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그만 사랑 노래
황동규
어제를 동여맨 편지를 받았다
늘 그대 뒤를 따르던
길 문득 사라지고
길 아닌 것들도 사라지고
여기저기서 어린 날
우리와 놀아 주던 돌들이
얼굴을 가리고 박혀 있다.
사랑한다 사랑한다, 추위 가득한 저녁 하늘에
찬찬히 깨어진 금들이 보인다.
성긴 눈 날린다
땅 어디에 내려앉지 못하고
눈 뜨고 떨며 한없이 떠다니는
몇 송이의 눈.
(시집 『나는 바퀴를 보면 굴리고 싶어진다』, 1978)
[작품해설]
이 시는 제목이 의미하듯 일종의 ‘사랑 노래’로 이루어져 있다. 연시(戀詩)는 대개 실연의 상처를 노래하거나 사랑의 대상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을 표현함으로써 임을 떠나보내고 혼자 남은 자의 고독과 상처를 드러내는 특징을 갖는다. 그러나 이 시에서는 누가 떠났고 누가 남았는지 분명하지 않다. 단지 실연이라는 상황에 두 사람 모두 연루되어 있음을 암시할 뿐, ‘어제를 동여맨 편지’의 구체적인 내용이 무엇인지 밝히지 않고 있다.
그러나 편지는 두 사람의 행복했던 어제와 내일을 단절시키는 편지일 것임은 분명하다. 그 어제의 사라짐과 함께, 길과 길 아닌 것, 즉 어제의 모든 것들이 사라진다. 어제의 사라짐은 ‘어린 날 / 우리와 놀아 주던 돌들이 / 얼굴을 가리고 박혀 있다’는 돌의 상태는 분명 그 추억이 더 이상 행복하거나 자랑스러운 것이 아님을 의미한다. ‘깨어진 금들’은 바로 이러한 깨어진 추억의 상처를 드러내는 것으로, 추억의 그 빈 자리엔 이제 ‘몇 송이 성긴 눈’만 날릴 뿐이다. ‘땅 어디에 내려앉지 못하고 / 눈 뜨고 떨며 한없이 떠 다니는’ 눈은 화자가 아무리 ‘사랑한다 사랑한다’ 외쳐 보아도 결코 실현될 수 없는 비극적 운명임을 확인시켜 줄 뿐이다.
그렇다면, 이 화자가 갖는 그 비극적 운명은 무엇일까? 이 시가 창작된 1970년대 초 암울했던 현실 상황과 관련한다면 ‘어제를 동여맨 편지’ 나 ‘문득 사라진 길’은 지난날 추구해 오던 가치가 억류되어거나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추위 가득한 저녁 하늘’로 상징죈 사회적 상황을 안타까운 마음으로 바라보는 화자는 바람직한 방향과는 어긋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현실을 ‘얼굴을 가리고 박혀 있’는 돌과 ‘한없이 떠다니는’ 눈 송이의 이미지를 통해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사랑 노래’는 한 개인에게 전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사회 ⸱ 국가와 같은 공동체를 대상으로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이 ‘조그만 사랑’이 아닌 ‘큰 사랑’으로 심화⸱확산되지 못했다는 안타까움을 느낄 수밖에 없다.
[작가소개]
황동규(黃東奎)
1938년 서울 출생
서울대학교 영문과 및 동 대학원 졸업
1958년 『현대문학』에 시 「시월」, 「즐거운 편지」 등이 추천되어 등단
1968년 제13회 현대문학상 수상
1980년 한국문학상 수상
1990년 제1회 김종삼문학상 수상
1995년 대산문학상
2001년 제1회 미당문학상 수상
서울대학교 영문과 교수 역임
시집 : 『어떤 개인 날』(1961), 『비가(悲歌)』(1965), 『평균율 1』(공저, 1968), 『평균율 2』(공저, 1972), 『삼남(三南)에 내리는 눈』(1975), 『나는 바퀴를 보면 굴리고 싶어진다』(1978), 『열하일기』(1982), 『풍장(風葬)』(1984), 『악어를 조심하라고?』(1986), 『견딜 수 없이 가벼운 존재들』(1989), 『몰운대 행(行)』(1991), 『K에게』(1991), 『미시령 큰 바람』(1993), 『외계인』(1997), 『어떤 개인날 악어를 조심하라고』(1998), 『황동규시전집』(1998), 『버클리풍의 사랑 노래』(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