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날의 유래(由來)와 덕담(德談)
1.설의 어원
지닌다. 이러한 설날의 어원에 대해서는 대개 세 가지 정도의 설이 있다. 설날을 " 낯설다. 라는 말의 어근인 "설" 에서 그래서 설날은 새해에 대한 낯설음 이라는 의미와 아직 익숙하지 않다는 뜻이다. 분리되어 가는 전이 과정으로 아직 완전히 새해에 통합되지 않았기 때문에 익숙하지 못한 그러한 단계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설날은 "선날" 즉 개시라는 뜻의 "선다" 라는 말에서 새해 새날이 시작되는 날 이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흐르면서 연음화 되어 설날로 와전 되었다는 것이다. 설날을 "삼가다" 또는 "조심하여 가만히 있다라는 뜻의 옛말인 "섧다"에서 그 어원을 찾기도 한다.
신일(愼日)이라고 표현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삼가고 조심하는 날" 이란 뜻인데 이는 완전히 새로운 시간 질서에 통합되지 않았기 때문에 인간의 모든 언행을삼가고 조심하여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하여 생긴 말이다.
세수(歲首), 세초(歲初), 세시(歲時), 연두(年頭), 연시(年始) 등의 한자 어로도 불린다.
2.설날의 유래 설날이 언제부터 우리 민족의 최대 명절로 여겨지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삼기 위해서는 우선 역법이 제정 되어야만 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역법의 제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우리나라가 나름대로의 역법을 가지고 있었음은 중국인들도 진작 인정하고 있었다.
이미 부여 족이 역법을 사용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고, 신라 문무왕 때에는 중국에서 역술을 익혀와 조력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우리민족은 단순한 중국 역법의 모방이 아니라 자생적인 민속력이나 자연력을 가졌을 가능성은 얼마 든지 짐작할 수 있다.
명절이라 할 수 있는 가위나 수릿날의 풍속이 있었다는 사실에서도
역법을 가졌을 가능성을 충분히 추측할 수 있다.
정월 대보름, 삼짇날, 팔공회, 한식, 단오,추석, 중구, 동지를 9대 명절로 삼았으며, 조선시대에는 설날과, 한식, 단오, 추석을 4대 명절이라 하였으니 이미 이 시대에는 설이 오늘날과 같이 우리민족의 중요한 명절로 확고히자리 잡았음 을 알 수 있다.
3.설날의 풍속
설 그림, 복조리 걸기, 야광 귀 쫓기, 청 참, 윷놀이, 널뛰기,머리카락 태우기 등 그 종류가 상당히 다양하다.
일찍이 각 가정에서는 대청마루나 큰 방에서 제사를 지내는데 제상 뒤에는 병풍을 둘러 치고 제상에는 설음식을 갖추어 놓는다. 조상의 신주, 곧 지방은 병풍에 붙이거나 위패일 경우에는 제상 위에 세워 놓고 차례를 지낸다.
부모에게 절하고 새해 인사를 올리며, 가족끼리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절하는데, 이를 세배(歲拜)라 한다. 세배가 끝나면 차례를 지낸 설음식으로 아침 식사를 마친 뒤에 일가 친척과 이웃 어른들을 찾아가서 세배를 드린다. 때에는 술과 음식을 내어놓는 것이 관례이나, 아이들에게는 술을 주지 않고 세뱃돈과 떡, 과일 등을 준다. 세배를 할 때는 오른손이 왼손 위에 놓아서 큰절을 한다.
*설빔
남녀노소 구분 없이 모두 일찍 일어나 세수하고 새 옷을 입는데
설빔(歲粧)이라고 한다. 이 설빔은 대보름까지 입는 것이 보통이다.
원일조에 따르면 남녀 노소가 새옷을 입는 것을 "세비음(歲庇陰) (설빔)" 이라 한다 하였다. *덕담
일가 친척들과 친구 등을 만났을 때 "과세 안녕 하셨습니까?" 등과 같이 그 사람의 신분 또는 장유(長幼)의 차이에 따라 소원하는 일로 서로 축하하는 것을 말한다.
원일조에도 설날부터 사흘 동안 시내의 모든 남자들이 왕래하느라고 떠들썩하고
옷차림이 길거리에 빛나며 길에서 아는 사람을 만나면 반갑게 웃으면서 " 새해에 안녕하시오.? " 하고 좋은 일을 들추어 하례 한다.
승진하시라든지
돈을 많이 벌라는 말을 하는데 이를 덕담이라 한다고 하였다.
원일조에 연소한 친구를 만나면 "올해는 꼭 과거에 합격하시오."
말을 하는데 서로 축하하는 이 말을 덕담이라 한다고 하였다. ***모셔온글*** 편집//가리꿀(김재강) & 음악//조은돌 |
|
첫댓글 잘보고갑니다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좋은글 정보 감사합니다 잘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