부족은 석회성분이 부족해서 생기기도 하지만 물이 부족해도 석회결핍이 생길 수 있다.
무사마귀병 일명 뿌리혹병도 있는데 무사마귀병이 생겼던 밭에는 내병계 배추인(CR배추)를 심는것이 좋지만, 종자 값이 비싸고 맛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래도, 연작을 하거나 지난해 무사마귀병이 있었던 밭에는 반드시 내병계 배추를 심는 것이 좋다.
CR배추 보다 한 단계 더 위에는 CR맛배추가 있고 그 보다 한 단계 더 위에는 추월배추가 있다고 한다.
김장배추의 종류
속이 하얀 일반배추[장미배추, 조생미호배추]→맛이 떨어지지만 저장성은 우수하다.
속이 노란 배추[불암3호, 노랑김장배추, 휘파람]→맛이 좋고 고소하지만 저장성이 떨어진다.
알타리 무우
알타리는 생육기간이 짧아 김장무 만큼 거름을 많이 먹지 않지만 그래도 충분히 준비해야 한다.
밭은 평이랑으로 만들고 잘 발효된 거름을 평당 2kg 정도로 주고 쇠갈퀴로 흙과 잘 섞어 준다.
거름은 반드시 발효된 걸 주되 파종하기 일주일 이전에 뿌려 준다.
흙과 섞으면서 30cm 간격으로 헛골을 만들어 준다.
파종 시기는 김장무 보다 일주일 정도 늦게 심는다.
봄에는 5월 초 입하 지나서, 가을에는 8월 말 처서 지나서 심는다.
처음엔 손가락 만해졌을 때 솎는데, 이 정도로는 비빔밥 재료로 좋고, 두 번 째는 한 뼘 만해졌을 때 솎는데 이 정도는 되어야 김치재료라 할 만하다.
파종 방법은 줄뿌림을 하는데, 씨앗 간격이 1cm되는 느낌으로 살살 뿌려 준다. 줄 간격은 30cm 정도면 된다.
8월 초 ∼ 8월중순 김장배추씨앗 파종
8월 중순 ∼ 9월초 김장배추 모종, 상추모종,
8월 중순 ∼ 8월말 김장무 파종
8월 중순 ∼ 9월중순 알타리, 갓, 돌산갓, 춘채
더 많은 정보는
전원의향기 클릭 하세요.
첫댓글 퇴비, 석회, 붕소를 먼저 땅갈 때 넣고 나서 로타리칠 때 복합비료 나중 넣어야지
비료랑 석회 같이 넣으면 석회가 비료 중 질소질을 공기중 날려 버려서 안됨(퍼온 글)
참고로, 석회가루는 입상(알맹이)보다 가루가 효능이 좋다고 하는데, 가루가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조심하세요^^
* 배추파종전 복합비료인가요 아니면 요소비료 뿌리고 로타리치나요??
복합비료+붕사+비리약(진딧물약.고자리약) 이렇게 3가지를 밭갈이할 때, 넣으시면 됩니다.
* 무는 약35~40cm. 배추는 약45~50cm 간격이 적당.
비리약이라함은 땅속 진딧물, 굼벵이등 뿌리를 갉아먹는 해충들인데요.
농약상에가셔서 배추심기전 해충 방제약을 달라면 됩니다.
좋은정보 감사 합니다.
유익한 정보 감사 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무심택 그럼 더 할 수 없이 좋지요^^
남부지방에는 9월에 심으면 되겠네요 그냥 부산 옥상텃밭에 50포기정도 심어보려구요
정말 좋은정보 입니다 퍼가요 감사~~^*^
정말 고마운 분들 많으세요 ㅎㅎㅎㅎ 저도 살살시작해 봐야죠~!
텃밭에 배추와 무우가 잘 자라고 있어요
무우는 너무 늦게 파종하여 아직도 작아요
배추는 잎이 하나씩 노랗게 병들어가고 있어요
어떻게 해야하나요?
좋은자료 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