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례 화엄사 각황전(조선 후기)
국보 제67호(1962.12.20 지정). 원래 의상법사가 670년에 건립한 3층 장륙전으로 장륙존상(丈六尊像)을 봉안했으며 사방 벽은 화엄석경으로 장엄되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99~1702년에 성능대사가 중건했으며, 1930년대에 일본인에 의해 중수되었는데 이때 건물의 일부가 약간 변형된 것으로 보인다.
앞면 7칸, 옆면 5칸의 중층 팔작지붕 건물로 높은 석조 기단 위에 서향으로 세워졌다. 기둥은 평주이며 기둥머리 위에 창방과 평방이 놓여 있다. 평방 위와 기둥 사이에 공포를 짜올린 다포계(多包系)이며 상하층 모두 내외2출목으로 되어 있다. 첨차는 아랫면이 둥글게 처리되었고 쇠서의 끝이 모두 위로 올라가 활처럼 생겼는데 이러한 특징은 조선 초기 목조건축에서 많이 볼 수 있다.
1층 앞면에는 빗살무늬와 솟을살무늬로 장식된 살문을 달고 옆면과 뒷면은 일부만 벽으로 막았다. 2층은 사방에 모두 작은 창을 달았다. 내부는 통층으로 공간이 넓으며 고주를 사방에 배치하고 그 위에 대들보로 종량(宗樑)의 한쪽 끝을 받치고 있다. 천장은 우물천장이며 그 주위에 경사진 빗반자가 있는 점이 특이하다. 중앙의 뒤쪽으로는 대불단 위에 석가불·아미타불·다보불(多寶佛)이 있고 그 좌우에 보현보살·문수보살·관음보살·지적보살(知積菩薩)이 있다.
이 불상·보살상들은 3m가 넘는 거대한 불상으로 도금불사 때 발견된 복장기(腹藏記)에 의해 1703년(숙종 29)에 조성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불단 밑에는 임진왜란 때 파손된 1,500여 점의 석경이 봉안되어 있다.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통일신라)
국보 제12호(1962.12.20 지정). 높이 636cm. 기단부·화사석·상륜부를 모두 갖춘 완전한 형태의 팔각석등으로 현존하는 우리나라 석등 가운데 가장 크다.
하대석의 각 면에는 안상을 새기고 그 위에는 귀꽃이 장식된 8엽의 복련을 돌렸으며 연화대 위에는 다시 구름무늬와 8각 굄이 있다. 간주석은 고복형으로 전형적인 팔각석등과는 약간 다르며, 배가 볼록하게 나온 중앙에는 2줄의 띠를 돌렸는데 그 위에 8개의 꽃무늬가 장식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는 통일신라시대의 실상사석등·선림원지석등·임실용암리석등·개선사지석등(891) 등 전라도지방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상대석의 밑에는 8엽의 앙련이 조각되어 있고 위에는 8각의 소로형 굄이 있다. 화사석은 4면에 화창을 내었으나 다른 면에는 아무런 장식문양도 없다. 옥개석은 얇은 편으로 각 모서리에는 직립한 귀꽃 장식이 크게 표현되었으며 추녀는 수평으로 되어 있다.
상륜부는 높은 노반, 앙화, 보륜, 귀꽃이 장식된 보개를 차례로 얹고 정상에는 다른 석탑과 마찬가지로 높은 간주가 달린 보주로 장식했다. 이 석등은 기단보다 상륜부가 크고 폭이 넓어 비례가 맞지 않고 조각수법도 둔중한 느낌을 주지만, 전체적으로 거대한 크기에서 오는 장중함으로 볼 때 통일신라 말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구례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통일신라)
국보 제35호(1962.12.20 지정). 높이 550cm. 〈사적기〉에 의하면 자장율사가 연기조사의 효성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일종의 불사리 공양탑이라고 한다. 그러나 석탑의 양식으로 보아 조성연대가 7세기 중엽까지 올라간다고 볼 수 없다. 이 석탑은 2층 기단에 3층의 탑신이 놓여 있으나 상층기단이 특이하게 사자상으로 되어 있어 이형석탑(異形石塔)에 속한다.
지대석 위에는 3단의 높은 굄이 하층기단을 받치고 있으며 하대석의 각 면에는 우주를 조각하고 그 사이에 안상을 3구씩 배치했다. 안상 안에는 천인상(天人像)을 조각했는데, 천의자락을 날리면서 연화대좌에 앉아 악기를 연주하거나 춤을 추거나 공양하는 자세를 취하고 있으며 지물(持物)도 각기 다르다.
상층기단에는 암수 2쌍의 사자를 네 모퉁이에 각각 배치하고 머리 위에 연화대를 얹어 탑신을 받치고 있으며 그 가운데에 합장하고 서 있는 승상(僧像)은 머리로 탑신을 받치지는 않았으나 그 위에 연화무늬를 조각하여 천개를 표현했다. 석사자상은 연화대좌 위에 정면을 보고 앉아 있는데, 입을 벌린 채 날카로운 이빨을 드러내고 있어 사실적으로 표현되었으며 각각 표정이 달라서 인생의 희로애락을 나타낸 것이라고 한다.
또한 승상은 연기조사의 어머니인 비구니라고 하며 이 석탑 바로 앞에 있는 석등 아래쪽에 꿇어앉아 있는 승상은 효성이 지극한 연기조사가 불탑을 받들고 서 있는 어머니께 석등을 머리에 얹고 차공양을 올리는 모습이라고 한다. 상층기단 갑석은 윗면에 약간 경사가 있으며 중앙에는 2단 굄이 있다. 탑신부의 옥신과 옥개는 각각 다른 돌로 이루어졌는데 1층 옥신 4면에는 자물쇠가 장식된 문비를 새기고 그 좌우에는 인왕상·사천왕상·보살상이 조각되어 있다.
2, 3층의 옥신에는 우주만 모각되어 있다. 옥개석은 5단의 층급받침으로 낙수면이 평박하고 처마 끝부분에서 예리하게 반전되어 있어 경쾌한 느낌을 준다. 옥개석의 각 층 윗면에는 2단의 굄을 두어 옥신석을 받치도록 했다. 상륜부에는 노반·복발만 남아 있다. 이 석탑은 알맞은 체감비율과 옥개석의 경쾌한 반전, 우주 대신 4마리의 사자를 사방에 배치한 점, 하층기단 및 1층 옥신의 뛰어난 조각수법 등에 의해 통일신라시대 전성기인 8세기 중엽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석탑형식은 고려시대의 사자빈신사지석탑(1022)을 비롯하여 홍천물걸리4사자석탑 등으로 이어졌으며 조선시대에도 제작되었다.
화엄사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