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 위 |
항 목 |
점검방법 |
정상치(예) |
이상시의 조치 (예) |
압축기
전동기 |
유압(油壓) |
유압과저압의압력차 |
저압+1.4∼1.9㎏/㎠ |
오일중의 냉매제거 |
유온(油溫) |
오일 온도계 |
무부하시50∼60℃ 정격부하시40∼60℃ |
오일히터,오일쿨러정비 | |
유량(油量) |
유면계(SightGlass) |
유면계의 ½이상 |
오일의 냉매분리,보충 | |
베어링 온도 |
온도계 |
90℃이하 |
오일쿨러정비,서비스업체에상담 | |
진동,이상소음 |
진동계,이상음청취 |
|
제작,서비스업체에 상담 | |
전류 |
전류계 |
정격전류치 이하 |
" | |
압축기기동횟수 |
기동횟수계 |
1일 6회이하 |
부하상태점검 | |
증발기 |
냉수입구온도 |
온도계 |
SP+정격온도차이하 |
냉수 순환량점검 |
냉수출구온도 |
" |
SP온도가깝게안정 |
" | |
증발기온도 (압 력) |
냉수출구 온도 와 냉매온도의 차 |
3℃이하 |
튜브청소 또는 냉매보충 | |
응축기 |
냉각수 입구온도 |
온도계 |
20∼30℃ |
냉각수의 온도제어 상태점검 |
냉각수 출구온도 |
온도계 |
27∼37℃ |
냉각수펌프,냉각탑 점검 | |
응축기 온도 |
응축기온도와 냉각수출구온도의 차 |
4℃이하 |
튜브청소 | |
응축기압력 |
응축온도에 대한 포화압력의 차 |
0.05㎏/㎠ |
추기장치작동 | |
냉수와 냉각수의 출구온도 차 |
쌍방의 온도차 |
14℃이상 |
냉각수량조정 | |
추기장치 |
추기작동횟수 |
작동횟수계 |
3회/시간이하 |
기밀확인 |
수분의 유무 |
사이트 그라스의 수분 유무확인 |
30㏄/주 이하 |
" | |
플로트밸브 사이트그라스 액면 충만하지않은 상태 추기장치점검 |
[ 표 2 ] 밀폐형 터보냉동기 냉매를 CFC-11에서 HCFC-123으로 변경하는 경우 주요 교환 부품
부 위 |
부 품 명 |
변 경 내 용 |
압 축 기 |
가스켓 |
재 질 변 경 |
오-링 | ||
써모스타트 | ||
압축기 모터 |
모터권선(고정자) | |
축단 오일링 | ||
열 교 환 기 |
플랜지가스켓 | |
추 기 장 치 |
솔레노이드밸브 | |
오 일 펌 프 |
가스켓 | |
필 터 |
오-링 | |
파 열 판 |
가스켓 | |
압력스위치 |
증발기저압스위치 |
사 양 변 경 |
[표 3]터보냉동기의 예방정비 계획
항목 |
일일점검 |
냉동기 시운전 2주후 점검 |
매월 점검 |
냉동기 동계 운전 중지 점검 (매년) |
하계시 동시점검 |
매2년 마다 점검 |
비고 |
압축기 |
▼오일압력 ▼오일온도 ▼오일레벨 ▼전류,전압 ▼진동,소음 |
|
|
▼오일교환 ▼베인콘트롤작동점검 ▼절연저항점검 ▼오일필터교환 |
|
|
▼오일은시운전후 6월경과후 교한 |
증발기 응축기 |
▼냉수 ▼냉각수유량 ▼냉수,냉각수입,출구온도 ▼증발기,응축기 압력 ▼냉매액면 |
|
▼냉수,냉각수의 수질검사 |
▼누설시험 ▼응축기세관 ▼열교환기점검 ▼냉매필터교환 |
|
▼증발기세관 |
|
제어 및 안전회로검사 |
|
|
▼안전회로검사 |
▼각종계기점검 |
▼전기결선점검 |
▼안전장치의 설정치확인 |
|
제어판넬 및 기동반 |
|
|
|
▼먼지청소 ▼차단기,접속기 점검 ▼제어판넬램프점검 |
|
|
|
기타 |
*운전일지 각 항목을 점검 기록한다 |
▼필터,드라이어교환 ▼가스켓 접합부분의 점검 |
|
|
|
|
|
[표4]냉동기의 고장원인과 대책
지 시 |
증 상 |
원 인 |
대 책 |
냉각이 않됨 |
냉동기가 시동되지 않는다. |
1.단로기(Disconnect SW)의 열림 |
1.단로기가 열린 원인을 확인한후 단로기를 닫는다. |
2.전원의 단선 |
2.퓨즈와 스타터의 과부하를 점검한다. | ||
3.저전압 |
3.전압계점검,전력회사와 상담 | ||
4.냉동기 스타터의 결함 |
4.코일의 소손이나접속기의고장점검 | ||
5.제어회로의 열림(고압,과냉,고유온,모터과열) |
5.고장의 원인을 확인하고 수리한다. | ||
6.시동지연 타이머의작동 |
6.시간이 될 때까지 기다린다. | ||
7.용량제어모듈이 정지동작에 아직 작동중이다. |
7.부하가 증대될 때까지 기다린다. | ||
8.안전장치나 인터록장치가 열려있다. |
8.관련장치를 점검한다. | ||
9.용량제어센서의 설정치가 높은상태로 조정되어 있다 |
9.설정치를 조정한다 | ||
|
1.냉동기 스타터가 트립이 됨 |
1.스타터코일을 점검한다. | |
2.저전압 |
2.전압계점검,전력회사와 상담 |
|
냉동기가 기동은 되나 계속운전되지 않는다 |
3.외부공조계통의 써모스타트가 높게조정되어 있다 |
3.기준온도로 정확히 조정한다. |
4.냉각수온도가 너무 낮다. |
4.냉각수 유량을 감소시킨다 냉각탑 팬제어 T.C점검 | ||
응축기의 압력이 높다 |
높은토출압력 |
1.응축기 냉각수 유량이 부족하거나 온도가 높다 |
1.냉각수펌프의 스트레이나를 청소하거나 냉각탑팬제어 점검 |
2.냉각수 계통에 공기가 있다 |
2.공기를제거한다. | ||
3.응축기내 튜브가 오염되었다 |
3.튜브를 크리닝한다 | ||
4.냉각수펌프의 운전 불안정 |
4.수리하거나 교환 | ||
5.냉매계통에 불응축가스의 존재 |
6.누설부분을 점검 수리후 추기 | ||
고압스위치 작동 |
장비에 써징(Sunging)이 있다 |
1.높은 토출압력 |
1.상기한「 높은 토출압력」의 대책방법을 따른다 |
2.냉매의 부족 |
2.냉매량을 점검후 보충한다. | ||
오일탱크온도가 높다 |
높은 오일온도 |
1.오일히터 써모스타트(OHT)의 부정확한 작동 |
1.OHT를 점검수리하거나 교환 |
2.모터 냉각냉매의 부족 |
2.냉매필터밸브와 필터를 접검 또는 필터교환 | ||
오일탱크온도가 낮다 |
낮은 오일온도 |
1.오일히터의 결함 |
1.단자파손,풀림을점검 교환한다 |
2.써모스타트의 작동의 부정확 |
2.수리 또는 교환 | ||
3.온도계의 오동작 |
3.정밀도 점검 | ||
냉수온도의 상승 |
냉동용량 저하 |
1.냉매부족 |
1.누설량점검,냉매공급 |
2.베인콘트롤 혹은 베인동작레버의 부정확한 동작 |
2.베인이나 베인레버를 점검하고수리 또는 교환 | ||
3.압축기의 회전방향이 틀림 |
3.회전점검, 전원선 방향바꿈 | ||
4.외부제어기가 잘못조정 되어있음 |
4.제어기들을 점검 수정 | ||
5.냉매의 오염 |
5.냉매를 정재 또는 교환 | ||
6.버터플라이밸브의 닫힘 |
6.개도 조정 | ||
7.베인모터 또는 용량조절기의 고장 |
7.수리 또는 교환 | ||
8.응축기나 증발기의 튜브오염 |
8.튜브를 세관 | ||
증발기의 압력이 낮음 |
낮은 흡입압력 |
1.냉매부족 |
1.누설량점검,냉매보충 |
2.냉각수온도의 낮음 |
2.냉각수유량의 조정 또는 냉각탑 팬제어T.C점검 | ||
3.버터프라이밸브를 잘못 조정 |
3.밸브를 재조정 | ||
4.베인이 동작하지 않음 |
4.베인모터,용량조절기 수리,교환 | ||
5.증발기튜브의 오염 |
5.튜브를 세관 | ||
모터온도모듈의 트립 |
모터 내부 권선의고온 |
1.모터를 냉각하는 냉매의 부족 |
1.필터밸브와 필터점검 |
2.냉각수의 저온 |
2.냉각수유량을 높인다 | ||
3.모터온도모듈 감온구의 단락 |
3.수리 또는 교환 | ||
오일압력의 저하 |
정상오일압력보다 낮다 |
1.오일펌프의 결함 |
1.수리 또는 교환 |
2.내부 오일 배관의 구멍 |
2.오일탱크를 분해수리 | ||
3.오일필터의 막힘 |
3.필터교환 | ||
4.오일압력스위치의 조정불량 |
4.재조정 | ||
추기장치의 동작이 잦다 |
|
1.냉동기의 누설 |
1.누설검사실시후 수리 |
2.추기장치로향하는 스트레이너,오리피스가 막힘 |
2.스트레이너와 오리피스교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