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고모님댁에 새해 인사를 다녀와서 아내랑 함께 공추 구도심을 찾았다.
공주 제민천에 있는 교량 중 금강에서 공주시청까지 놓여진 다리를 살펴보기 위해서다.
다리를 어떻게 관광자원화 할 것인가?
제민천을 더 아름답게 꾸밀 수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해서였다.
금강에 인접한 곳부터, 금성교, 왕릉교, 웅진교, 금성교, 산성1교, 산성2교, 교촌교(또는 교동교), 봉산교,
반죽교, 대통교, 제민천교, 봉황교, 선화교가 있다.
대전에서 공주로 오면서 '어가명가'에서 식사를 하려고 했으나 휴무여서 제민천 옆 '맛깔'이라는 곳에서
두루치기와 함께 점심을 먹었고 교량 만나기를 하다가 '이안하우스 카페'에서 커피를 하면서 잠시 쉬었다.

이 건물은 기존에는 여관 건물이었는데 향후 무슨 건물로 사용될지 궁금해서 찍어 보았다.
내가 공주 구읍내 제민천을 건너는 다리를 돌아봐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것은
길지 않은 천에 교량이 1~2백미터 간격으로 다수의 있으면서 모양들이 다 특이해서다.
또한, 아쉬운 점은 교량명이 체계적이지는 않은 것과 앞으로 보수시에 디자인을 더 이쁘게 하면 좋을 듯 해서다.
그래도 최근에 보수한 '대통교'가 그중에서 가장 의미성을 갖으면서 보기에도 좋았다.

1. 첫번째 다리 : 금성교( )
http://map.daum.net/?map_type=DEFAULT&map_hybrid=false&q=%EA%B3%B5%EC%A3%BC%20%EA%B8%88%EC%84%B1%EA%B5%90
이 다리는 금강이 제민천과 만나는 입구에 위치한 다리이다.
앞쪽으로 가서 오른쪽으로 가면 백제큰다리를 건너게 된다.
왼쪽에는 공주에덴요양센터와 비둘기아파트가 있는데 그 쪽으로는 차를 가지고 좌회전할 수 없다.
교량 양쪽 끝에 있는 이름표지석(안내판)은 연화문이 새겨져 있다.

교량 안내표지석이 기와 위에 연꽃잎을 올려놓은 모습이며 팔옆의 연꽃와당문이 있다.

제민천에 있는 첫번째 다리이면서
가장 긴 다리이고 차량통행이 가장 많은 곳중의 하나인데 설계하중이 18톤이다.

공주에덴요양센터 앞쪽에서 공산성쪽을 바라다 본 모습이다.
다리를 건너서 100여미터를 가면 오른쪽으로 그 유명한 공주국밥집 '새이학가든'이 길 옆에 있다.
공주에 오면 국밥, 칼국수, 떡 등 공주의 먹거리를 먹어주는 것이 좋을 것 같다.

금성교를 금강하류쪽에서 바라다본 모습이다.
교각이 천 중간에 서 있고 난간이 허리높이 정도로 설치되고 가로등이 설치되어 있다.
강변과 천변을 산책하는 분들은 여기부터 시작하고 있다.

제민천쪽에서 금강하류쪽을 바라다 본 모습이다.
날씨가 좋아서 많은 사람들이 천변을 산책하고 있었다.
다리 아래쪽에는 큰 바퀴가 걸려있는데 이는 불교에서 '전륜성왕'과 연관되는 수레바퀴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다리 난간에는 금동관식이 장식되어 있고 녹색으로 페인트 칠이 되어 있었다.

2. 두번째 다리 : 왕릉교( )
http://map.daum.net/?map_type=DEFAULT&map_hybrid=false&q=%EA%B3%B5%EC%A3%BC%20%EC%99%95%EB%A6%89%EA%B5%90
제민천에 있는 다리중에서 폭이 가장 넓은 다리로 공산성으로 가는 웅진문과
무령왕릉이 있는 송산리고분군으로 가는 길이 연결되는 다리로
웅진문쪽에서 고분군쪽으로 가려고 다리를 건너면 왼쪽에는 황새바위 성지, 오른쪽에는 공주중학교와
그 앞쪽으로 해서 정지산유적으로 가는 길이 나온다.

왕릉교는 교각이 다리가 두개인 것과 세개인 것이 연결되어 있으며
교각 위쪽의 난간도 특이한 형태를 하고 있다.
교각 아래쪽도 많은 사람들이 쉴 수 있도록 정비해 놓았고, 천 옆쪽은 계단식으로 만들어 놓았다.

공주중학교 쪽에서 공산성과 웅진문쪽을 바라다본 모습이다.
가장 많은 차량들이 이 다리를 이용하고 있으며 웅진문 쪽으로 가지 않고
왼쪽으로 좌회선을 한 후 백제큰다리를 건너가 세종이나 대전으로 빠지고 있었다.
*금강철교가 일방통행이라 앞쪽으로 가면 우회전해서 돌아갈 수 밖에 없음

웅진문쪽에서 황새바위 성지쪽을 바라다 본 모습이다.
공주는 우리나라 천주교 성지이다.
그래서 교육도시 의료도시, 행정도시 종교도시 등등 우리나라의 선구적인 도시이다.
또한 20세기 초까지만 해도 수로든 육로든 교통의 요지여서 많은 사람들이 찾았다.

1991년에 만들어진 최신의 다리이며 교량폭이 25m로 제민천 다리중에서 가장 넓다.

제민천은 거의 직선형태로 뻗어 있는데 천은 곡선으로 흐르고 있어서 보기 좋았다.

3. 세번째 다리 : 웅진교( )
http://map.daum.net/?map_type=DEFAULT&map_hybrid=false&q=%EA%B3%B5%EC%A3%BC%20%EC%9B%85%EC%A7%84%EA%B5%90
짧은 다리에 교각이 매우 큰 교각이 두 개나 있어 왠지 사연이 있는 듯 하다.
아님 다리가 너무 약해져서 교각을 보강했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웅진교 난간을 디자인 한다면 '곰'으로 하는 것이 어떨까?

예전 미나리꽝과 공주여중을 이어주는 다리라고 한다.
교량명표지석이 마름모꼭 형태로 단순하며 교량난간도 철제로 단순하게 만들어져 있다.
다리 주변이 지저분해서 앞으로 교량 보수공사가 있을 계획이라면 디자인을 고민해야 할 듯 하다.

통과하중이 32톤이나 되는데 이곳으로 그 정도의 차량은 전혀 다니지 않는 듯 하다.

미나리꽝쪽에서 공주여중, 청소년경찰학교(왼쪽 흰건물)쪽을 바라다 본 모습이다.
건너편쪽으로 단독주택단지가 있어 보기에는 좋았다.(거의 모든 건물이 2층의 대저택임)

웅진교 교각 2개는 곰처럼 듬직하면서 높이는 약 6미터 정도 된다.
왼쪽으로 보이는 하얀 건물은 청소년경찰학교 건물과 황새바위에 있는 탑이다.

4. 네번째 다리 : 금성교( )
http://map.daum.net/?map_type=DEFAULT&map_hybrid=false&q=%EA%B3%B5%EC%A3%BC%20%EB%B3%B4%EB%9D%BC%EB%AF%B8%EC%95%84%ED%8C%8C%ED%8A%B8
공주농협과 보라미아파트(교동)를 연결하는 다리 이다.
공주농협이 있는 쪽은 산성시장쪽이고 보라미아파트가 있는 쪽은 한국청과 건물이 있는 곳이다.
교각은 하천 가운데 하나만이 있다.

한국청과 쪽에서 공주농협쪽을 바라다 본 모습이다.
교량이 오래되었는지 중앙선 경계가 없으며 교량표지석도 시멘트로 단순화 되어 있다.
철제 난간이 낮게 만들어져 있어 자전거를 타고 지나거나 술취한 사람들에게는 위험할 것 같다.
다음에 이 다리도 보수를 한다면 대통교를 모델로 해서 좀 더 고민해야 할 것이다.
공주는 불교, 천주교, 동학, 교육, 행정 등등 도시를 상징할 수 있는 것들로 교량을 디자인해도 좋을 듯 하다.ㅎㅎ

다리가 만들어진지 30여년이 되었고 통과하중도 적혀 있지 않은 것을 보니 보수가 필요할 듯하다.

공주농협 앞에서 보라미아파트와 맞은편에 있는 한국청과 쪽을 바라다 본 모습이다.

5. 다섯번째 다리 : 산성교( )
http://map.daum.net/?map_type=DEFAULT&map_hybrid=false&q=%EA%B3%B5%EC%A3%BC%20%EC%82%B0%EC%84%B1%EA%B5%90
공주산성시장 공영주차장과 백제불교전시관(교동)을 연결하는 다리인데 교각이 없다.

제일정형외과의원쪽에서 백제불교전시관쪽을 바라다본 모습이다.
교량폭이 상당하며 많은 차량이 이용하는 주 교량이다.

교량 연장대비 교폭이 상당히 넓은데, 차량하중은 기재되어 있지가 않다.
아래를 받치는 교각이 없는데 너무 무거운 차량들이 이동하면 안될것이다.
다행히 큰 화물차량들은 이용하지 않고 있었다.

백제불교전시관쪽에서 산성시장 공영주차장과 제일정형외과의원 쪽을 바라다 본 모습이다.
다리에 쓰레기를 방치해 놓아서 눈쌀을 찌푸리게 한다. 앞으로 좋아질 것이라 믿는다.

교량표지석에 왕관디자인을 해서 보기에 괜챦았고 난간에는 현무도 디자인을 해서 좋았다.
교량이든 어디든 공주를 보여주는 디자인들이 많이 생겨나길 바란다.
그리고 시민의식이 요구되어진다. 깨끗하고 아름다운 거리를 만들어야 찾는 사람이 많아질 것이다.

산성교 난간에 금동관식 난간을 해서 보기에 좋았다.
그런데 왜 산성교인가. 산성시장과 연결되는 다리이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그럼 금동관식 난간 디자인이 어울리지 않는다.
차라리 공주농산물인 '밤'을 디자인 하든지?

6. 여섯번째 다리 : 산성2교
산성시장입구와 교동을 연결하는 다리로 산성교와 교촌교 사이에 놓인 다리이다.
도로를 연결하는 다리가 아니라 주택단지와 산성시장입구를 연결하는 인도형 다리로 만든것 같다.
교량위는 주차장처럼 양쪽으로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데
제민천 주변에는 주차할 공간이 곳곳에 많은데도 이렇게 교량에 주차하는 차량이 많아서 보기에 안좋았다.
향후 제민천을 더 아름답게 디자인 한다면 교량과 하천변 도로 주차는 없애야 할 듯 하다.

산성시장 입구쪽에서 교동쪽을 바라다 본 모습인데 멀리 대우아파트 단지가 보인다.
이 다리는 산성교와 교촌교 사이에 있는 다리로 직선도로를 연결하는 다리는 아니다.
따라서 차량통행이 그리 많지 않아서 인지 가운데 경계선도 그려져 있지 않다.

일번지 청과 상가쪽에서 산성시장 입구쪽을 바라다 본 모습이다.
오른쪽으로는 산성문화공원이 자리하고 있어 이곳에서 다양한 공연이나 축제가 펼쳐진다.

표지석은 모양이 단순하며 연꽃무늬가 조각되어 있다.

산성2교를 교촌교쪽에서 바라다 본 모습이다.
다리의 조형이 너무 단순하여 아쉽다.

7. 일곱번째 다리 : 교촌교 or 교동교( )
https://place.map.daum.net/8209854
무령로에 있는 공주세무서와 중동사거리를 잇는 교촌교 다리의 모습이다.

공주산성시장 문화공원쪽에서 공주세무서, 공주의료원쪽으로 가는 길을 바라다 본 모습이다.
도로폭이 넓고 사람이 다닐 수 있는 공간을 넓게하여 좋았다.
특히 차량통행이 많아서인지 교량위에 차량을 주차할 수 없도록 한것이 좋았다.

총연장이 19M인것에 비해 교폭이 16M나 된다.
1975년도에 세워진 다리 옆에 2002년에 추가로 건설하였다.

제민천 상류쪽을 바라다 보면서 난간에 붙어있는 조형물을 찍은 것이다.
손가락 두 개를 접고 세 개를 편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해진다.
이런 것이 스토리텔링이 되고 이런 디자인들이 곳곳에 있으면 좋겠다.

세무서쪽에서 공주산성시장 문화공원쪽을 바라다 본 모습이다.
이 길이 공주의 중심거리로 동서로 차량이 가장 많이 다니는 거리인 듯 하다.

2002년에 교량을 보수 확대하면서 교각을 추가로 세웠다.
어느것이 2002년에 세워진 것인지는 확인을 하지 못했다.(다음에 확인 한 후 업데이트 할게요)

8. 여덟번째 다리 : 봉산교( )
http://map.daum.net/?from=total&nil_suggest=btn&tab=place&q=%EA%B3%B5%EC%A3%BC+%EB%B4%89%EC%82%B0%EA%B5%90
옛 공주극장 다리라고 하는데, 지금은 금성삼계탕과 춘천닭갈비 식당을 연결하는 다리이다.
교각이 시멘트로 조성시 다리, 높은 난간과 함께 일체형으로 만들어진 듯 하다.
제민천에 있는 다리 중에서도 특이성을 갖는다.

이 다리의 이름이 봉산교여서 양쪽에 닭요리 식당이 있는지 궁금하다 ㅎㅎㅎ
왼쪽 뒤쪽으로 보이는 산은 그 아래에 충청감영(현 공주사대부고)이 있었던 봉황산이다.
사실 오른쪽으로 보이는 한옥 건물자리는 얼마전까지만 해도 김가네 순대국밥 집이었다.

설계하중과 교폭은 실제 그 만큼 될까 라는 의문을 갖게 한다.
시멘트 교량을 동절기에 건축했다고 하는데, 다행히 이 다리는 차량통행이 많지 않아서 좋았다.

표지석에는 연꽃무늬가 조각되어 있으나 단순하게 만들어져 있다.
난간은 아래쪽은 시멘트로 되어 있고 위쪽은 철제로 되어 있는데 일반적인 교량의 모습이다.

반죽교쪽에서 봉산교를 바라다 본 모습이다.
가운데 부분이 약간 올라가 있는 형태로 건축되었다.

9. 아홉번째 다리 : 반죽교( )
http://map.daum.net/?map_type=DEFAULT&map_hybrid=false&q=%EA%B3%B5%EC%A3%BC%20%EB%B0%98%EC%A3%BD%EA%B5%90
공주우체국, 공주성결교회와 별모아카페, 범진슈퍼를 연결하는 다리이다.

범진슈퍼 옆쪽으로는 삼미식당이 있고 그쪽부터 산성시장까지 이어지는 골목은 먹거리골목이다.
교량이 양쪽이 넓고 가운데쪽이 좁은 형태를 하고 있어 교량 양쪽에는 화분을 놓았다.
교량 가운데 중앙선이 없다보니 차량을 주차해 놓아 통행에 좋지 않았다.^

양쪽 끝의 교폭은 10미터 이상이 될 듯 하다.

교각이 없고 가운데가 약간 높게 되어 있고 양쪽이 타원으로 벌어져 있다.
제민천에 있는 다리 중에서 특이한 형태를 하고 있다.
하지만 난간은 단순하여 향후 좀 더 디자인을 했음면 좋겠다.
오른쪽의 하얀건물은 이안게스트하우스 2호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