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의 이해
食
먹을(식)
사람이(人) 몸 상태를 양호하게(良) 유지하려면,
人 사람(인)
良 어질(량) / 良好(양호)
제 때에 식사를(食) 해야 한다/ 밥을(食) 먹어야 한다.
食事(식사) 飮食(음식)
食糧(식량) 食傷(식상)
養
기를(양)
(어린) 양을(羊) 잘 먹여서(食),
羊 양(양) 綿羊(면양)
기르다(養) / 양육(養育)하다.
營養(영양)
扶養(부양) 養老(양로)
見
볼(견)
똑똑하고 어진 사람의(儿) 눈을(目) 통하여,
儿 어진 사람(인)
目 눈(목)
바라보는(見) 것을 견해(見解)라 한다.
意見(의견) 偏見(편견)
參見(참견) 會見(회견)
差
어긋날(차)
(양털깎이) 기술자마다(工) 양털의(羊) 길이는,
工 장인(공) 工場(공장)
技能工(기능공)
조금씩 어긋난다(差) / 차이(差異)가 있다.
差別(차별)
偏差(편차)
着
붙을(착)
(바람에 날려) 깎은 양털이(羊) 눈에(目),
眼 눈(안)
달라붙다(着)
附着(부착) 着用(착용)
着陸(착륙) 到着(도착)
洋
바다(양)
양은(羊) 저 물(氵) 건너,
큰 바다(洋) 너머에서 왔다.
氵(삼수변) / 水
海( 氵); 바다(해)
양은(羊) 바다(⺡) 건너 멀리,
서양(西洋)에서 수입되었다.
大西洋(대서양)
海洋(해양) 東洋(동양)
暑
더위(서)
뜨거운 태양이(日) 바로 사람(者) 머리 위에 있으니,
者 놈,사람(자)
덥다(暑) / 폭서(暴暑) / 혹서(酷暑)
避暑(피서)
禪
선,고요할(선)
(스님이) 홀로히(單) 신에게(示) 기도 드리는,
單 홑(단) 神(示)
禱(示); 빌(도)
참선(禪)
坐禪(좌선) 參禪(참선)
窓
창(창)
(답답한) 내(厶) 마음을(心) 전하는 구멍(穴)
厶 나(사) 心 마음(심)
穴 구멍(혈)
창(窓) / 창문(窓門)
同窓(동창)
船窓(선창)
鷗
갈매기(구)
(바다와 육지를 오가며)
갈피를(區) 잘 잡는 새(鳥)
區 갈피,구분할 (구)
區分(구분) 鳥 새(조)
갈매기(鷗)
白鷗(백구); 백 갈매기
출처: 벽운의 스토리텔링 한자비법 원문보기 글쓴이: 벽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