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적 언어 표현이
판치는 세대
영어 이야기 2025
connotation
kɑːnəteiʃn]
(언외 / 言外)의 의미
함축
"말 한마디로 천량빚을 갚는다,"는 속담은
말의 중요성을 강조 내지 '과장'한 것이다
리승만 대통령이 낙시를 하다가
누구나 자연스럽게 할 수 있는 '방귀'를 소리 내어 뀌었다
(방구는 꾸는 것이 아니라 뀌는 것)
그 옆에 있던 장관이 "각하 시원하시겠습니다,"라고 한 말을 가지고
'아부'한 것이라고 혹평하는 사람들이 많다.
내 생각으로는 방귀를 뀐 대통령이 무안할 듯 해서
분위기를 바꾼 지혜로운 표현이었을 것이라는 것이다.
아무튼 말의 표현이 중요한데
잘못된 언어 표현 (속담, 사자성어 그리고 성경의 인용)이
옳지 않게 쓰여지거나 우리나라의 정서와 어울리지 않는 것들이 있다
'제가 십자가를 지겠습니다,"또는 '나는 그냥 희생양에 불과합니다,"라는 것은
성경을 잘못 쓴 것을 지나 '신성 모독'에 해당된다.
The term 'carrying the cross' or 'nothing but a sarificial lamb
is a wrong CONNOTATION depedding on the real meaning of it.
십자가를 진다 또는 희생양에 지나지 않는다는 언어 표현은
그것의 진정한 의미에 의하면 그릇된 표현이다.
많은 사람들이 오해하는 '수저'라는 말도 그렇다
수저를 숫가락으로 착각하는 사람이 많은데
수저는 숫가락의 높임말이며 숫가락 + 젓가락이라는 뜻이다.
"금수저 또는 흙수저 (그런 숫가락은 한국 역사에 있지도 않았음)이라는 것
It is a wrong CONNOTATION to use the word a gold spoon or dirt one.
금숫가락 또는 '흙숫가락 (흙으로 숫가락을 만든다는 말은 모순임)을
사용한다는 것은 잘못된 언어 표현이다.
돈을 지나치게 아끼는 사람을 '짠돌이' 또는 '짠순이'라고 하는 것은
부정적이며 빈정대는 표현인데 영어에도 그런 표현이 있다
My husband must be extremely stingy.
내 남편은 지독한 구두쇠임에 틀림없다
The word stingy is a negative CONNOTATION.
구둘쇠라는 말은 부정적 언어 표현이다
Is your wife extremely frugal?
당신의 아내는 지독하게 알뜰한가..?!.
천재라는 표현도 한국이나 영어 모두 긍정적일 때도 있고
부정적인 것도 있다.
A smart person is called nerd in negative CONNOTAION
while many peole call him (or her) a genius in pleasnt one.
똑똑한 사람은 부정적 언어 표시로 '따분한 사람'이라고 하는 반면
많은 사람들은 그 (또는 그녀)를 기분 좋은 표현으로 천재라고 부른다..
세상 물정을 모르고 공부만 잘하는 (잘 하던) 사람을 '범생'이
(옛날에는 샌님)라고 한다
옛날에는 괜찮았던 말이 현대에 와서
별로 정이 안드는 것도 있다.
It’s true that the word virtue
with CONNOTATIONS of self-sacrifice and Victorian morality,
can be rather off-putting..
'미덕 (美德)'이라는 말은 '자기 희생'과 Victoria 도덕성
(비교적 종교적이고 차원 높은 윤리관 가졌던) 이라는 표현은
정이 안간다는 말일 수 있다
(Pshchology. May 1, 2023)
동정 (童貞) 이나 처녀라는 낱말도 그렇지 않나 모르겠다
The word of virginity is a pleasant but rare CONNOTAtION these days,
동정 (또는 순결함)이라는 말은 요즈음
듣기는 좋지만 희귀한 표현이다.
Cultivating the virtues was the secret to living both a happy life and an ethical life.
덕을 쌓는다는 것은 행복하고 윤리적 생활
모두의 삶에 비법이었다
(지금은 아니다라는 비극적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