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에서 벗어나>라는 책을 통해 박옥수 목사의 구원관이 어떤 것인지 파악해보고자 합니다.
비교적 최근의 작품으로(2022년 저술) 저자의 주관이 잘 나타납니다.
이 책은 설교집으로 보이며, 같은 말과 주제가 반복됩니다.
1. 율법이란 무엇인가?
저자 박옥수 목사는 성경을 많이 읽었지만 해석에 있어서 결함이 있습니다.
개혁주의 목회자들 역시 유사한 결함을 지닌 것은 부정할 수 없습니다.
신학자들이 그런 프레임을 설정했기에 사실상 <구원론>의 불완전함을 평생토록 지녔습니다.
저자는 새 언약과 옛 언약의 동질성은 보지 못하고 전혀 다르다고 결론을 맺습니다.
"내가 그들의 죄악을 사하고, 다시는 그 죄를 기억지 아니하리라(렘31:34).
첫 번째 언약에서는 인간이 율법을 지키면 복을 받고 지키지 못하면 저주를 받아야 했습니다.
새 언약에서는 인간이 무엇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일하십니다.
하나님이 우리 죄를 사한다고 하셨습니다."(p. 31)
"하나님이 제일 싫어하시는 것이 인간이 율법을 지키겠다고 하는 것입니다. 이스라엘이
지키지도 못할 율법을 지키겠다고 하여 저주를 받았습니다. 오늘도 성경을 잘 모르는
목사님들은 십계명을 지키라고 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십계명을 쳐다보지 말라고 궤에 넣고 뚜껑을 덮으라고
하셨습니다. 십계명을 지킬 수 있는 사람이 한 사람도 없기 때문입니다. 법이 열려 있으면,
법을 어기면 저주를 받아야 합니다."(p. 134)
"율법으로는 복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하나님이 새 언약을 세우겠다고 하셨습니다...
하나님이 "내가 그들의 죄악을 사하고 다시는 그 죄를 기억지 아니하리라 하셨습니다.
이것이 새 언약입니다. 지금도 율법을 지키겠다며 거드름을 피우는 사람들이 많지만 다 거짓말
입니다."(p. 136-7)
박옥수 목사의 순수했던 초기 신앙은 성경에 대한 불완전한 이해로 말미암아 전혀 다른 결론에
도달하게 된 것입니다. 저자가 놓치는 것이 무엇입니까?
구약은 율법만 주고 그것을 지킬 만한 힘은 주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즉 구약에서 성도들 안에 내주하는 성령을 보지 못했습니다.
2.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를 통해 본 구원
이 책에는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 설교가 많이 등장합니다. 그는 강도 만난 자를 이 땅에
살아가는 <죄인들>로 보고, 사마리아인을 <예수님>이라 주장합니다.
강도만나서 거의 죽게 된 자는 자기 힘으로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논지입니다.
강도 만난 자는 사마리아인의 손끝에만 의존할 때 살 수 있다는 것입니다.
"여기에서(눅10:33-35) 강도 만난 자가 한 일이 있습니까? 없습니다.
전부 구원자인 사마리아인이 했습니다... 강도 만난 자가 한 일은 누워있는 것밖에 없었습니다.
이 사마리아인은 예수님을 가리킵니다. 구원은 우리가 이루는 것이 아닙니다.
구원자인 예수님이 하십니다."(p. 33)
"사람들은 자기가 선한 사마리아인처럼 살아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이 이야기에 나오는 선한
사마리아인은 예수님을 가리킵니다. 강도 만난 자가 우리 모습입니다. 우리는 구원자가 아니라
구원받아야 하는 피구원자입니다."(p. 205)
저자 박옥수 목사는 성경을 많이 읽었지만 바른 해석에는 이르지 못했습니다.
3. 어떻게 하여야 영생을 얻는가?
율법사가 예수님께 질문한 "내가 어떻게 하여야 영생을 얻을 수 있습니까?"에 대한 해석 역시
문제가 많습니다. 저자는 이런 질문 자체가 틀렸다고 주장합니다.
"선생님, 내가 무엇을 하여야 영생을 얻으리이까?"
그냥 들으면 별 문제없는이야기 같지만 잘못된 이야기입니다. 영생은 인간이 무엇을 해서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자신이 노력해서 자신을 구원한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되는 이야기입니다...
예수님이 율법에 무엇이라 기록되었느냐고 묻지 않으셨습니다.
무엇이라 기록되었고, 그것을 네가 어떻게 읽느냐고 물으셨습니다. 이 말은 율법을 이렇게
읽을 수도 있고 다르게 읽을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마음과 목숨과 힘과 뜻을 다해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자기 몸처럼 사랑할 수 있는
사람이 있습니까? 세상에 이런 사람은 없습니다."(p. 197-199)
두서없는 해석입니다.
개혁교회의 많은 목회자들 역시 이런 패턴을 따르거나 구원론에 대한 체계적인 프레임이
없습니다.
성도가 하나님과 이웃을 사랑하는 힘이 자신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로부터 주셨다는
구약의 말씀을 알지 못함에서 이런 파탄이 일어난 것입니다(신30:6).
(저자의 관점으로 보면 구약에서는 거듭남이 없다)
박옥수 목사의 구원론은 개혁주의자들의 아픈 곳을 찌르기도 합니다.
저자 박옥수는 개혁교회가 늘상 한탄하는 <의로워진 죄인>이란 신학에 돌을 던졌습니다.
성도는 더 이상 죄인이 아니라 의인이라는 주장은 바른 관점입니다.
다만 의인은 죄를 짓지 않기에 회개가 불필요하다는 주장은 크게 잘못된 것입니다.
박옥수 목사나 개혁주의 교회나 신학자들이나 천주교나 구원론에 관하여 완전한 교리를
갖추지 못했습니다. 그런 이유는 구약성경에 나타난 구원론 즉 이스라엘이 어떻게 구원을
받았는지에 대해 알지 못함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첫댓글
구약백성의 구원은 성화가 아니고 보혈이 맞습니다.
성화는 아무나 되는 것이 아니고 보혈의 공로없이 성화는 불가능한 거임~!!
구약백성의 구원은 말씀에 순종한 동물의 피로 구원받은 것으로
구약제사의 동물 피는 예수님의 십자가 사건으로 인해 더 이상 동물의 피가 아니고
예수님의 피가 되어 구원받은 것이지요~!!
온 인류는 모두 보혈로 구원받고 대속받습니다.
보혈은 시공간을 뛰어넘는 하나님의 피이기에
BC와 AD를 가르는 공간의 시점은 온 우주의 알파와 오메가의 시간이 되는 것이지요.
옛날 구약성도들이나 지금의 신약성도, 장차 지상천년왕국의 성도들도
모두 십자가 사건의 보혈로 구원받게 되는 것임.
---------------
결론 : 오은환, 나그네의 구약의 구원론은 모두 틀린것입니다.
장민재씨의 구원론은 <초보적인 지식>도 없다.
성화와 예수님의 보혈이 서로 다르다고 주장한다.
기가막힐 일이다.
구약 성도들이 동물의 피로 구원받았다고 한다...
그 시대에는...
그런데 이 동물의 피가 십자가에 달려 흘리신 피로 인하여
뒤바뀌었다고 한다...뭔 소리인지....화체설인가?
............
구약 성도들의 올바른 구원론은 사도 바울이 잘 정리해준다.
<그리스도와 한 몸을 이루었기에> 가능했다는 것이다.
구약 성도들의 칭의도 성화도 모두 그리스도 안에 있었기에 가능하다.
이것이 바울의 구원론이다.
.............
장민재씨나 K씨, 이장로, OOO 목사 등이 복음을 우습게 알고,
교회를 거짓 뉴스로 현혹하는 것은 성화없는 구원을 믿고 있기
때문이다.
저들은 거짓 뉴스로 한국교회를 오염시키고,
전도의 문을 가로막고 있다.
황교O 같은 자도 그런 유형이다.
한국교회를 타락시키고, 사회로부터 매장시키는
전형적인 정치꾼이다.
그들에게 물어봐라,
성화가 구원과 연관이 있냐고...
그들이 이 사실을 모르기에 자기 몫을 챙기려고 복음을 버렸던 것이다.
@오은환
구원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보혈~!!
보혈없이는 성화도 구원도 없단다.
빨갱이 목사 티를 내요..
ㅋㅇㅋ..
@새하늘사랑(장민재)
또 거짓말...
빨갱이 증거 가져오라닌까
5일째 침묵중...ㅎㅎ
성령이 안 계시는가???
@새하늘사랑(장민재) 그럼
예수 그리스도의 보혈로 성화는 어떻게 되는 거냐.??
성화가 보혈과 관계가 있어?
구약성경에 나타난 구원은 예표이지
실제 구원받은게 아님니다
구원은 예수그리스도피로 죄사함을 받아야만
가능한 것이요
그래서
이스라엘이 아들의영으로 거듭나는 것이죠
왜?
이스라엘에겐 아들되는 영광과 약속과 언약이
있기 때문입니다(롬9:4)
구약은 예표와 약속이고
신약은 실체와 약속의 이루어짐 입니다
한 마디로 정리하면,
베냐민씨는
"구약 성도들은 구원받지 못했다"
@오은환
구약 성도들은 예수님이 십자가의 대속하시므로 구원을 받았지
구약 시대에서는 약속을 받은 것이고
그 약속은 예수님의 십자가의 대속할때 이루어진 것이고.
@나그네1004
나선생,
바울과 스데반의 관점까지 오려면
옛날 가진 것들 다 버리시오....
배설물로 여기라고요...
@오은환
바울과 스데반의 관점??
성경은 하나님의 관점
율법의 의를 베설물로 여기라고 이 무식아
5 내가 팔 일 만에 할례를 받고 이스라엘의 족속이요 베냐민의 지파요 히브리인 중의 히브리인이요 율법으로는 바리새인이요
6 열심으로는 교회를 핍박하고 율법의 의로는 흠이 없는 자로라
7 그러나 무엇이든지 내게 유익하던 것을 내가 그리스도를 위하여 다 해로 여길 뿐더러
8 또한 모든 것을 해로 여김은 내 주 그리스도 예수를 아는 지식이 가장 고상함을 인함이라 내가 그를 위하여 모든 것을 잃어버리고 배설물로 여김은 그리스도를 얻고
율법의 의는 해가되고 믿음의 의로 발견되어야 한다고
9 그 안에서 발견되려 함이니 내가 가진 의는 율법에서 난 것이 아니요 오직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은 것이니 곧 믿음으로 하나님께로서 난 의라
@오은환
그리고 나에게 나선생이라고 하면
나에게 배워
선생 말을 들어야 착한 학생이지.
선생에게 대들고 지랄일까?
말대꾸나 하고
불량한 학생아. ㅋㅋ
@나그네1004
나선생이라고 하면 안 되겠네...
<자칭> 나선생이라 해야하는데 번거로워서...
저도 오래 전, 90년대 초쯤..
성경 전체를 읽지 않고 부분적으로 읽을 때
박옥수 책 몇권 읽고 은혜 받았다고
교인들에게 권했던 게 생각납니다 ㅎㅎ
지금 생각해보니 소름이 끼치네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