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꿀의 종류와 정의 : 가짜꿀 , 진짜꿀 , 사양꿀 , 농축꿀 , 숙성꿀이란?
예전에 DCinSide 인기 글에 올라온 글이예요.
아마 농갤인듯.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farming&no=32383
이하 글은 퍼온 글을 정리하고 추가편집한 글이라 원본글이 반말투라 존대 생략합니다.
가짜꿀ㅡ조청이나 물엿 기타 이상한거 섞어서 만든거몸에 무지 해롭다 . 의외로 많이 팔고 잘 팔린다 . 2 키로에 5 처넌 ~2 만원 하는거 같다 .
사양꿀ㅡ설탕을 먹여 만든 꿀이다 . 설탕도 10%~100% 냐에 따라 다른데 50% 이상부터는 100% 꽃꿀하고 구분이 힘들다 . 꿀에도 꽃향기도 나고 맛도 아주 비슷하기 때문이다 . 고가 장비로 검사해야 하는데 비용이 비싸다 . 설탕이 10% 미만이면 그냥 100% 진짜꽃꿀이라고 친다 . 시중에 파는 사양꿀은 거의 설탕을 100% 먹인꿀이다 . 100% 설탕꿀의 경우 2 키로애 1 만원이다 . 그러나 3~4 만원에 많이 팔리고 있으므로 잘모르면 1 만원짜리 사먹는게 좋다 .
농축꿀ㅡ 진꿀이 90% 이상이나 꿀은 채밀시 벌들이 날개짓으류 자연건조를 시켜 수분이 줄면 채밀해야 하는데 그러면 생산량이 적어 건조 과정을 생략하고 채밀하여 인위적인 열을 가하여 수분을 말리는데 모든 음식은 가열하면 주영양소가 대부분 파괴됨 고로 가열하는 요리에 꿀을 넣으면 사양꿀 농축꿀 구분이 무의미하다 . 2 키로에 3~4 만원에 팔리고 있다 .
꿀은 우리몸이 당을 분해할때 아주 무리가 온다 . 하지만 꿀은 벌이 이 작업을 끝내놔서 몸에 무리없이 흡수가 된다 . 단것을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필수이다 . 하지만 당 자체는 해로우니 꿀이라고 마니 먹어서는 안된다 .
사양꿀과 농축꿀이 시장의를 90% 차지한다 . 꿀도 2 년정도 지나면 향이 사라져 사양꿀과 차이가 없어진다 . 물론 영양소는 농축꿀이 훨씬좋다 그리고 썩지 않으므로 100 년뒤에 먹어도 무방하다 . 허나 시중의 꿀은 대부분 2 년이 지난것이 팔리고 있다 . 아는 사람에게 당해 채밀한 꿀을 사서 먹는게 좋다 .
숙성꿀 ㅡ 벌이 자연 건조시킨걸 채밀한걸 말한다 그러나 각격이 2~3 배 비싸 팔리지도 않거니와 사려는 사람도 없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게 정말 숙성꿀인지 믿기 어려워 거래가 어렵다 . 취미로 몇 통 키우는 사람들이나 따는 꿀이다 . 가치는 시중에 파는 그 어떤 건강식품과 가격대비 비교도 안될정도로 좋다고 보면 된다 . 영양 덩어리다 . 게다가 맛있다 .
아카시아 잡화 밤꿀 등등 여러가지가 있는데 아카시아가 가장 달고 맛있고 색이 진할수록 단맛이 덜하나 영양가는 높다 . 꿀을 사려거든 잡화꿀을 추천한다 . 맛있고 영양가도 높다 . 밤꿀을 먹어봤는데 보약이라고 하나 맛이 씁쓸하여 좋지않다 .
토종꿀/한봉꿀 : 토종꿀은 엄밀히 따지자면 토종 종자의 벌을 이용해서 한봉방식으로 벌을 쳐서 1년에 딱 한번 꿀을 수확하는 방식의 꿀을 토종꿀이라고 한다. 토종벌 종자가 아닌 서양종벌을 이용해서 한봉식으로 꿀을 얻게 되면, 토종꿀이라 하지 않고 한봉꿀이라고 부른다.
1년에 딱 한 번만 채취하기 때문에, 수확량이 많지 않아 귀한꿀이다. 진짜 토종꿀이라면 거의 부르는게 값일 정도까지는 아니고 꾀 고가에 거래된다.
한봉꿀도 거의 그정도 취급을 받기는 하지만, 사실 숙성꿀보다 조금 더 숙성이 되었다는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효율적인 면에서는 별로 우수한 방식은 아니다. 어짜피 봄부터 벌들이 채취한 꿀은 장마 기간에 벌들이 거의 대부분 먹어치우기 때문에 1년을 숙성했다는 의미는 사실상 없다.
석청꿀/목청꿀: 자연에서 채취하는 꿀을 일컫는데, 바위틈의 벌집에서 얻는 꿀은 석청, 자연의 나무속 벌집에서 채취한 꿀을 목청이라 한다. 야생에서 채취했다는 것에 큰 의미들을 부여한다. 하지만 원래 벌들은 자연에서 꿀을 채취한다. 벌을 사람이 키우면 나쁜 꽃에서 꿀을 따오고, 자연에 있으면 유기농 꿀을 따오는 것이 아니다. 단지 환경의 차이일 뿐이다. 대체로 깊은 산속일 수록 "무엇인지는 몰라도" 신비의 약초 꽃의 꿀이 들어 있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기대일 뿐이다.
히말라야 석청꿀은 수백만원을 호가하기도 한다.
일단은 국내 유통은 절대금지 상태다. 앞서 벌이 꿀을 딸 때 주위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언급했는데, 히말라야 석청에는 그레이아톡신이라는 맹독성 신경독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고, 실제 국내에서 히말라야 석청을 먹고 숨진 사례도 있다.
야생꿀이라고 자연에서 채취한 꿀이라고 모두 좋은 것이 아니다. 아무거나 덥썩 덥썩 줏어 먹다가는 일찌감치 염라대왕을 뵙게 된다. 건강하게 때깔좋게 빨리 죽고싶다면 히말라야 석청을 권한다.
필자도 외가가 양봉을 해서 어려서부터 꿀하면 한 꿀 먹어 봤다. 사양꿀이라는 말은 커서 알았지만 , 설탕을 먹이는 건 어려서부터도 익히 봐왔던 터고 , 외할아버지 말씀으로는 꿀벌들이 따온 꿀은 원래 벌들이 먹어야 하는건데 사람이 다 가져갔으니 , 꿀벌들이 먹고 일을 하려면 설탕물을 먹여야 된다는 말 정도밖에는 기억이 안나지만 , 얼핏 일리가 있는 걸로 들렸다 .
물론 그 설탕물이 꿀에 섞여 들어가기도 하겠지 . 그런데 설탕물이나 원래 꽃에서 나온 꿀의 원천이나 ... 뭐 당분인건 거기서 거기지 뭐싶었는데 , 막상 내 돈 주고 벌꿀 사먹으려니 고민이긴 하드라 ㅋㅋㅋ .
그래서 마트에서 꿀 살 땐 그냥 제일 싼거 사지 . 어짜피 단 맛을 먹으려고 사는거니까 . 아주 몸에 좋은 꿀이야 약이 되겠지만 , 어설픈 꿀은 그냥 조청 대신 꿀인거니까 ^^; 꿀의 풍미만 느끼면 그걸로 족하고 가격은 싸다면야 ~ 오케이 .
정말 몸에 좋은 용도로 먹을 꿀은 어머니께 부탁해서 , 믿을만한 양봉원꺼 사다 먹는게 진리 !
첫댓글 저는 올해 아까시꿀 늦게 들어온 꿀부터 아직까지 뜨지 않고 벌통속에서 벌들이 숙성하고 있습니다.
다행히 이곳에는 마른 장마로서 꿀이 줄어들지 않고 있습니다.
복분자 신선목 헛개나무 밤나무 감나무 모감주나무 바이텍스꿀까지 들어온 자연완숙꿀! 저는 약꿀로 부릅니다.
희생군 주력군 숙성군 관리와 강군 간격법으로 가능합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그런데 농축꿀에서 좀더 현실적이고 자세한 내용의 설명이 필요치 않을까 해서요, 국내유통되는 꿀의90%(사양꿀제외) 이상이 농축꿀이라고 볼때 국민의 건강과 직결되는 문제이기도 하지만 우리 양봉인의 90%이상의 주력 생산하는 꿀이기에 양봉농가의 경제적 현실도 직시해야 겠지요.100% 순수한 꽃꿀인데 농축했다는 이유로 비하된다면 국민도 생산농가에게도 미치는 영향도 생각했으면 합니다.수분 20%만 대어도 상온에서 오래보관하기 어렵습니다 해서 20% 이하로 농축, 대게 농가에서는 20%~25% 정도의 꿀을 생산 물론 29~30%수분도
환경에 따라 생산되기도 하지만
대략 0.5~5.5%의 수분을 저온
대
(40도 이하)에서 수분을 제거 농축하기때문에 영양성분의 손실을 최소화 물론 수분의 량의 따라 약간의 차이가 날수도 있지만, 이러한 양질의 꿀을 양봉농가가 생산하고 국민 대다수가 이용하는 그야말로 국민 건강식품이고 서민이 즐겨찾는 벌꿀인데 한결님께서 좀더 세심한 농축꿀의 설명을 해 주셨으면 해서 감히 글 올림니다.
늦은 댓글 입니다.
꿀이 벌집에서 오래있을수록(3개월이상) 좋다는 말은 모순이 있습니다.
벌들이 꽃에서 넥타를 물고와서 건조 숙성후에 밀개를 합니다.
저의 생각으로는 밀개가되면 벌들은 자기들이 겨울 양식으로 먹기 위해서 저장 과정을 끝내고 장기보관에 들어갔다고 볼수있습니다. 따라서 토종꿀이나 양봉꿀이나 꽃의 종류와 밀개여부에 따라서 품질이 결정된다고 봅니다.
그외에는 석청이나 목청은 벌들이 그해에 먹어치우지 않고 여러해를 저장하므로 수분함량이 줄어들수있습니다.
따라서 양봉꿀이든 초봉꿀이든 성분과 효능에는 별차이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양봉 숙성꿀도 토봉꿀과 동일한 최고의 꿀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