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제품보다 비싼데도‘러브콜’ 받는 3D검사장비
고영테크놀러지
2004년 초 대만 타이베이. 현지의 한 전자업체 사무실에서 전자부품 검사장비에 대한 비교 테스트가 열리고 있었다. 한국과 미국 장비 중 어떤 것을 구매할지 시험하는 중이었다. 고광일 고영테크놀러지 사장(당시 47세)은 연신 물을 들이켰다. 자신이 심혈을 기울여 개발한 제품을 외국 기업에서 처음 평가받는 순간이었다. 짧은순간 그간의 일들이 주마등처럼 스쳐갔다. 2002년 서울 시청 부근에서 친구의 사무실 책상 두 개를 빌려 사업을 시작하던 일. ‘남들이 따라올 수 없는 제품을 개발하자’ ‘기술력으로 승부하자’ ‘해외 시장을 겨냥하자’고 의기투합하던 일. 여기저기서 자금을 어렵게 구해 연구한 끝에 제품을 완성하고 뛸 듯이 기뻐했던 일 등등.
고 사장에게는 대만에서의 승부가 세계시장 진출을 가늠하는 첫 번째 관문이었다. 그는 사업을 시작할 때부터 글로벌 시장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 전자 분야에 강한 대만은 무척 중요한 시장이었다. 마침내 테스트 결과가 발표됐다. 승리였다. 고 사장과 직원은 손바닥을 마주치며 환호성을 질렀다. 기술력과 성능 면에서 모두 미국 제품을 앞질렀다는 평가였다.
그러나 기쁨도 잠시, 최종 계약은 미국 업체에 돌아갔다. 고영테크놀러지가 신생업체여서 신뢰할 수 없다는 게 주된 이유였다. 한국 내 몇몇 대기업에 대한 납품실적도 이런 결과를 뒤집지 못했다. 고 사장은 눈물을 삼켰다.
지멘스 납품… 성공 발판마련
그해 중반 고 사장은 장비를 싣고 다시 유럽으로 향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와 베를린에서 각각 시연했다. 이번에는 달랐다. 벤처기업이라는 게 문제가 되지 않았다. 현지 기업은 엄격하게 성능을 시험하고 꼼꼼하게 스펙을 따진 뒤 고영테크놀러지의 손을 들어줬다. 다름 아닌 글로벌 전자업체인 지멘스였다. 당시 150년 넘는 역사를 지니고 190여 개 국에서 활동하던 지멘스가 창업한 지 2년 된 한국 중소기업 제품을 산 것이다. 비로소 수출 문이 트였다.
다음은 미국이었다. 이곳에서도 기술력은 통했다. 세계적인 반도체업체 등으로부터 주문을 받았다. 그동안의 자금난과 조바심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었다.
고영테크놀러지는 수출을 시작한 지 10년도 안 돼 ‘3D 전자부품 검사장비’ 분야에서 세계 최고 업체로 올라섰다. 2011년 무역의 날에 ‘5000만불 수출탑’을 받았다. 고영테크놀러지 제품은 1700개 기업에 수출되고 있다. 내수 비중은 19%에 불과하다. 수출국은 유럽의 독일, 프랑스, 스웨덴 등과 북미의 미국, 캐나다, 그리고 중남미의 멕시코, 브라질 등과 동남아 각국이다. 고객 중에는 독일의 세계적 자동차 전장업체인 콘티넨탈오토모티브와 일본 캐논그룹 등이 들어 있다. 몇몇 업체는 이 회사 장비를 자사 생산라인의 표준장비로 결정한 상태다. 이 회사 제품은 독일 제품에 비해 20~30% 비싸다.
이 같은 성공 비결은 무엇일까. 한 마디로 ‘두 걸음 앞서가는’ 기술력이다. 이 회사가 만드는 제품은 ‘표면실장기술(SMT·Surface Mount Technology)’ 공정과 반도체 후공정에서 납의 면적, 부피, 형상 등을 측정해 사용자에게 전해주는 장비다. 전자부품 생산의 첫 단계에서 불량 여부를 관리해 수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고 사장은 “그 전에는 이를 2차원으로 검사했는데 우리가 3차원 장비를 개발해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청주에서 태어난 고 사장은 서울대 전기공학과를 나와 미국 피츠버그공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공은 로보틱스다. 미래산업 연구소장으로 일하다가 2002년 창업했다. 그는 남들이 어렵다고 말하는 분야에 도전해 성공하는 게 주특기다. 미래산업 시절엔 뛰어난 성능의 표면실장장비를 개발해 글로벌 전자업체들을 깜짝 놀라게 했다.
두 걸음 앞서가는 기술력
창업 후에는 남들이 2차원 검사장비에 매달려 있을 때 이보다 10배 이상 어려운 ‘3차원 프린팅 후 검사장비’를 개발해 주위를 긴장시켰다. “당시 미국의 한 반도체업체가 고영이라는 한국의 이름 없는 중소기업이 3차원 검사장비를 개발하자 거래처인 독일과 일본 업체에 이 장비의 제품화를 의뢰했는데 결국 해당 회사들이 손을 들고 포기한 일도 있다.”고 사장이 전하는 일화다.
전체 직원의 40%가 연구원인 고영테크놀러지가 최근 미국 인공지능연구소를 비롯한 3개 연구소 개설에 나섰다. 고광일 사장은 “샌디에이고에 ‘고영인공지능(AI)연구소’를 설립하고 소장에 강진만 박사(컴퓨터공학박사)를 영입했다”며 “강 박사는 휴랫팩커드에서 키보드 없이 제스처만으로 컴퓨터를 작동시키는 제품을 연구한 팀장급 연구원 출신”이라고 설명했다. 고영AI연구소는 초기에 5명의 연구원으로 출발하되 점차 인원을 늘려 20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고 사장은 “이 연구소는 스마트 공장 관련 연구를 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2016년 5월에는 뉴욕주립대 빙햄턴캠퍼스에 ‘고영 스마트전자제품제조연구소’도 출범시켰다. 이 연구소는 뉴욕주립대교수 3명을 비롯, 연구원과 생산장비(칩마운터 등)를 네트워크로 연결해 전자제품 생산공정의 이상 유무를 실시간으로 파악해 이를 개선하는 과정을 연구하게 된다. 고 사장은 “고영이 생산하는 ‘납도포검사(SPI)장비’ 와 ‘납땜 및 부품실장검사(AOI)장비’는 생산공정 상 센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어느 공정에서 무슨 문제가 있는지 파악해 공정을 최적화하는 연구를 하게 된다”고 말했다. 고 사장은 “이게 바로 스마트공장 구현의 핵심기술 중 하나”라고 덧붙였다. 올 하반기에는 KAIST에 인공지능연구소(가칭) 설립을 추진 중이다.
불황에 미래를 대비하다
이같이 잇따라 3개연구소를 발족시키는 것은 미래 먹을거리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고 사장은 “우리는 불황일 때 미래를 준비한다는 생각으로 불황일 때 투자를 늘린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4차산업혁명의 물결이 거세게 일고 있는 지금이 커다란 기회”라고 덧붙였다. 이 회사는 전체 매출의 10% 가량을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있으며 전체 직원(403명, 해외 포함)의 42%인 170명을 연구원으로 두고 있다. 캐논을 비롯한 글로벌 기업 등 1700개사를 고객으로 두고 있으며 최근에는 독일 보쉬와 5년간 납품 독점계약을 연장하기도 했다.
이 회사는 한양대 의대를 비롯한 여러 대학병원과 함께 개발 중인 ‘3차원 뇌수술용 로봇’이 금년 하반기 중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의료장비 승인 신청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에서는 하버드 의대와 같이 연구개발하고 있다. 이 장비는 환자 두뇌부위를 촬영한 자기공명영상(MRI) 및 컴퓨터단층촬영(CT) 영상에 자사의 3D 센서기술과 로봇시스템 등을 결합해 실시간으로 환부와 수술도구 위치를 파악, 신경과 혈관 등 치명적인 부위를 피해 수술하도록 돕는 장치다.
고영테크놀러지는 개방된 문화를 갖고 있다. 2016년 7월 8일에는 전 직원이 서울 가산동 본사에 모인 가운데 사장이 직원들에게 상반기 실적을 설명하는 자리를 가졌다. 정기적으로 회사의 현황과 비전을 전임직원이 공유하고 있는 것이다.
고 사장은 서울대 공대를 나와 미국 피츠버그대에서 로봇공학으로 박사 학위를 땄고 LG전자와 미래산업을 거쳐 2002년 창업했다. 고영테크놀러지의 2015년 매출(연결 기준)은 1459억 원, 당기순이익은 235억 원이었다. 수출액은 2014년 1159억 원에서 2015년 1214억 원으로 증가했다. 2016년 1분기 매출은 370억 원으로 전년동기보다 17.2% 늘었다. 당기순이익은 54억 원이었다.
고영테크놀러지는 독특한 문화를 갖고 있다. 우선 직원들의 출퇴근이 자유롭다. 늦게 나와도 누가 뭐라고 하지 않는다. 자기 일은 자기가 알아서 처리하라는 것이다. 둘째, 헬스클럽은 반드시 이용해야 한다. 1주일에 두 시간은 일과 중 사내 헬스클럽에 가야 한다. 의무사항이다. 이 회사의 이보라 부장은 매주 월요일과 금요일에 운동을 한다. 오후 4시부터 한 시간씩 한다. 고광일 사장은 직원 출퇴근은 점검하지 않아도 운동 결과는 꼭 살핀다. 그는 “앉아서 일만 하면 배가 나오고 건강이 나빠져 일의 효율성이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고 사장은 “회사가 지속 성장하려면 먼저 직원들이 건강하고 창조적이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선 자율성을 최대한 부여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 기타 자세한 내용은 첨부한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