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주여행] 공주박물관에서 만나는 무령왕릉의 유물들
그 지역의 역사를 알려면 그 지역의 박물관을 찾아가는 것이 좋다.
박물관에는 모든 자료가 잘 구비되어 있고 설명 또한 잘 되어 있으니 금상첨화다.
공주국립박물관은 지역의 웅진 백제문화를 보존하고자 하는 주민들의 뜻이 모아져 '공주고적보존회'를 모태로 출발한다.
1940년 공주시 중동에 '공주박물관'을 개관하였고, 1945년 국립박물관이 되어 2004년 웅진동으로 신축 이전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1972년 공주시 송산리고분군에서 발굴 조사된 무령왕릉과 대전.충남지역에서 출토된 국보 19점, 보물 4점을 포함한 30,000여 점의 문화재를 수집.보관하고 있으며 학술적 가치고 높은 중요유물은 상성전시와 특별전시를 통해 관람객이 감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국립공주박물관
백제 무령왕
무령왕은 백제 25대 왕이며 성은 부여, 이름은 사마(斯麻) 혹은 융(隆), 시호(諡號)는 무령(武寧)이다. 동성왕에 이어 501년 40세의 나이로 즉위하여 523년 62세까지 22년간 재위하였다. 재위기간 동안 22담로제를 실시하고 민생안정과 백제의 국력을 신장하여 국제적 지위를 강화하는 등, 대.외적으로 큰 업적을 이룩아였으며, 그의 아들 성왕이 백제중흥을 열게 하는 기틀을 다졌다.
무령왕릉 발굴과정을 담은 사진들
무령왕릉 지석(武寧王陵 誌石) 국보 제 163호
지석은 무덤에 묻힌 사람의 이름과 생애를 기록하여 넣은 돌판을 말한다. 이 지석은 백제 25대 왕인 무령왕과 왕비의 지석으로 2매이다. 지석은 왕의 묘지, 간지도(干支圖), 매지권(買地券), 왕비의 묘지로 구성되어 있다. 왕의 지석은 전면에 5~6cm의 선을 만들고 6행에 걸쳐 기록하였으며, 후면에는 간지도를 새겼다. 왕비의 지석은 전면에 2.5cm~2.8cm폭으로 선을 긋고 4행에 걸쳐 기록하엿으며, 후면에는 매지권을 새겼다.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백제 때 만들어진 석수이다.
석수(石獸)란 돌로 만든 동물의 상(像)으로 좁게는 궁전이나 무덤 앞에 세워두거나 무덤 안에 놓아두는 돌로 된 동물상을 말한다.
무령왕릉 석수는 높이 30.8㎝, 길이 49㎝, 너비 22㎝로 통로 중앙에서 밖을 향하여 놓여 있었다. 입은 뭉뚝하며 입술에 붉게 칠한 흔적이 있고, 콧구멍 없는 큰 코에 눈과 귀가 있다. 머리 위에는 나뭇가지 형태의 철제 뿔이 붙어있다. 몸통 좌우, 앞·뒤 다리에는 불꽃무늬가 조각되어 있는데 이는 날개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꼬리가 조각되어 있으며 배설 구멍이 달려 있을 정도로 사실적이다.
무덤 수호의 관념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처음 발견된 것이다.
무령왕릉 출토 유물
국보 154호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백제 때 금으로 만든 왕관(王冠) 꾸미개(장식) 한쌍이다.
높이는 각각 30.7㎝, 29.2㎝이고, 너비는 각각 14㎝, 13.6㎝이다. 1971년 무령왕릉이 발견·조사되었을 때, 왕의 널(관) 안쪽 머리 부근에서 포개진 상태로 발견되었다.
금판을 뚫어서 덩굴 무늬를 장식했으며, 밑으로는 줄기가 있는데 아래위로 2, 3개의 작은 구멍이 있어 무엇인가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해 놓았다. 좌우로 벌어진 줄기 중간에는 꽃 무늬를 배치하였으며, 줄기가 길게 연장되면서 마치 불꽃이 타오르는 듯한 모양새를 보여준다. 두 가닥은 아래로 향하게 하여 변화를 주고있다. 앞면에는 전체에 걸쳐 구슬모양 꾸미개를 금실로 꼬아서 달았다.
무령왕릉은 백제 25대 무령왕(재위 501∼522)과 왕비의 무덤으로, 벽돌을 이용해서 만든 벽돌무덤(전축분)이다. 출토된 유물들은 백제 문화의 수준과 풍속의 일면을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으며, 그 중 지석(誌石)은 삼국시대 고분 가운데 최초로 무덤에 묻힌 주인과 만든 시기를 확실히 밝혀주는 자료가 되고있다.
국보 156호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백제시대의 금 귀고리 한 쌍으로 길이는 8.3㎝이다. 왕의 널(관)안 머리 부근에서 발견되었으며, 호화로운 장식이 달려있다.
국보159호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백제 때 금으로 만든 뒤꽂이 일종의 머리 장신구이다. 무령왕릉 나무널(목관) 안 왕의 머리에서 발견되었으며, 길이는 18.4㎝, 상단의 폭은 6.8㎝이다.국보164호 무령왕비 베개
국보165호 무령왕 발받침
무령왕릉 목관 안에서 발견된 장의용 나무 발 받침으로 왕의 발 받침대이다.
윗부분이 넓고 아랫부분이 좁은 사다리꼴 통나무의 중앙을 W자로 깊게 파서 양 발을 올려놓게 만들었다. 전면에 검은색 옻칠을 하고 폭 0.7㎝정도의 금판을 오려 거북등 무늬를 만들었으나 일부는 떨어져 없어졌다. 6잎의 금꽃을 거북등 무늬 모서리와 중앙에 장식하고, 꽃판 가운데에 옛날 부인의 머리장식의 하나인 보요(步搖)를 매달아 화려함을 더해주고 있다.
국보 160호
공주시 무령왕릉 왕비의 나무널(목관)내 왼쪽 팔 부근에서 발견된 한 쌍의 은제 팔찌로, 바깥지름 8㎝, 고리지름 1.1㎝이다.
팔목이 닿는 안쪽에는 톱니 모양을 촘촘히 새겼고, 둥근 바깥면에는 발이 셋 달린 2마리의 용을 새겼다. 용의 조각은 세밀하지는 않으나 힘이 있어, 묵직한 팔찌와 잘 어울리고 있다.
한 개의 팔찌 안쪽에 새긴 글로 보아 왕비가 죽기 6년 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며, 만든 사람의 이름과 무게가 쓰여있다.
전체적인 윤곽이 깔끔하고 중후하며, 만든시기와 작가, 작품과 직접 관계된 글이 있는 예로, 고대 미술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탄목 목걸이(왕)
금동신발
보물 148호 공주 중동 석조
국립공주박물관 정원에 있는 백제시대 석조로, 사찰에서 연꽃을 담아 장식했던 것이다.
원래는 공주시 반죽동의 대통사 터에 공주 반죽동 석조(보물 제149호)와 함께 있었으나, 일제시대에 일본군이 말구유로 쓰기 위해 옮겨가 제자리를 떠나게 되었다. 1940년 이 곳으로 옮겨올 당시 중동초등학교에서 보관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때부터 ‘중동석조’라 부르게 되었다.
규모에 있어서 반죽동 석조보다 약간 작을 뿐 양식이나 조각 수법이 동일하여, 어느 한 건물 앞에 한 쌍으로 두기 위하여 동시에 만들어졌던 것으로 믿어진다.
석조를 받치고 있는 받침 기둥은 일본군에 의해 깨어져 없어지고, 이후 반죽동 석조의 것을 모방하여 만들었는데, 원기둥에 연꽃을 둘러 새긴 모습이다. 석조는 굽이 높은 사발 모양으로 입구 가장자리에 굵은 돌기를 돌렸다. 바깥 면에는 2줄의 작은 띠를 돌려 새기고, 띠 위에 일정하게 연꽃을 장식하였는데 반죽동 석조에 비하여 많이 닳지 않아 문양이 훨씬 뚜렷하다.
대통사는 『삼국사기』에 의하면 백제 성왕 7년(529)에 창건된 사찰이므로, 이 석조는 그 제작년대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백제 유물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석조의 형태나 연꽃무늬는 백제의 불교미술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되므로 그 가치는 반죽동석조와 아울러 높이 평가되고 있다.
보물 149호 공주 반죽동 석조
|
첫댓글 아주 귀중한 백제의 보물들입니다
잘 보존하여 후손에게 물려주어야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