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구시 북구 학정동에 건립 중인 제2 경북대병원(왼쪽)과 달서구 신당동 계명대에 신축될 새동산의료원 조감도(오른쪽). |
|
|
| “약대 유치에 실패하면 낙동강에 몸을 던질 수밖에 없다.”(경북대 노동일 총장, 지난달 15일 국정감사 업무보고)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국립대는 기초학문 육성에 주력해야 한다.”(계명대 신일희 총장, 지난달 8일 기자간담회)
약학대학 유치전에 나선 두 대학 총장의 말이다. 내년 1월 초 교육과학기술부의 약대 신설 대학 결정을 앞두고 두 대학의 신경전이 치열하다. 경쟁은 올 6월 보건복지가족부가 전국 대학의 약대 정원을 1210명에서 1700명으로 늘리기로 하면서 시작됐다. 1982년 이후 27년 만의 증원이다.
약대 선정 작업을 맡은 교과부는 대구지역 1개 대학에 50명을 배정할 예정이다. 두 대학 중 한 곳이 탈락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신설 약대는 학년당 정원이 50명(전체 200명)이지만 교수는 20명이 넘는다. 학생 10명당 교수 1명을 확보토록 하는 것이 교과부의 복안이다. 연간 등록금(900만원 안팎) 수입을 합쳐도 교수의 급여와 각종 실험실습비를 충당하기 어렵다. 이들 대학 관계자는 “약대를 유치한다 해도 돈이 많이 들어 고민”이라고 털어놓는다.
그런데도 약대 유치에 매달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대구시의 첨단의료복합단지 사업과 관련이 있다. 이곳에서 주도하는 신약·건강식품 개발 등의 프로젝트에 참여하려면 반드시 약대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새로운 의약품을 개발하면 큰 수익을 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의약계열의 경쟁력도 확보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경북대는 수의과대·농업생명과학대·치의학전문대학원 등 관련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차별화된 여건을 내세운다.
계명대는 전통미생물자원개발 및 사업화센터, 만성질환예방 및 치료화학제연구센터 등을 설립해 10여 년 전부터 관련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약대가 인기학과여서 학생 모집도 쉽다. 졸업생은 두 대학이 운영하는 병원의 약제 부서에 취업할 수 있다. 사회적으로 영향력 있는 동문을 양성할 수 있다는 이점도 빼놓을 수 없다.
‘자존심’ 도 작용하고 있다. 대학병원이 있는 대구가톨릭대와 영남대엔 모두 약대가 있다. 없는 곳은 이들 두 대학뿐이다. 의과대·약대·간호대를 모두 갖추어야 의약계열의 위상이 높아질 수 있다고 한다. “절대 양보할 수 없다”는 말이 나오는 까닭이다.
계명대 강영욱 기획정보처장은 “30년 전부터 약대 설립을 추진하면서 1000억원의 기금을 모았다”며 “재정적 뒷받침 없이 약대를 운영하는 것은 어렵다”고 주장했다. 경북대 정희석 기획처장은 “운영자금 문제는 학교 재정의 배분에 따라 얼마든지 해결할 수 있다”며 “연구 역량을 따져 결정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이에 대해 학계에서는 “대학이 힘을 모아야 첨단의료복합단지가 성공할 수 있다”며 “두 대학이 첨예하게 대립해 선정 뒤에도 후유증이 남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홍권삼 기자 | |
첫댓글 당연 지방거점국립대학인 경북대가 되겟지.
낙동강에 몸을..-0-ㅋㅋ
수험생 입장에서는 학비 싼 곳 되는게 좋아요. 학비가 워낙 비싸니
노동일총장님 ㅜㅜㅋㅋ
제발 경대가 되었으면.... ㅠ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