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버거의 사진의 이해를 읽고 나서 정리한 내용은 크게 2가지다.
첫째, “사진은 특정한 대상이 기록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 사진가의 선택의 결과이다.”
둘째, "사진의 내용은 보이지않는다, 보이는 것을 기록하지만 보이지 않는 것을 떠오르게 하기 떄문이다."
이를 바탕으로 2024 대구 사진 비엔날레의 특별전에서도 존 버거의 ‘사진의 진짜 내용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 라는 부제로 본다는 행위와 보이는 대상과 맺는 복합적인 관계를 살펴보려는 전시를 개최하였다. 작가들은 각자의 관점으로 피사체와 관계를 맺으며, 사진이란 매체의 속성에 대해 질문하고 실험한다. 또한 현실의 단면과 일순간을 포착하는 사진에는 실재와 부재가 공존한다고 밝히며 사진안 표현을 통해 표면에 드러나지 않은의미, 잠재된 이야기를 상상할 것이라 말한다.
위 부분들을 중심으로 작품들을 해석하였다.
첫 번째로 이순희 작가의 작품들이다.
대체로 몽환적인 작품들이다. 작가의 작품을 잘 보면 검정 배경속에 있는 한 그루의 나무를 볼 수 있다. 여기서 어둠은 잠재된 이야기, 표면에 드러나지 않은 의미를 상징하며 그 속에서 나무 한 그루는 사진가의 촬영으로 인해 생기는 하나의 가치있는것이 된 존재를 상징하는 것 같다. 그렇기에 직관적인것보다 작가가 생각하는 가치를 곰곰히 생각해보며, 내포된 의미인 나무라는 생명체 속 '영의기운' 의 의미를 잘 느꼈었다.
두 번째로 안준 작가의 작품들이다.
작품들을 감상해보면 사진들이 흔들린것과 같이 묘사된 작품들을 많이 볼 수 있다. 일반적인 대상의 모습이 아닌 안준 작가가 생각하는 특정 대상의 기록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할 때를 사진 찍은것이라 생각이된다. 이것은 내가 정리한 존 버거 사진의 이해 첫 번째 내용에 해당된다고 생각이된다. 어떤 상황에서 어떤 시점에서 찍을지는 사진가의 자유로운 선택이고, 우리는 그 결과물을 지켜볼 뿐이기 때문이다. 작가는 사진들의 찰나의 순간을 바탕으로 우리에게 찰나의 중요성을 알려주는것 같기도 하였다.
세 번째로 조성연 작가의 작품들이다.
조성연 작가의 작품들의 부재인 '불안적인 균형' 에 맞게 위태위태하면서도 균형잡혀있는 모습들의 대상을 잘 찍어 작품으로 만들어낸것을 우리는 살펴볼 수 있다. 이작품들은 내가 정리한 존 버거 사진의 이해 두번째 내용인 ‘사진의 내용은 보이지않는다, 보이는 것을 기록하지만 보이지 않는 것을 떠오르게 하기 떄문이다.’ 에 해당된다 생각된다. 겉으로 보면 균형있고 나름 재밌는 모습으로 표현된 작품들이다. 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위태로운 상태의 모습을 보며 현재 우리의 삶을 떠오르게 하기도 한다. 이는 20대의 우리만이 아닌 모든사람들이 겪고있는 현 사회의 문제이기도하니, 이를 상징하고자 표현한것이 아닐까 싶다. 부정적으로는 겉과 다른 위태로운 우리의 삶.. 긍정적으로는 위태로움에도 불구하고, 균형있게 살아가는 우리의 삶.. 양측의 해석을 모두 제공하는 멋진 작품들이라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