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정인격(正印格)
이 격에 가장 요망하는 것은 인수生旺함이며 死絶地를 꺼린다. 사주에 정관이 있으면 묘하다. 월령에 인수가 있는 것이 가장 긴요하다. 관성과 인성운에 발복하고 재운에는 인수를 파괴하니 반대로 탐재괴인(貪財壞印, 재를 탐하여 인수를 파괴함)이 되어 불리하다. 세운도 마찬가지이다. 정관만 있고 인수가 없으면 참된 관성이 아니라고 한다. 그러나 인수는 정관이 없더라도 오히려 발복할 수 있다. 인수는 主가 지혜가 많고 심성이 후덕하다. 인수는 財를 두려워하나 사주중에 또는 운로중에 정관을 보면 貴가 되고 福이 된다. 관성이나 칠살은 정인을 생해주니 기뻐하는 것이고 재성은 인수를 파괴하는 꺼리는 것이 마땅한 이치이다. 정인이 묘한 것은 부모의 음덕을 받고 부모의 재물을 물려받으며 안정된 생활을 하는
사람이다. 만일 격이 좋은 사주가 여럿 있는데 우열을 가리기 어려우면 인수가 많은 사주를 제일로 친다.
主는 일생에 병이 적고 음식을 잘 먹는다. 혹시 財가 많아 왕성하면 반드시 막히는 일이 많다. 인수격은 인수가 사절지로 행하는 운로를 가장 꺼린다. 인수는 月이나 時에 있는 것이 묘한데 월에 있는 것이 가장 좋다. 月上正印은 부모의 덕을 입을 것이고 年에 있으면 조상의 힘을 얻을 것이다. 時上에 있으면 자손의 덕을 보고 장수하면 말년이 즐겁고 길하다. 정인과 정관을 모두 얻으면 관인양전(官印兩全)이라 하여 좋다. 관성운이나 인수운에 발복한다. 만일 관성을 용신으로 쓰는데 사주에 나타나지 않고 정인이 있어 취하면 묘하다. 대운이 재운이 되어 인수를 파괴하면 破家하고 집을 떠난다. 사절지에 대운이 임하면 실직을 하지 않으면 요절한다.
정인격이 좋아하는 것
1. 인수生旺
2. 정관생인(正官生印)
3. 재관상생(財官相生)
3. 月上正印
정인격에 꺼리는 것
1. 財氣왕성
2. 탐재괴인(貪財壞印)
대귀격(大貴格)
庚 癸 庚 戊
申 酉 申 戌
신왕하고 관성이 힘이 있는데 인수가 소통하니 관인양전(官印兩全)으로 귀격이다.
(4) 편인격(偏印格)
편인을 도식(倒食)이라 하는데 식신을 파괴하고 財神을 충하기 때문이다. 일명 탄함살(呑陷殺)이라고도 한다. 財를 용신으로 쓰거나 식신을 용신으로 쓸 때는 크게 꺼린다. 사주에 편인과 식신을 함께 가지고 있으면 박복하고 수명도 짧다. 칠살이 있어 식신이 제살하고 있는데 편인이 식신을 극하면 더욱 흉하다. 사주에 편인이 있으면 흡사 존장(존장)이 나를 제압하여 자유롭지 못한 것과 같다. 일을 하는데 항상 결함이 있고 방해가 있으니 시작은 있으나 끝은 없다. 재물을 모았다가 잃어버리기를 반복한다. 공연히 바쁘고 매사 성공하기 어렵다.
편인격이 좋아하는 것
1. 편재제압편인(偏財制壓偏印)
2. 비견설기편인(比肩洩氣偏印)
편인격에 꺼리는 것
1. 편인견식신(偏印見食神)
2. 칠살생편인(七殺生偏印)
丁 己 丁 丁
卯 亥 未 未
甲乙丙
辰巳午
기토가 득령하였어도 財위에 앉았고 지지에 해묘미목국을 이루어 칠살이 왕성하다. 천간에 편인이 3개 떠있다. 숫자는 많아도 강약은 중화에 가까운 신약이다. 편인이 많아 식신이 오면 파극하게 되니 좋지 않다. 칠살의 힘을 인수로 통관하여야 한다. 병오운은 좋으나 을사대운에 칠살운이고 癸亥년에 인수를 충극하니 사망하였다.
壬 甲 丙 甲
申 戌 寅 戌
己戊丁
巳辰卯
갑일간이 득령하고 비겁이 많아 신왕한데 병화식신은 좋다. 그러나 임수편인이 투출하여 식신을 파극하고, 지지에서는 신금이 인목을 충한다. 申金은 칠살로서 다시 편인을 도와 흉폭한 작용을 돕는다. 기사대운에 금의 장생지가 되고 경자년에 다시 칠살운이고 임수가 힘을 얻으니 겨울철 子時에 사망하였다.
재격(財格)에 정관격을 겸하면 재관격(財官格),
재격에 식신투출이면 재투식신(財透食神),
편관격을 겸하면 재살격(財殺格)이라고 함.
옮겨온글....
첫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