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나를 찾은 주인공(主人公).
세계 인류가 60억이라는데「참 나」를 깨친 사람이 몇이나 될까?
1억에 한 사람이면 60명이 있다는 말이 되고
10억에 한 사람씩 있다면 6명이 있게 된다는 말이다.
마음을 깨치지 못하고 환경에 사로잡혀 사는 사람은
잠잘 때만 꿈이 아니라 눈을 뜨고도 꿈속에서 산다.
얼마나 안타까운 일인가?
「참 나」를 모르면서 행동하는 것은 그대로 장님 노릇이 아닐 수 없다.
그래서 발 한 걸음 옮겨 딛고 손 한 번 들고 놓는 게 죄업(罪業) 아님이 없고,
생각 한번 일으킨 것이 번뇌(煩惱) 아님이 없다.
마음이 어두우면 중생(衆生)이라 하고 중생들이 사는 세계를 사바세계(娑婆世界)라 이르며
나고 죽는 고통을 벗어나지 못하였기 때문에 고해(苦海)라고 한다.
태어날 때는 즐거워하고 죽을 때에는 슬퍼하기 때문에 집착하는 것이다.
복(福)을 지어 천상계(天上界)에 나고,
선(善)을 닦아 인간계(人間界)에 나며,
시기와 질투심을 내어 아수라계(阿修羅界)에 나고,
성을 많이 내어 지옥계(地獄界)에 떨어진다.
분수를 모르고 탐욕을 일으켜 아귀계(餓鬼界)에 나고,
옳을 줄을 알고도 옳은 일을 하지 않고 그릇된 줄을 알면서도 일부러 범하여 축생계(畜生界)에 나게 되니,
육도고해(六途苦海)가 마를 날이 없다.
이 모든 허물은 마음을 모르고 환경에 사로잡혀 살기 때문이다.
불교는 무엇을 하는 것인가?
불(佛)은 각(覺)이란 뜻이다. 각이란 마음을 깨친다는 말이다.
마음이 어두운 사람에게는 육도(六途) 고해가 벌어진다.
천상(天上)‧인간(人間)‧아수라(阿修羅)‧지옥(地獄)‧아귀(餓鬼)‧축생(畜生)
이 여섯 갈래의 고통스러운 세계가 있다.
이러한 세계는 본래 있는 것이 아니지만
사람마다 환경에 집착하여 익히는 습관에 따라 이러한 중생계가 벌어진다.
인간으로서 천상이라 말하면 별세계(別世界) 인양 알고 영원한 세계처럼 생각하겠지만
그곳도 역시 삼계(三界) 가운데 하나이고 생사(生死)를 벗어나지 못한 세계이다.
복(福)을 지어 복을 받아 나는 곳이기 때문에 지은 복이 다하면
과거의 업에 따라 육도(六途)에 다시 떨어진다.
그래서 지옥‧아귀‧축생 삼악도(三惡道)에서 천상에 바로 가기도 하고
천상에서 삼악도에 바로 떨어지기도 한다.
이런 것을 가리켜 육도윤회라 한다.
- 구산 스님 - 석사자 증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