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놀자 美 나스닥 상장 추진 소식에 '야놀자 제휴' 코인 밀크 급등
'크립토 성지' 두바이도 바이낸스에 '깜짝'…규제 강화 움직임
6일 오전 8시 50분 업비트 기준 밀크(MLK) 가격은 전날 같은 시간보다 74.4%
오른 724원을 기록했다. 업비트 갈무리
(서울=뉴스1) 박현영 기자 = 비트코인(BTC)을 비롯한 주요 가상자산이 보합세인 가운데, '야놀자 코인'으로 알려진 밀크(MLK)가 이틀 연속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6일 오전 8시 50분 업비트 기준 밀크(MLK) 가격은 전날 같은 시간보다 74.4% 오른 724원을 기록했다. 야놀자의 나스닥 상장 소식으로 인한 급등세다.
밀크는 블록체인 기반 포인트 통합 플랫폼으로, 가상자산 밀크(MLK)는 해당 플랫폼에서 쓰이는 토큰이다. 여러 제휴 업체의 포인트를 밀크로 전환해 통합하는 구조다.
야놀자는 밀크의 대표적인 제휴 업체 중 하나다. 야놀자 내 포인트인 '야놀자 코인'을 밀크 토큰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날 밀크 가격은 야놀자의 미국 나스닥 상장 추진 소식에 힘입어 크게 상승했다.
주요 가상자산 가격은 보합세다. 같은 시간 업비트 기준 비트코인(BTC) 가격은 전날 같은 시간보다 0.12% 빠진 3714만6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더리움(ETH)은 다음주 '상하이 업그레이드' 기대감에 1.82% 가량 소폭 올라 251만6000원을 기록했다.
◇'크립토 성지' 두바이도 규제 강화
'크립토(가상자산) 성지'로 불렸던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도 최근 규제 강화 움직임이 포착됐다.
블룸버그는 지난 5일(현지시간)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를 인용해 두바이가 지난해 'FTX 사태' 이후 가상자산 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특히 최근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로부터 기소당한 세계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에는 지배구조, 감사절차 등에 관한 추가 정보를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바이낸스는 지난해 9월 두바이에서 운영 허가를 획득한 바 있다. 또 자오창펑 바이낸스 최고경영자(CEO) 직접 트위터에서 "두바이는 가상자산에 친화적"이라고 묘사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미 CFTC가 바이낸스를 기소하자 일각에서는 바이낸스가 두바이로 근거지를 옮길 수 있다는 추측도 나왔다. 그러나 현재는 두바이 규제당국도 바이낸스를 눈여겨보는 상황이다.
국내 기업 중에선 위메이드가 두바이에 지사를 세우고 블록체인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마이크로스트레티지, 386억원치 비트코인 또 샀다
'비트코인 큰 손'으로 알려진 소프트웨어 기업 마이크로스트레티지가 1045BTC(비트코인)를 추가 매수했다. 평균매수단가는 2만8016달러다.
마이크로스트레티지가 보유한 비트코인은 총 14만BTC에 달한다. 지금까지 매수한 양의 평단가는 2만9803달러다. 무려 41억7000만달러(약 5조5000억원) 규모다.
마이크로스트레티지는 지난 2020년부터 꾸준히 비트코인을 사들이며 '큰 손'이 됐다. 마이클 세일러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창업자 겸 회장은 '비트코인 지지자'로 잘 알려져 있으며, 지난해 8월 비트코인 매입 전략에 집중하고자 대표직을 내려놓기도 했다.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들 "준비금 문제 없다"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들이 준비금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지속적으로 내놓고 있다.
법정화폐와 1:1로 연동되는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들은 코인 발행량 만큼의 법정화폐를 준비금으로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지난달 미국 실리콘밸리은행이 파산했을 당시 시가총액 규모로 2위 스테이블코인인 USDC 가격이 고정 가격인 1달러 밑으로 떨어진 바 있다. USDC 준비금 일부가 실리콘밸리은행에 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테더(USDT)와 가상자산 거래소 제미니의 스테이블코인인 GUSD는 최근까지 준비금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제미니는 지난 5일(현지시간) 자체 블로그를 통해 "제미니 스테이블코인 GUSD는 국채, 정부 머니마켓펀드, 미 연방예금공사가 보증하는 은행 예금 등 리스크가 낮은 자산으로 준비금을 관리한다"고 밝혔다.
테더 역시 이날 실버게이트, 실리콘밸리, 시그니처은행 관련 익스포저가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세 은행은 모두 지난달 문을 닫았다.
hyun1@news1.kr
Copyright ⓒ 뉴스1코리아 www.news1.kr 무단복제 및 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