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Q21 매출액 2,801억원(+7.0% QoQ), 영업이익 681억원(+9.6% QoQ) 기록
SK머티리얼즈의 2Q21 실적은 시장 전망치에 부합. NF3는 반도체향 제품 비중 확대와 일부 고객향 제품 가격 인상으로 Blended ASP가 소폭 증가. WF6는 경쟁사의 공급 이슈로 일시적인 물량 증가가 발생. SK트리켐은 Hf계 프리커서 물량 확대가 이루어졌으나 Zr계 프리커서의 경쟁이 예상보다 심화되며 당초 예상보다는 매출액 성장성이 다소 약하였음. SK머티리얼즈리뉴텍은 드라이아이스 성수기 진입으로 매출액이 약 +10% QoQ 증가.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는 정유사 가동률 증가로 전분기 대비 실적이 개선. 영업외적으로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의 M14 관련 자산매각으로 약 600억원 일회성 이익이 발생하며 당기순이익은 시장 전망치를 크게 상회하였음.
하반기 소재의 성수기 & Group14 JV
하반기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성수기 효과로 특수가스 물량 확대가 기대. 반도체는 신규 라인 램프업에 따른 수요 확대가 예상되며, 이로 인해 NF3는 2분기에 이어 제품 Mix 개선 효과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는 M14 관련 매출 소멸분을 정유사향 매출이 상쇄할 것으로 예상. 3분기부터 Liquid CO2, CH3F 증설효과가 기대되고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도 3D NAND향 KrF 공급 확대로 턴어라운드를 기대.
동사는 10% 지분을 보유중인 미국의 Group14과 JV를 설립하고 최종 지분율 75%를 확보할 예정. 실리콘 음극재의 초기 양산은 국내에서 진행되며 향후 미국으로 설비 투자 확대 계획. 현재 2차전지에 사용되는 음극 소재인 흑연 대비 실리콘의 에너지밀도는 10배 높고 충방전시간도 짧은 장점이 있음. 2022년까지 지속적인 설비 투자 후 2023년 본격적인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
투자의견 Buy유지, 목표주가 500,000원으로 상향
동사에 대해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며 목표주가를 500,000원으로 상향 조정함. 목표주가는 12M FWD EPS 21,328원에 Target PER 23.4x를 적용하여 산정. 이번 Group14 JV를 통해 본격적인 2차전지 시장 진입을 알림. Valuation 확대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 2020년 설립한 JNC JV는 Captive 고객의 부재로 당초 기대보다 다소 성장 속도가 느린 것으로 파악. 2차전지는 반도체 소재와 마찬가지로 그룹내 제조사가 있다는 점이 초기 시장 진입에 강점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케이프 박성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