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 업계에 크고 작은 M&A 바람이 불고 있다.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움직임이다. 일부는 인수합병을 완료했고 일부는 적임자를 물색중이다.
엠투엔은 7월 15일 신라젠 신주 인수대금 600억원을 납입하고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지분율은 20.75%(1875만주)다.
엠투엔의 신라젠 인수는 기존사업과 시너지를 위해서다. 엠투엔은 지난해부터 바이오사업에 뛰어들었다. 그해 미국 바이오회사 그린파이어바이오(GFB)를 인수했고 최근 신라젠까지 품에 안았다.
엠투엔은 신라젠 파이프라인(펙사벡 등)은 물론 퇴행성 뇌질환 등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신라젠은 이르면 연내 거래재개된다.
일동제약은 스핀오프 한 사내벤처를 130억원(지분율 40%, 260만주)에 사들였다.
R&D 역량 확보 및 기업 가치 제고 목적이다. 아이리드베임에스는 저분자화합물 분야 신약을 개발하는 바이오벤처다. 일동제약연구원 중심 사내 벤처로 시작했고 지난해 독립법인을 출범했다. 암, 대사질환, 만성질환 등 신약개발 연구를 전개 중이다.
티에스바이오(티에스제1호조합 포함)는 263억원(9.62%, 876만6139주)을 들여 에이치엘비파워를 인수했다.
티에스바이오는 네이처셀출신 경영진과 세포치료제 분야 연구진이 모여 2018년 탄생한 기업이다. 일본 최대 바이오회사 고진바이오와 협력(기술이전 등)하고 있으며최근 세포처리기술 GMP 인증을 받았다. 티에스바이오는 에이치엘비파워 인수로 항암 사업 확대에 나선다. 티에스바이오는 내년 상장이 예고된 상태다.
M&A 추진중…적임자 물색
휴젤은 회사 매각을 추진중이다. 휴젤 몸값은 2조원 안팎으로 다수 국내외 기업으로부터 러브콜을 받고 있다.
휴젤 최대주주이자 매도자 사모펀드 베인캐피탈(44%)은 수의계약이 아닌 제한적 경쟁입찰을 통해 인수자를 가려내기로 했다.
휴젤에 관심을 보이는 곳은 SK그룹, GS그룹 등과 중국과 미국 바이오 기업 등으로 알려졌다. 신세계그룹은 최근 휴젤 인수를 포기했다.
7월 16일 코스피에 입성한 SD바이오센서도 M&A를 추진한다.
미국이나 유럽 지역 유통사나 회사에 없는 진단 플랫폼 신기술 보유 회사 등이 검토 대상이다. SD바이오센서는 IPO 첫날 6조3000억원 시총을 형성하며 진단기트 대장주로 등극했다. 공모자금으로 7764억원(구주매출 2588억원 포함)을 조달했다.
신풍제약도 신약 파이프라인(후보물질)을 확충하기 위해 중견제약사 또는 바이오기업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
현금은 충분하다. 신풍제약과 그 최대주주 송암사는 최근 1년새 주식 처분으로 3834억원을 확보했다. 이중 차입금 상환에 1400억원 정도를 투입했지만 여전히 2400억원 가량이 남은 상태다. 투자만 결정하면 여력은 충분하다.
700억원대 비상장 M사도 제약사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 사업다각화를 위해서다. 규모는 300억원정도로 책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씨티씨바이오는 M&A설이 돌고 있다. 한국투자파트너스의 블록딜 때문이다.
시장은 한투파 처분 물량(199만8689주, 8.81%)이 씨티씨바이오 최대주주 지분율(2225만481주, 9.92%)과 비슷하다는 점에 주목한다. 반대세력이 가져갔다면 M&A가 가능해서다.
[데일리팜=이석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