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세종시 수정안을 둘러싼 ‘역차별’ 논란이 이번에는 대학가로 번졌다. 고려대가 세종시에 ‘세종시연구캠퍼스(가칭)’를 설립하면서 시·도별로 1곳씩 배정될 약대 신설을 적극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충남지역 대학들은 “고대에 약대 신설권이 주어질 경우 지방대학 차별”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고려대는 세종시에 바이오사이언스와 녹색융합기술 학문 분야의 연구소와 대학원 신설을 골자로 한 ‘세종시연구캠퍼스’를 건설하겠다고 12일 밝혔다. 고려대는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약 30만㎡에 6012억원을 투자해 신약개발연구소, 바이오사이언스 대학원 등을 세울 예정이다.
고려대는 특히 정부가 추진 중인 50명 규모의 충청권 약대 신설에 뛰어든 상태다. 고려대 세종캠퍼스 관계자는 “아직 다른 대학들도 있고 해서 확실히 판단할 수 없다”며 “그러나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 우리가 열심히 노력했고, 가능하지 않겠는가 보고 있다”고 밝혔다.
충남지역에서 그동안 약대 신설에 나선 대학은 단국대 천안캠퍼스, 순천향대, 호서대, 공주대 등 8개 대학에 달한다. 이들 대학들은 고려대의 세종시 진출이 약대 설립으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약대 신설 최종 심사결과가 다음달로 예정된 가운데 고려대가 정부 정책에 부응해 세종시에 캠퍼스를 세우는 것이 평가에 변수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걱정 때문이다.
한 대학 관계자는 “정부가 세종시에 입주하는 기업과 대학들에 싼 땅값 등 파격적 인센티브 제공을 밝힌 상황에서 고려대의 ‘세종시 진출’이 가점요인이 되면 특혜 시비가 불거질 수밖에 없다”며 “지역사회 공헌과 학문적 인프라를 갖춘 지역 대학들의 약대유치 노력이 사장돼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한편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주민 반발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강태봉 충남도의회의장(63)이 이날 세종시 원안건설을 촉구하며 한나라당을 탈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