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신쵸" 2월 14일호에
"중흥의 선조 토다 성성(城聖)의 장남의 장례시. 도다 가문은 창가학회와 무관" 이라는 제목의 기사가 게재됐다.
이 기사에 따르면, 토다 2대회장은 이케다 다이사쿠 창가학회 명예회장이 "은사"라고 찬양하고, "창가학회 회칙"에서 마키구치 스네사부로 초대회장, 이케다 삼대 회장과 함께 '영원한 지도자'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토다 2대 회장의 장남 토다 다카히사씨가 올해 1월 4일 77세를 일기로 사망. 1월 5일, 6일 양일간에 걸쳐서 빈소와 영결식이 도내의 토다 다카히사씨의 자택 맨션에서 거행되었는데, 그 때 장례 도사로는 도다의 보리사인 일련 정종 · 常在寺의 아베 信彰주지이었다. 아베주지는 1991년 창가학회를 파문 한 아베닛켄 일련정종 전 法主의 장남으로, 일련정종 종무원 선교부장을 맡는 종문 간부스님이다. 토다가문은 2000년 3월에 사망한 도다회장의 부인 토다 이쿠에씨의 장례식도 호소 珪道 常在寺주지 (당시)의 도사로 이루어졌으며, 다카히사씨는 이쿠씨의 사후에도 종종 常在寺에 참배하고 있었다고 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1991년에 일련정종에서 교리위배와 사회적 부정을 이유로 파문된 창가학회는 이후 일련정종을 격렬히 비난하고 치열한 공격을 가하고 있지만, 동시에 일련정종에서의 파문을 "헤이세이의 종교개혁"이나 "영혼의 독립 종교 르네상스"라고 주장하고 타락한 기성교단으로부터 독립 한 것처럼 강조. 장례식에 대해서도 기존의 일련 정종승려의 장례식 집행을 "장례불교"등 비난하고 창가학회 간부와 공명당의원 OB들이 장례식 도사 (의전 부원)을 맡는 "학회장" "우인장"이 현대에 적합한 장례식 형태라고 주장하여 왔다. 일련정종으로부터의 파문에서 창가학회가 가장 두려워했던 것은 회원의 탈퇴와 일련정종으로의 귀속이었다. 그 만큼 창가학회는 "학회장, "우인장"을 철저히 단행토록 하는 등 부심하여 회원들이 일련정종에서 장례식을 치르는 것을 금했다.
그러나 도다가문에서는 2000년의 도다회장 부인, 그리고 올해의 도다회장 아들의 장례식을 모두 보리사인 일련정종 사원의 주지의 도사로 치루었던 것이다. 이 사실은 도다가문이 창가학회의 뜻에 반하는 행동을 하고 있다든가, 창가학회에서 거리를 두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주간 신쵸" 2월 14일자 기사에 따르면, 더 이상 도다가문은 창가학회와 거리를 두는 커녕 관계를 두절상태까지 입장을 취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있다. 왜냐하면 이 기사에서 토다 다카히사씨의 미망인이 다음과 같이 코멘트하고 있기 때문이다.
⌜남편은 당뇨병을 앓아 입원과 퇴원을 반복했습니다. 유언은 있었습니다만, 장례식을 상재사 (常在寺)에 부탁하는 것은 그보다 훨씬 전에 정해져 있던 것입니다. 시아버지 어머니 모두 그랬으니 주인은 창가 학회에 대해서는 침묵을 지켰습니다. 그래서 저도 아무것도 말씀 드릴 수는 없습니다. (이런 창가와 도다가문은 문관하다는 뜻이) 예전에 이케다씨에게 전달 되었고, 연결된 것도 없기 때문에, 주인은 자신의 길을 행보했습니다. 창가 학회와 도다가문은 무관합니다. ⌟

마키구치스네사부로가 창설한 창가교육 학회를, 태평양전쟁 후 창가학회로 개칭·개편한 것은 도다성성. 그 토다 문하에서 청년참모 등을 역임한 故. 龍年光元 도의회 공명당 간사장은 생전 "창가학회의 창시자는 도다선생님 2대 회장이라는 것은 이상하다"고 주장했지만 전전(前戰)의 창가교육학회가 도쿄의 백금초등학교장 등을 역임한 교육자인 마키구치회장을 핵심으로 한 교육자 편중단체 이었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오늘의 창가학회의 기초를 세운사람은 토다 회장에 다름 아니다. 즉 그 평가는 제외하고, 도다회장이 오늘의 창가학회의 사실상의 창시

자라는 것이 될 것이다. 그 도다회장의 유족이, 창가학회 그 중에서도 도다회장의 "후계자"라고 자부·강조하는 이케다 명예회장의 뜻에 반해, 일련정종의 장례식을 반복실행하고 있다는 사실은, 이케다씨를 도다회장의 정통 후계자 믿고 수행하는 학회원에게 심각한 대조법을 제시 할 수있을 것이다. 즉 도다회장의 유족은 도다회장의 "후계자"로, 도다회장과 대등한 '영원한 지도자'로 자리 매김하고 있는 이케다씨의 뜻에 반하는 것으로, 이케다씨를 도다회장의 정통후계자 인정하지 않는 것을 명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도다가문의 의지, 특히 도다회장 부인과 아들의 명확한 의지에 필자도 언급한 바있다.
그것은 1992년 2월에 사망했던 도다회장 시대의 간부인 이시다차남의 장례식에서이다. 토다문하에서 이시다차남씨는 "세이쿄(聖教)신문"의 초대 편집장과 청년부출신 첫 창가학회 이사를 역임하는 등 토다 회장의 신뢰와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으며, 도다의 후계로도 주목 받고 있었다 . 그러나 토다 회장의 사망1년 후 1959년 참의원 선거에서 창가학회의 후보로 참의원 의원에 당선하지만, 그로부터 1년 후 2년여의 공백기간을 거쳐 이케다씨가 회장에 취임하면서 그대로 "라이벌을 잡을 수"는 있듯이 이시다 씨는 냉대되게, 1965년 참의원 선거에 출마도 허용되지 않고 실각. 이후 말년에는 공공연히 이케다 비판을 전개하기에 이르렀다. 그 이시다차남씨는 1992년 2월 3일 사망. 장례식은 일련정종의 승려를 불러 가나가와현의 장례식장에서 치러졌지만, 이 장례에 도다부인과 아들의 다카히사씨가 참석한 것이다. 이시다차남씨의 동생인 이시다 幸四郎씨는 형과는 대조적으로 이케다씨에 의해 등용·발탁, 창가학회의 남자부장·청년부장 등을 역임 한 후, 공명당 국회의원에 전진했었다. 이 이시다 幸四郎씨의 등용·발탁은 형에 본보기라고도하지만 어쨌든 이시다 幸四郎씨는 1993년 공명당위원장으로서 사상최초의 장관 (총무청장관)까지 올랐다. 마찬가지로 이시다차남씨의 친여동생 · 아키코씨는 아키야 회장부인. 따라서 아키야 회장은 이시다차남 씨의 매제에 해당한다. 그러나 동생인 이시다 幸四郎 공명당 위원장 (당시)과 친여동생 아키야 아키코씨, 그리고 동생의 남편 아키야회장(당시)은 모두 친형· 오빠. 처남인데도 불구하고 이시다차남씨의 장례식에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일본에는 "따돌림"라는 말이있다. 특정 커뮤니티에서 특정 인물이나 가족을 배제하고 관계를 단절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창가학회에 있어서는 일단 이케다씨에 반기를 들기만 하면 "따돌림"의 처사를 받는다. "중생 구제"를 기치로 하는 종교단체의 회장과 그 종교단체를 모체로 하는 "복지"와 "평화"를 표방하는 공명당 위원장이 함께 친형,오빠,처남의 장례식에조차 참석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창가학회의 종교단체에 있을 수없는 냉혹하고 무서운 체질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지적할 수있다. 창가학회 회장과 공명당 위원장이 참석하지 않았다. 이시다차남씨의 빈소, 그것도 일련정종의 승려를 초청하여 장례에 도다회장 부인과 아들은 참석한 것이지만, 당시 토다 이꾸에씨는 이미 81세 노인이었다. 고령임을, 또한 엄동 2월이라는 계절을 고려하면 조전이나 대리출석도 문제되지 않았 것임에도 불구하고, 토다의 장남은 일부러 빈소로 향했던 것이다. 필자는 참석한 토다 이꾸에씨와 말을주고 받았다. 그 속에서 동생의 공명당 위원장과 동생의 창가학회 회장이 참석하지 않은 가운데 이시다차남씨의 빈소에 일부러 참석 한 이유를 들었다.
그러자 토다 이쿠에씨는 온화하면서도 단호한 어조로 "생전에 남편이 매우, 신세를 졌습니다 때문에"라고 대답 한 것이었다. 마찬가지로 오늘날의 창가학회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었더니, 아들의 토다 다카히사씨가 "어머니는 다른 연령이므로"라고 필자의 질문을 차단하면서도 "(빈소에)참석하고 있다 것 만으로 이해해 주십시오 "라고 대답해 주었다. 토다회장이 사망한 것은 1958년 4월. 이시다차남씨의 빈소가 있던 1992년까지 이미 34년의 세월이 흐르고 있다. 게다가 이시다 차남씨는 도다회장의 제자이다. 비록 "주인 (토다회장)"의 "신세를 졌다"는 것이 노인을 무릅쓰고 참석한 토다부인. 한편, 입에서는 "중생구제"라든가 "성불"등 高言하고 있으면서, 친형· 처남의 장례식에 조차 참석하지 않았다. 창가학회 회장과 공명당 위원장. 양자의 인간성이나 인격, 혹은 사람으로의 삶과 자세는 비교하는 것도 실례라는 것일 것이다. 그리고 평소 "보은"을 강조하는 이케다 다이사쿠씨의 언동도 칭찬할 것이 못된다. 왜냐하면 이케다씨는 2000년에 "은사"이다 도다회장의 부인이 사망했을 때, 집에 조문에 방문했지만, 장례식에 참석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케다씨는 도다회장에 "보은"을 강조해 마지않으니까 "은사"부인의 빈소·영결식에는 무슨일이든 제쳐두고 달려갔어야 옳다. 본래라면 장례위원장을 맡아서 수행을 하였다고 하더라도 이상하지
는 않다. 하지만 이
케다 씨는 "은사" 여사의 빈소·영결식에 참석하지 않고, 2000년 3월 8일자 "聖教 신문"에 "토다 제2대 회장

부인 토다 이꾸에씨 별세 이케다 명예 회장이 조문"이라는 작은기사로써 집에 조문만 하는 것으로 적당히 얼버무 것이다.
그리고 "은사"의 아들이자 한때 창가학회의 고문에 취임했던 토다 다카히사씨의 사망에 즈음하여도, 이케다씨는 조문방문도하지 않고, 창가학회의 기관지 잡지에서 그 사실을 실리지도 않았다. 종교단체·창가학회 및 창가 학회를 이끄는 이케다씨를 비롯한 정상간부의 대조적 자세로써 창가학회를 창립한 토다 회장의 유족이 장
례식이라는 인생의 마무리에서 보여준 의미는 무겁다. 창가학회에 관련된 역사적 사실로 기억 될 것이다.
집필자 약력: (乙骨正生) 프리랜서 저널리스트. 1955년생. 창가중학교 소카대학 법학부 졸업. 종교·정치·사회분야 등을 취재, 주간지·월간지를 중심으로 집필. 저서에 "괴사"(교육 자료 출판회) "공명당 = 창가 학회의 야망" "공 명당=창가 학회의 진실" "사법 단죄된 창가 학회"(가모 출판) 등.
http://cafe.daum.net/allksgi/Kocd/3146?q=%EA%B3%B5%EB%AA%85%EB%8B%B9%EA%B3%BC%20%EC%9D%B4%EC%BC%80%EB%8B%A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