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스콘크리트는 부재 치수가 커서 시멘트의 수화반응에 의한 수화열로 구조물의 특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응력(내부구속)이 발생하여 표면균열이 발생된다. 또한, 1~2일 지난 후 냉각과정에서는 콘크리트의 체적은 수축하지만 이것이 기초에 구속되어 콘크리트의 하부가 응력(외부구속)을 받게 되어 균열이 발생되며, 일반적으로 외부구속에 의한 균열은 구조물을 관통하는 균열로 구조물에 구조적인 문제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매트콘크리트에서의 온도균열은 신중히 검토되어야 한다.

<내부구속> <외부구속>
<수화열에 의한 온도균열 발생유형>
일반적으로 , 매스콘크리트로 다루어야 하는 구조물의 부재치수는 구조형식, 사용재료, 시공조건에 따라 각각 달라서 일률적으로 정하기 어렵지만, 대체적인 표준으로서 넓이가 넓은 평판구조나 기둥 형상의 부재에서는 두께 0.8 m이상, 하단이 구속된 벽체 형식의 구조물에서는 두께 0.5 m이상으로 보면 된다.
그러나 프리스트레스콘크리트 구조물 등과 같이 부배합의 콘크리트를 쓰는 경우에는 더 얇은 부재라도 구속조건에 따라 대상이 될 수도 있다.
★ 매스콘크리트 ┌─ 넓이가 넓은 평판구조(Slab)나 기둥 형상의 부재
│ : 두께 0.8m이상
│
└─ 하단이 구속된 벽체 형식의 구조물 : 두께 0.5m 이상
│
└─ 프리스트레스콘크리트 구조물 : 구속조건에 따라 적용되기도 함
상기 조건을 만족시에는 매스콘크리트라 칭해도 무관할 것입니다. ^^
★ 용어의 정의 ★
※ 급열양생(heat curing)
-- 양생기간 중 어떤 열원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르 가열하는 양생
※ 내부구속응력(internal restricted stress)
-- 콘크리트 단면 내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내부 구속작용에 의한 응력
※ 외부구속응력(external restricted stress)
-- 새로 타설된 콘크리트 블록의 자유로운 열변형이 외부로부터 국속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응력
※ 보온양생(insulation curing)
-- 단열성이 높은 재료 등으로 콘크리트 표면을 덮어 열의 방출을 적극 억제하여, 시멘트의 수화열을 이용해서 필요한 온도를 유지하는 양생
※ 온도균열지수(thermal cracking index)
-- 매스콘크리트의 균열발생 검토에 쓰이는 것으로,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수화열에 의해 발생하는 온도응력으로 나눈 값
※ 온도제어양생(temperature-controlled curing)
-- 콘크리트를 친 후 일정기간 콘크리트의 온도를 제아하는 양생
※ 온도철근(temperature reinforcement)
-- 수축과 온도변화에 의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로 배근하는 철근
※ 파이프쿨링(pipe-cooling)
-- 매스콘크리트의 시공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미리 콘크리트 속에 묻은 파이프 내부에 냉수 또는 고익를 보내 콘크리트를 냉각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