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山房夜話
달마스님의 바로 가리키는 선(直指之禪)은 마음을 이용하여 들어갈 수 있는 것도 아니며 생각으로 들어갈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이 자리는 발을 들려 놓을 틈도 없고 손에 닿지도 않는 곳입니다.
단박에 깨쳐야 할 이 자리는 직접 자신의 본성을 향하여 미끄러지듯 한 걸음에 성큼 밑바닥까지 쑥 들어가야 합니다.
-본문 中에서-
선림고경(禪林古鏡)에 씀
설봉스님이 하루는 원숭이들을 보고 말하기를
원숭이가 각각 한 개의 옛 거울(古鏡)을 짊어지고 있구나!
하니 삼성스님이
숱한 세월 동안 이름이 없거늘 어찌하여 옛 거울(古鏡)이라고 합니까?
하고 물었다.
설봉스님이 흠이 생겼구나!
하자 삼성스님이 말하기를
천 오 백 명을 거느리는 대선지식이 말귀도 못 알아들으십니까?
하니 설봉스님이 말하였다.
노승이 주지하기가 번거로와서"
알겠는가.
비가 연잎을 적시니
향기가 집에 떠돌고
바람은 갈대 잎을 흔드는데
눈은 배에 가득하네.
雪峰一日見선후乃云, 者선후各各背一面古鏡.
三聖便問, 歷劫無名何以彰爲古鏡.
峰云,瑕生也.
聖云, 一千五百人善知識話頭也不識.
峰云, 老僧住持事煩.
會마
雨蒸荷葉香浮屋
風攪蘆花雪滿船
佛紀 2532 年 端午節
伽倻山에서
退翁 性徹 씀
선림고경총서(禪林古鏡叢書) 간행사
귀의삼보(歸依三寶)하옵니다.
부처님의 자비로운 가르침이 이 땅에 전해져 겨레의 문화 창달에 이바지 하고 나라의 동량을 배출하여 온 지도 천육백여 년이 지났습니다.
그러나 세월이 오래 지나고 연륜이 멀어짐에 따라 부처님의 마음을 전하는 선종의 정법은 감추어지고, 고불고조(古佛古祖)들의 바른 뜻은 매몰되어 잘못된 주장만 드러나게 되었습니다.
성철 큰스님께서는 이런 선문(禪門)의 병폐를 일찍부터 지적하시고, 그 시정을 위해 몇 해 전에는 「선문정로(禪門正路)」라는 저서를 출간하기도 하셨습니다. 그리고 선(禪)을 올바로 이해하고 실천하고자 하는 현대인들에게 무엇이 가장 요긴한 일인가를 심려해 오시던 차에, 우리들 주변에는 선을 이해하고 실천하는데 필요한 선서(禪書)들이 너무나 빈곤하다는 사실을 통감하시게 되었습니다. 이는 고불고조들의 말씀이 한문(漢文)으로 되어 있어서 언어생활이 다른 요즘사람들이 쉽게 읽을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큰스님께서는 대장경에 수록되어 있는 옛 조사스님들의 말씀 가운데 참선(參禪)을 위해 가장 요긴하다고 생각되는 삼십여 종의 저서들을 가려내어 번역토록 하시고, 그 전집(全集)의 이름을「선림고경총서(禪林古鏡叢書)」라고 지어 주셨습니다.
한문으로 된 말씀들을 한글로 변역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어서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합니다. 때로는 큰스님의 구술(口述)을 옮기고, 때로는 선(禪)의 이치를 여쭈면서 글 밝은이들에게 번역을 부탁하였습니다. 따라서 선림고경총서 간행불사(刊行佛事)가 겨레 공동의 문화 재산이 되고 후손들에게 부처님의 크고 밝은 가르침을 전하는 이 시대의 훌륭한 유산이 되도록 최선올 다할 것입니다.
우리나라 선종사에서 처음 시도하는 번역인 만큼 큰스님께서 연로하시어 일일이 감수하실 수 없어 번역에 허물이 많으리라 믿습니다. 이 점 널리 이해하시고 잘못된 번역이 있으면 독자들께서 동참하시어 더 완벽한 글이 되도록 이끌어 주신다면 더없는 다행이겠습니다.
이러한 선림고경총서의 원만한 간행이 조계(曹溪)의 개울을 건너는 징검다리가 되어, 선림(禪林)에 백화(百花)가 난만하고 모든 이들은 자성을 깨쳐 성불(成佛)하길 발원합니다.
佛紀 2532年 端午節
해인사 백련암(海印寺 白蓮庵)
백련선서간행회(白蓮禪書刊行會)
圓潭 和南
〔解題〕
천목 중봉(天目中峰: 1263∼1323)스님은 항주(杭州) 전당(錢塘)사람으로 15세에 5계를 받고, 그로부터 [법화경], [원각경], [금깅앵], [전등록] 등을두투 열람했다. 후에 천목산(天目山) 사자원(獅子院)에서 고봉원묘(高峰原妙:1238∼1295)스님을 참레(參禮)하고 그이듬해에 구족계(具足戒)를 받으시니 달마스님의 29세요, 임제스님의 15세 법손(法孫)이시다. 이로부터 천목산(天目山), 환산(환山), 금릉(金陵),변산(弁山), 경산(徑山), 육안산(六安山), 중가산(中佳山), 단양(丹陽), 평강(平江), 오강(吳), 진강(鎭江) 등에 머물면서 수행에 전념 하였다. 스님의 도덕과 법력이 차츰알려져 마침내 인종(仁宗) 임금까지도 감화되어 '불자국조광혜선사(佛慈國照廣慧禪師)'라사(賜)하고 금란가사를 보내오기도 했다.
많은 납자들을 제접하다가 영종 3년(英宗:1323)에 시적(示寂)하시니 세수 61이요, 법랍 37하(夏)이시다. 그 후 북정 자적(北庭慈寂)스님에 의해 유저(遺著)로 [천목중봉화상광록(天目中峯和尙廣錄)] 30권이 펀집되었고, 원통 2년(元統: 1334)에 입장(入藏)되었다.
이 [광록]의 내용은 시중(示衆), 소참(小參), 염고(拈古); 송고(頌古), 법어(法語), 서문(書問), 불조찬(佛祖贊), 자찬(自贊), 제발(題跋), 산방야화(山房夜話), 신심명벽의해(信心銘闢義解),능엄징심변견혹문(楞嚴徵心辯見或問), 별전각심(別傳覺心), 금강반야약의(金剛般若略義), 환주가훈(幻住家訓), 의한산시(擬寒山詩), 동어서화(東語西話), 부(賦), 기(記), 설(說), 문(文), 소(疏), 잡저[雜著), 게송(偈頌)등이 실렸다.
이 [광록]은 당토(唐土)에서도 몇번 간행되었었고, 우리나라에서는 1977년 불국사선원에서 최초로 빈가장경 (頻伽藏經)을 영인하여 보급한 바가 있다.
[광록]을 보아서 알 수 있듯이, 중봉스님은 [원각경], [능엄경] 등을 비롯한 경론은 물론 [전등록]을 비롯한 선서에도 해박했고, 유.도(儒.道)를 비롯한 제자서(諸子書), 나아가 시(時)와 부(賦)에도 뛰어나셨다. 그런데 이 모두가 일대사인연(一大事因緣)으로 회통되며, 돈오무심(頓悟無心)을 종(宗)으로 삼아 견성성불(見性成佛)을 드날리니 달마스님의 바로 가리키는 선(直指之禪)과 부합된다. 가히 강남(江南)의 고불(古佛)이라 칭송되었을 만하다.
여기에 번역된「산방야화」는 「광록」제 11권에 해당한다. 저본으료는 빈가장경(頻伽藏經)을 사용했고, 광서 신사(光緖辛巳: 1881)년에 고소각경처(姑蘇刻經處)에서 간행된 판본을 참고로 하였다.
[산방야화]는 거의가 대화체로 이루어졌으며, 참선하는 납자들이 실제수행에서 생기는 문제들을 돈오돈수(頓悟頓修)의 입장에서 설명하였다. 뿐만 아니라 깨달음의 문제에서부터 사찰의 살림살이에 이르기까지 불자(佛子)들이라면 의심해 볼 만한 것들을 밀도 있고 설득력 있게 풀어 놓았다. 특히 생
사의 문제는 다른 사람체 의해 해결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본인이 몸소 깨달아야 한다는 점을 간절하게 일러주고 있다.
끝으로 스님의 임종게를 소개하여 해제를 마친다.
我有一句 分付大衆
更問如何 無本可據
일러두기
1. 문단 나누기는 빈가장경(頻伽藏經)의 과단(科段)을 그대로 따랐고, 그 문단에 대한 제목은 독자의 편의를 돕기 위해 '백련선서간행회'에서 임의로 붙였다.
2. 한글 표기를 주로 했으나 전문용어는 한문을 괄호 속에 쓰기로 했다.
3. 인명의 생존연대는 「선학대사전」을 참고로 했다
4. 주(註)는 모두 번역과정에서 붙인 것이며, 그 항목 및 설명을 최소한으로 하려하였다.
5. 사라져가는 자료의 보존 및 필요한 독자들을 위해, 광서신사(光緖辛巳:1881)년 고소각경처(姑蘇刻經處)에서 출판된 판본을 부록으로 실었다.
山房夜話
山房夜話 上
태식법(胎息法)과 달마스님의 선(禪)은 동일합니까?
내가 깊은 산속에 살고 있을 때에 흘연히 어떤 객승이 문 앞을 지나다가, 내 방에 들어와 서로 토론을 하게 되었다. 이날따라 산월(山月)이 휘영청 밝고, 창문이 대낮처럼 훤했다.
이 때에 객승이 내게 물었다.
"이런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읍니다. 의학(義學)들이 6바라밀의 하나인 선정(禪定)의 '선(禪)'과 달마스님께서 단독으로 후세에 전한 바로 가리키는 선〔直指之禪〕을 동일한 것이라 합니다. 즉 달마스님께서는 일찌기 태식론(胎息論)이라고 하는 수행방법을 제자들에게 전수했다고 합니다. 그리하여 '제8식이 포태(胞胎)에 머물 때에는 오직 한 호흡에만 의지해야 하기 때문에 이것을 태식(胎息)이라고 한다'는 학설을 자세하게 인용하여, 불교에서 말하는선정(禪定)도 한 호흡에 의지하여 안주하니, 이런 점에서 태식벅(胎息法)과 서로비슷하다고 합니다.
그런데 요즈음 참선한다는 사람들이 드디어는 그 학설을 아주복잡하게 하여, 달마스님의 선(禪)과는 다르게 2승의 선정〔二乘禪定〕으로 만들어 버렸다고 하던데요. 스님 생각은 어떠신지요?"
나는 대답했다.
"이것은 비방하는 말입니다. 달미스님이 전한 선〔直指之禪〕을 모르는 것입니다. 4선8정〔四禪八定〕밖에는 달리 어떤 선(禪)도 있을수 없다고 주장한다면, 달마스님이 멀리 인도땅으로부터 27조(二十祖)를 계승하여 '부처님의 가장 핵심되는 가르침이 바로 선(禪)이다'고 한 말을 모르고 하는 소리입니다. 달마스님이 전하신 선(禪)을 지칭하는 이름은 매우 많습니다. 어떤 때에는 최상승선〔最上乘禪〕이라고도 하고 혹은 제일의선(第一義禪)이라고도 합니다. 이것은 2승외도(二乘外道)의 4선8정(四禪八定)과는 실로 하늘과 땅의 차이입니다.
우리는 이것을 반드시 알아야합니다 달마스님의 선(禪)은 여러 경전에서 주장하는 것에도 의지하지 않으며, 점수(漸修)하여 깨달은 내용에 의지하지도 않으며, 경험으로 이해한 것에도 의지하지 않으며, 그 밖의 어떠한 방편으로도 달마의 선(禪)에 가까이 갈 수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교외별전(敎
外別傳)이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오직 근기가 뛰어난 중생만이 깨달음의 싹〔佛種〕읽을 문득 틔워서, 단계를 거치지 않고 하나를 듣고 천 가지를 깨달아 근본자리〔總持〕를 체득합니다.
이런 다음부터는 깊은 산속에서 홀로 잠자기도하고, 때로는 세상일에 뛰어들어 종횡무진하게 인생살이〔常情〕를 말하기도 합니다. 말과 행동〔語默卷舒〕에 고정된 형식을 두지 않는데, 어찌 이른바 선정(禪定)이니 태식법 (胎息法)이니 하는등 등의 고정된 형식을 주장했겠읍니까! 대체로 달마스님은 상징에 불과한 문자(文字)를 매개로 하지 않고 사람의 본심을 바로 가리켰던 것입니다. 이 때로부터 여섯 대를 거쳐 6조혜능(六祖慧能)스님께 전해졌읍니다. 혜능스님께서는 말씀하시기를 '바로 사람의 본성을 가리켰다〔直指人心〕고 말하더라도 이것은 잘못이다'라고 했읍니다. 그러니 따로 상징에 불과한 언어나 문자 로써 전해줄 그 무엇이 있겠옵니까 !
요즈음 항간에는 태식론(胎息論)이 유행한다고 하는데, 이는 어느 망령된 무리들이 달마스님을 모함하려고 그런 것입니다. 참으로 애석한 현상입니다. 더구나 태식론(胎息論)이 퍼진 뒤로부터 달마스님의 본 뜻을 속이려는 무리들은 그 학설을 좇아서 서로를 그릇되게 만들었읍니다. 알고 보면 이것
은 달마 스님을 속인 것이라키보다는, 오히려 자신의 마음을 속인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팽생 동안 설법하신 내용은, 실로 중생들이 생사의 괴로움 속에서 스스로 속아 허망하게 자신을 속박하여 끝내는 그것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꼴을 불쌍히 여기신 것입니다. 그래서 마음의 법〔心法〕을 보여, 스스로 속아 넘어가는 것을 막으려 하신 것입니다. 그런데 지금에 와서 도리어
그 마음의 법〔心法〕때문에 스스로를 속인다면, 어떤 말을 듣더라도 속아넘어 가고 말 것입니다."
교외별전(敎外別傳)의 참뜻은 무엇입니까?
객승이 또 질문하였다.
"선(禪)을 교외별전(敎外別傳)이라 부르는데, 정말 따로 전할 만한 이치가 있는지요? 의학(義學)들이 이 점에 대해서 이론을 복잡하게 하여 결론을 얻지 못하는 것을 자주 보았습니다. 이유를 설명해 주십시오."
나는 대답했다 .
"의학(義學)들이 개념과 구조를 분석하는 데에만 노력을 하지, 그렇게 분석을 하는 이유를 모르고 있읍니다. 그러나 그렇게 분석하는 이유를 철저하게 알기만 하면 '달리 무엇을 전한다〔別傳〕'라는 얘기는 우스운 소리입니다. 왜냐하면 네 종파가 모두 한 부처님의 깨달음을 함께 전했으므로 어느 한 종파도 빠뜨려서는 안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부처님께서는 같은 내용을 말씀 하셨읍니다. 「법화경(法華經)」에서 말씀하시기를'오직 1불승(一佛乘)일 뿐 2승(二乘)도 3승(三乘)도 없다'라고 하셨는데, 네 종파의 구별이 있을 수 있겠읍니까 ! 굳이 네 종파로 나눈 이유는각각의 전문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해서 임의로 그렇게 한 것 입니다. 따로. 1불승(一乘佛)을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마치 4계절이 모여서 1년(一年)이 되므로, 개념적으로는 분명하게 춘. 하. 추. 동으로 구별할 수 있읍니다. 그러면서도 구별 지을 수 없는 것은 만물을 기르는 공덕의 근원인 것과 같습니다. 밀종(密宗)은 봄에 해당하고, 천태 (天台).현수(賢首). 자은(慈恩) 등의 교종(敎宗)은 여름에 해당하고, 남산 율종(律宗)은 가을에 해당하고 달마스님외 선(禪)은 겨울에 해당합니다. 이치상으로 따져보면 선종(禪宗)이 다른 교종(敎宗)의 별전(別傳)인 줄만 알고 그 반대로 교종이 선종의 별전인 줄은 세상 사람들이 모르고 있읍니다.
요약해서 말해 보겠읍니다. 밀종은 부처님께서 큰 자비로써 중생을 제도하시는 마음을 선양했으며, 교종은 부처님께서 큰 지혜로써 중생들의 불성을 개시오입(開示悟入)하는 데에 공을 세웠으며, 율종은 부처님께서 단아하고 엄숙한 몸기짐으로써 훌륭한 실천의 표본을 선양한 것입니다. 끝으로 선종
은 부처님께서 깨우치신 뚜렷한 마음을 전하신 것입니다. 이것은 마치 4계절을 혼동해서는 안되는 것과 흡사합니다. 혼동해서는 안 된다면 따로 전한 것〔別傳〕이 아니고 무엇이겠읍니까!
객승은 또 이렇게 질문을 했다.
"선종을 제외한 세 종파에서는 별전〔別傳〕을 말하지 않는데, 오직 선종에서만 유난히 별전을 말합니다.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
그래서 나는. 이렇게 대답했다.
"그럴 수밖에 없읍니다. 모든 종파에서는 다 깨달음에 들어가는 출입문이 있으며, 배움을 통해서 깨닫습니다. 그러나 선종만은 안으로는 사량분별을 용납하지 않고, 밖으로도 배움과 점진적인 수행을 필요로 히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랜 옛날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조금도 부족하거나
모자람이 없이 탕탕합니다. 마음속으로 비교하고 요리조리 따지면 벌써 잘못된 길에 빠지는 것입니다. 이렇게 해서 설사 몸 전체로 깨닫는다 해도 도리어 어리석은 짓일 뿐입니다. 이것이야말로 별전 속에서 또 다른 별전을 찾는 격입니다. 이것은 그림을 보고 좋은 말〔馬〕을 찾으려는 것과 같으니, 어찌 선의 근본을 알겠 읍니까! 그러니 선(禪)에 교외별전〔敎外別傳〕이 있다는 소리를 듣고, 그들이 놀라더라도 전혀 이상촬 것이 없읍니다."
영가(永嘉)스님의 선과 달마스님의 선은 동일합니까?
객승이 또 질문하였다.
"영가(永嘉: 665∼713)스님은 '마음을 성성적적(惺惺寂寂)하게 하는 참선을 하도록 해야지, 잡다한 생각에 흔미하게 머무는것은 참선하는 이돌의 큰병이다'라고 말씀했습니다. 영가스님의 이 말씀은 달마스님이 전한 선(禪)과는 어떤 관계기 있는지요?"
나는 이렇게 대답했다.
"「영가집 (永嘉集)」에서 10편(十篇)의 대지 (大指)로써 점수(漸修)하여 깨닫는다는 말들은, 거의가 지관법문(止觀法門)의 방법을 받아들인 것입니다. 처음은 사념(思念)을 쉬어 6진(六塵)을 쉬는 것이며, 다음은 대상〔境〕과 인식작용〔智〕을 모두 고요하게 하는 것입니다. 따로 모아놓은 관심
십문(觀心十門)은 아주 현묘(玄妙)하여 무생법인(無生法忍)을 깊이 통달할수 있도록 했읍니다.
그러나 달마스님은 사람들에게 오직 자신의 마음을 분명하게 취하게 했을 뿐입니다. 마음이 밝아지기만 하면, 마치 주인이 자기 집에 돌아와 마음대로 활동하듯이, 복잡히게 여러 이론을 끌어들이지 않습니다. 언어와 문자를 장황하게 늘어놓지 않은 것은 모두 적절한 이유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달
마스님이 제자 신광(神光)스님을 가르칠 때에, '밖으로는 모든 반연을 끊고, 안으로는 마음의 헐떡임이 없어서 마음이 장벽과 같아야 올바른 방법을 찾은 것이니라'라고 했을 뿐, 그 밖에 다른 말을 하셨다는 얘기는 듣지 못했읍니다. 정말로 진실하게 마음속으로 깨달은 사람이라면, 점수(漸修})하여 수행의 단계를 거쳐야 한다는 소리는, 달마스님의 바로. 가리키는 선〔直指之禪〕과는 전혀 비교도 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읍니다.
이런 과오를 어찌 영가스님만이 범했겠습니까! 천태스님의 3관(三觀)과 현수스님의 화엄 4법계관(華嚴四法界觀)도 이 마음의 이치률 언어적인 이론으로써 자세하게 풀어놓았습니다. 비록 과거의 부처님이 다시 세상에 오시더라도, 이 두 스님들 보다 마음의 법을 이론적으로 자세히 밝혀놓지는
못할 것입니다. 그러나 달마스님과 다른 점은 대체로 언어적인 이론을 사용했느냐 안했느냐의 차이입니다. 즉「원각경(圓覺經)」에서 3관(三觀)으로써 서로 분류하여 25륜(二十五輪)」을 심은 경우와 같고, 「능엄경(楞嚴經)」에서 18계(十八界)와 7대성증(七大性證)으로써 25원통(二十五圓通)을 삼
은 경우와 같습니다. 이와 같은 것들이 어찌 이 두 경전에만 나왔겠읍니까! 다른 경전에도 무수히 많습니다. 그러나 경전에서 늘어놓은, 닦아서 증득하는 방런〔修證法門〕을 다 섭렵했다 하더라도, 달마스님의 바로 가리키는 선〔直指之禪〕과는 전혀 다릅니다. 왜냐하편 복잡 하게 언어적인 이론을 늘어놓으면, 교외별전(敎外別傳)이라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객승이 또 질문하였다.
"그렇다면 달마스님의 선과 모든 부처님의 가르침은 다른가요?"
나는 이렇게 대답하였다.
"우리가부처님과조시의 가르침에 대해서 같다는 생각도 할 수 없거늘, 어찌 다르다는 생각을 할 수 있겠읍니까! 당신은 부처님의 가르침 중에서 '총지(總持) 자체는 문자가 아니나, 문자로써 총지를 밝혀낸다'라는 말을 듣지 못했습니까? 이와 마찬가지로 총지 자체는 문자가 아니라는 입장이, 바로 달마스님의 바로 가리키는 선〔直指之禪〕입니다. 반면에 문자를 이용하여 총지를 밝힌다는 입장이 여러 교종의 이론들인 것입니다. 또한 달마스님의 가르침이 교종과 다른 이유는, 특이한 것을 좋아하고 주관적인 자기집착에 빠져서 그런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영산회상(靈山會上)에서 최후로 대가섭(大迦葉))에게만 유일하게 전해주신 심법(心法)을 달마스님이 그대로 계승하신것 입니다. 그러나 대가섭에게 유일하게 전해주신 가르침은 물론 대가섭만이 소유한것이 아니라, 모든 중생들이 함께 소유한 신령한 마음입니다.
그러므로 부처님께서 자비심을 내어 중생들을 제도하실 때에, 듣는 사람들의 근기에 알맞게 하신 것입니다. 이른바 대.소(大小), 편.원(偏圓),동.이(同異), 현.밀(顯密)의 방편을 쓰신 것입니다."
교종에서 주장하는 내용과 달마스님의 선은 다릅니까?
객승이 또 질문하였다.
"이런 말들이 있읍니다. '교종의 여러가지 언설(言說)과 달마스님의 바로 가리키는 선〔直指法門〕은 서로 같다'라고 합니다. 즉「화엄경(華嚴經)」에서 말한, '일체법이 그대로 마음 속에 있는 자성(自性)임을 알면 그것이 바로 깨달음이다. 그 밖에 다른 곳에서 깨달음을 구하지 말라'라고 한 것이 그 증거입니다. 또 「법회경(法華經)」에서 말한, '이 법은 사량분별로써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한 경우와,
「금강경(金剛經)」에서 말한, '모습이 있는 모든 것은 허망하다'와, '이 법은 평등하여 높고 낮은 것이 없다'라고 한 것도 그 증거입니다. 또한 「원각경(圓覺經)」에서 말한 이것이 헛꽃〔空華〕인 줄 알면 윤회의 굴레에서 벗어날 것이며, 또 몸과 마음도 생사의 윤회를 받지 않는다고한 경우와, 「능엄경(楞嚴經)」에서 말한'6근(六根)과 6진(六塵)이 같은 근원이므로 속박과 해탈이 둘이 아니다'라고 한경우도 모두 마찬가지입니다 그밖에도 여러 경전에서 이와 같은 이야기는 수없이 나옵니다. 그런데 왜 달마스님의 바로 가리키는 선〔直指法門〕이 있은 뒤에야, 비로소 교(敎)와 선(禪)의 뜻이
같은 줄을 알게 되었읍니까?"
내가 이렇게 대답했다.
"내가 이전에 말하지 않았습니까? 그것은 문자를 사용하여서 총지(總持)를 밝힌 것이라고 진실로 자기 마음 깊이 한번 이라도 깨달아보지 못하편, 부질없이 약(藥)만을 늘어놓을 뿐 병을 고치지는 못합니다. 그러나 만약 한 번이라도 본성에 계합하여 증오한 자라면 어찌 대승경론의 귀절들만이 달마스님의 바로 가리키는 선〔直指法門〕과 일치한다고 주장하겠습니까! 대승경론은 말할 것도 없고 하찮은 이론과 바람소리, 빗빙울소리에 이르기까지도 모두 달마스님이 전한, 바로 기리키는 선〔直指法門〕과 상통합니다. 그러나 만약 언어와 형상을 떠난 상태에서 자기의 본성을 보지 못하고, 다만 대승경론의 서로 그럴듯한 말만을 기억해 둔다면 절대로 깨달을 수 없읍니다. 옛사람들이 말씀한 '마음밖의 것에 의지하여 깨달으려 한다면 스스로가 깨닫는 길을 막는 꼴이 된다'라고 한 것과, 또 '금가루가 눈에 들어간 것처럼 그 자체로는 값 나가고 보배로울지 모르지만, 눈에는 이로울 것이 없다'와같은 비유가 꼭들어 맞습니다. 참선하는 납자들은 이점을 마음에 깊이 새겨서 스스로 미혹되지 말아야 합니다.
또, 어찌 경전을 통한 가르침만이 유독히 달마스님의 바로 가리키는 선〔直指之禪〕과 일치하지 않겠읍니까? 보통 선(禪)을 한다는 부류들 속에서도 그런 예는 많이 있습니다. 즉 2조(二祖) 혜가(慧可) 스님의 안심(安心)과 3조(三祖)승찬(僧璨) 스님의 참죄(懺罪)와 남악(南嶽)스님의 기왓장 갈기〔磨전〕와, 청원(靑原)스님의 수족(垂足)으로부터 비마〔秘魔〕스님의 나무집게〔擎叉〕와 설봉(雪峰)스님의 공 굴리기〔곤迷〕와 덕산(德山)스님의 매질〔棒〕과 임제스님의 할(喝)에 이르기까지, 1,700공안은 물론 모든 기연(機緣)을 불립문자교외별전(不立文字敎外別傳)의 입장에서 모두 비판했읍니다. 무엇에도 의지하지 않고 그대로 깨닫는데 어떤 것이 가로막을 수 있겠습니까! 그대가 만일 육신의 굴레를 탁 벗어나지 못하고, 알음알이〔情意識〕를 가지고 깨달으려 한다면 큰 잘못입니다. 그것은 마치 '기름이 국수그릇에 들어간 것과 같으며 온갖 독이 심장에 들어간 것 같다'는 비유
와, 또 '제호(醍호)의 최고 가는 맛은 세상의 제일이지만, 이런 사람에게는 도리어 독약이 된다'는 비유와, 같은 경우입니다.
이것은 분명히 알아야 합니다. 달마스님의 바로 가리키는선〔直指法門〕에는 마음을 이용하여 들어갈수 있는 것도 아니며, 생각으로 들어갈 수 있는 것도 아니며, 이 자리는 발들여 놓을 틈도 없고, 손에 닿지도 않는 곳입니다. 이 자리는 친히 자신의 본성을 향하여 미끄러지듯 한걸음에 성큼 밑바닥까지 쑥 들어가야 합니다. 그리하여 이 자리에 들어가기만 하면, 침 밸으며 팔 흔드는 등의 하찮은 일에 이르기까지, 모든 행위가 대상에 관계없이 저절로 마음속에서 흘러 나오게 됩니다. 이것은 마치 사자가 친구를 구하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이렇게 되면 앞에서 말한 1,700공안이, 마치 여우가 흘린 침에 잡다한 독이 들어 있는것처럼, 쓸데없는 소리인줄을 알게 됩니다. 어찌 털끝만큼이라도 바깔 경계에 휘둘리리요.
애석합니다! 때로 총명하다고 자처하는 무리들이 스스로 깨달으려고는 하지 않고, 밤낮으로 잡다한 독구덩이 속에 웅크리고 앉아서 힛된 짓을 하고 있읍니다. 말하자면 향상(向上)이니 향하(向下)이니, 전제 (全提)니 반제(半提)니, 최초(最初)니 말후(末後)니, 정안(正按)이니 방고(旁敲)니, 조용(照用), 주빈(主賓), 종탈(縱奪), 사활(死活) 등등으로 억지로 쓸데없는 힛된 이론만 늘어 놓습니다. 그리하여 이것을 자기 종파의 중요한 핵심이라고 받들어, 후인들을 현혹하기도 합니다.
그런가 하면 어떤 사람들은 선배들의 문장과 이론만을 비판 검토하여 평가하기도 합니다. 즉 어떤 선배의 말씀은 '전제(全提)와 향상(向上)이기 때문에 결가지는 모두 잘라버렸다'라고 평가하기도 하며, 어떤 선배의 말씀은 '신기하고 교묘하여 고금을 통하여 제일이다'라고 평가하기도 하며, 어떤 선배의 말씀은 '올바른 방법이기는 하나 죽은 선〔死禪〕이기 때문에 거칠다'라는 등등으로, 수만 가지로 비교하고 판단을 나름대로 내립니다. 그러나 크게 통달한 선배들이라면 심장이 천 갈래 만같래 찢어지더라도 가슴 속에 한 물건도 남겨 두지 않는다는 사실을 그들은 알지 못합니다. 임제(?∼867)스님은 외물(外物)을 대할때에 그저 손이 가는 대로 집어들었지, 애초부터 이리 저리 궁리하여 선택하지는 않았읍니다. 그대로 손을 놀리는 것이 우뢰와 번개 같았읍니다.
그러나 어찌 자취나 이유를 찾을 수가 있겠습니까? 만일 찾을 수 있었다면 금강왕보검 (金剛王寶劍)이 떠나버린 지가 오래 되었을 것입니다. 더구나 어찌 사량분별에 읽매여 선사들의 빼어난 기연〔峻機〕을 회롱하고 교묘한 말을 꾸며서 후배들을 부채질하여 유혹할 수 있겠읍니까! 더구나 그들로
하여금 자기의 주장을 떠받들도록 유혹할수 있겠읍니까 !
또 선배들이 장대방을 근기에 알맞게 지도할 때에, 그 내용을 추.세(추 細), 현.밀(顯密), 광.략(廣略)등으로 다르게합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드 진실한 마음에서 그런 것이지 애초부터 조작하려는 의도는 없었던 것입니다. 비유하면 마치 커다란 범종과 북이 사람이 두들기는 대로 소리의 크기가 달라지는 것과 같습니다. 그 소리의 대소와 맑거나 흐린 것은 범종이나 북의 성능에 따라 다릅니다. 그런데 범종이나 북의 성능이 좋지 못하다고 하여 거기에다 눈꼽만큼이라도 다른 소리를 첨가시키면 그 고유의 음색을 잃고마는 것과도 같습니다.
요즈음 선(禪)을 한다는 작자들은 그저 큰 책상머리에나 앉아서 이리저리 연구하여 되지도 않는 소리나 지껄이고 있읍니다. 그리하여 여러 스님들이 말한 요점을 모으고 간추려서 서로 비교하기도 하고, 혹은 여러 스님들의 잡다한이야기들을 모아서 이것으로써 얘깃거리를 삼기도 합니다. 이들이
야말로 선을 입으로만 하는 사람들입니다. 이렇게 해서는 다른사람의 속박을 풀어주기는커념, 끌내는 자신의 진면목을 잃고 나아가 자신의 도안(道眼)마저도 파괴하게 될 것입니다. 이와같이 잘못 수행하여 놓고도 자기들끼리 서로서로 추종하고 홍상하기도 합니다. 그리하여 마침내 눈 밝흔 종사들의 큰 기대를 저버립니다. 그런데 어찌 총림(叢林)을 세워서 법도를 융성시킬 수 있겠읍니까!
세존이 세상에 출현하시고 달마스님이 인도 땅에서 오신 목적을 살펴보니, 모두가 사람의 속박을 풀어 주려고 그런 것이었읍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대들은 애초부터 좋고 나쁜 것을 구별하지 못했읍니다. 그러고도 자기 나름대로 터득한 본래 청정한 경지를 바탕으로 더더욱 허망하게 수많은 이론들에 오염 되고 말았읍니다. 그리하여 끝내는 발을 디딜 곳 마저도 없게 되었읍니다. 부모를 다버리고 출가하여 스승에 의지하여 도를 배우면서도, 출가 이전의 번뇌를 씻어버리지 못했읍니다 게다가 쓸데없는 허다한 이론을 거기에다 첨가하여, 자신의 본심마저도 점점 잃어버리는 결과가 되었
읍니다. 참으로 가엾을 뿐입니다.
이 때문에 선배 스승들이 차마 그냥 보고만 있을 수 없어서 세상에 나왔읍니다. 그리하여 기연을 토하고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셨읍니다. 마치 취모검(吹毛劍)처럼 저네들의 병든 부분을 단칼에 베어버리고, 생사의 윤희를 벗어나게 했읍니다. 이것이야말로 진실한 자비심으로 우리들을 불쌍히 여겨서 그렇게 한것입니다. 어찌 자신들의 사사로운 명예를 위하여 문호를 준엄하게 높여서 후학들의 존경을 받으려고 한 일이겠읍니까!
대체로 크게 통달한 선배들도 모두가 처음에는 수행의 방법을 획실하게 알지 못했읍니다. 그렇기 때문에 산을 넘고 바다를 건너 이리저리 스승을 찾아 다니면서 의심을 풀으려고 노력했읍니다. 흘연히 어려운 화두(話頭)에 부딪쳐서 확실히 깨치지 못하편, 마치 따가운 밤송이를 삼킨 듯이 괴로워 기
도 했습니다. 그런가 하편 원수를 만난 것 처럼 용맹스럽게 정진하기도 했읍니다. 고민고민하느라 추위와 더위도 모두 견디고, 잠자고 먹는 일마저도 잊어버렸읍니다. 죽는 그 순간까지도 한순간 회두률 놓지 않았으니, 화두를 다른 사람이 대신하여 쉽게 풀어줄 것은 생각조차 하지 않았읍니다. 물론 문자나 언어에서 찾으려는 생각은 추호도 없었읍니다. 오로지 그 침현 기연〔眞機〕을 스스로 드러내서 의심 덩어리를 모조리 풀어버리려고 했을 뿐입니다. 각 종문(宗門)이 생긴 뒤부터 소위 깨달았다는 사람치고 이렇게 하지 않은 사람은 아무도 없읍니다. 그렇기 때문에 비록 걸음걸이가 걸으로 보
면 느려보이나, 그 힘은 마치 사자가 여러 동물들을 놀라게 하여 도망치게 하는것과도 같습니다. 그리하여 각 종문에서는 위와 같은 깨달음을 바탕으로하여 수행의 방법을 설명하게 된 것입니다."
영명스님은 왜 여러가지 수행을 말했읍니까?
객승이 또 질문하였다.
"영명 (永明 : 904∼975)스님은 「종경록(宗鏡錄)」100권을 저술하고, 대승경론을 광대하게 인용하여 우리 달마스님의 바로 가리키신 선〔直指之禪〕과 일치시켰읍니다. 비록 그 뜻은 훌륭하다고 하겠지만, 어쩌면 언어에 의존하여 연구하고 의리(義理)를 해석했다는 비난을 면치 못할 것 같습니다."
나는 이렇게 대답했다.
"그렇지 않습니다. 달마스님이 인도 땅에서 중국으로 와서, 바로 가리키는 가르침〔直指之道〕이 여섯 번 전수되어 6조 혜능 스님에게 이르렀읍니다. 또 6조스님으로부터 아홉번 전수되어 법안(法眼: 885∼958)스님에게 이르렀고, 법안스님으로부터 또 2대(代)가 흘러 영명스님에게 전수되었읍니다. 그 사이에 깨달은 조사들이 계속 배출되어 고금을 밝게 비추었읍니다. 그리하여 교학(敎學)을 연구하는 3장(三藏)학자들도 달마스님이 세운 방법을 받아들이지 않은 사람이 없읍니다. 영명스님께서 자세하게 경전을 연구하고 한데 묶어서 변론해 놓은것이 바로 「종경록」입니다. 「종경록」은 어느 모로 보더라도 그 전개가 자유자재하고, 어느 부분을 보더라도 도의 근원을 만날 수 있습니다. 이것이야말로 바로 문자를 사용하여 도를 밝혀놓은 총지문(總持門)인 것입니다. 바로 이점 때문에 3장(三藏)을 연구하는 교종의 학자들이 달마스님과그 제자들을 불제자가 아니라고 비난하지 못하게 되었읍니다.
「종경록」과 명교(明敎: 1007∼1072)스님이 저술한 「보교편(補敎編]의 두 책은 모두가 수백명의 사상을 정교하게 검토하고, 그 밖의 서적들을 널리 연구해서 만든것입니다. 때문에 이 두 책은 부처님의 진실한 자비를 선양하고 유학자(儒學者)들의 계속되는 질투를 막는 역할을 했습니다. 이 두 책이야말로 부처님과 조사스님들을 호위하는 성벽에 해당합니다. 혹자들이 이 책을 보고 말귀절이나 따지고 의리따위나 해석했다는 꼬투리를 잡는다면, 그것은 말도 안되는 소리입니다. 정말로 두 스님들의 진실된 정성과 깊고깊은 이해가 없었다면, 그렇게 비슷하게 흉내낼 수도 없었을 것입니다."
객승이 또 질문하였다.
"영명스님께서는 또 「만선동귀집(萬善同歸集)」을 저술했는데, 그 내용이 「종경록」의 학설과는 서로 주장하는 바가 다릅니다. 그러면 한 사람이 저술한 책인데도 서로 모순되는 점이 있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나는 이렇게 대답했다.
"마음은 모든 선(善)의 근본입니다. 「종경록」에서는 여러 선(善)을 모아서 한 마음으로 귀결시켰고, 「만선동귀집」에서는 한 마음을 풀어 여러 선(善)으로 들어가게 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치상으토 보면 두 책의 이론이 동일한 것입니다. 영명스님께서 그렇게 하신 까닭온, 대체로 참선한다는 사람들이 깨닫지도 못한 채 여러 가지의 수행을 하지 않는 실태를 지도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3장(三藏)을 연구하는 교학자들이, 선가(禪家)에서는 여러 가지 수행을 두루 통괄하지 않는다고 비난하는 것을 막으려고 그런 것입니다. 그러므로 두 책에서 자세하게 여러 가지의 수행방법을 밝힌 것은 그러고 싶어서 그런것은 아닙니다. 고금을 통하여 많은 스승들이 있지만 어찌 영명스님을 빼놓을 수가 있겠읍니까!
객승이 또 질문하였다.
"선가(禪家)에서도 여러 가지의 수행을 해야한다고 가르치나요!"
나는 이렇게 대답했다.
"달마스님의 문하에서는 자기의 마음을 깨달아 밝히는 것만을 으뜸으로 여길 뿐입니다. 이 마음이 밝혀지기만 하면, 갖가지의 수행을 한다느니, 아니면 안한다느니 하는 것조차 따질것도 없읍니다. 혹 수행을 하는 경우가 있더라도 수행하는 주체와 또 수행의 대상에 전혀 얽매이지 않습니다. 반대로 수행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알음알이에 휘둘리어 바른 생각을 잃어버리는 등의 어리석은 짓은 하지 않습니다. 이 마음의 정체를 확연히 알지 못하편 여러 가지의 수행을 한다 해도 허망하고, 설사 수행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허망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참선하는 이 납자들은 마음 밝히는 일을 무엇보다 으뜸으로 삼아야 합니다. 그런 뒤에 만행을 해도 되는 것입니다."
선종에도 깨달음의 단계가 있읍니까?
객승이 또 질문하였다.
"「화엄경」에서 말하는 10지(十地)의 단계와 선(禪)은 어떤 관계인가요?"
나는 이렇게 대답했다.
"10지의 단계에 올라가야만 신통을 부릴 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부처님은 깨달음의 입장에서 10지의 등급을 나눈 것입니다. 그러므로 옛사람들은 말씀하시기를 '10지(十地)도 허공을 나는 새의 발자취와 같아서, 본래가 공(空)하다'라고 했습니다. 무릇 대승보살치고 10지의 단계를 거치지 않은 이가 없읍니다. 그렇다고 그것만을 굳게 집착해서는 안됩니다.
달마스님은 오직 견성(見性)이 성불(成佛)이라고 말했을 뿐 그 밖의 수행 단계에 대해서는 모두 생략하고 말을 하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달마스님의 선(禪)은 모든 부처님들의 심종(心宗)이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오로지 '원돈상승(圓頓上乘)'의 중생들을 위해서 하신 말씀입니다. 그러므로 수행을 통해 점차로 깨달아진다고 말한다면 이미 바른 가르침이 될 수기" 없읍니다. 왜냐하면 정법안장(正法眼藏)으로써 수많은 중생들을 관찰하면 모두가 본래 깨달은 존재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그러니 어찌 견성(見性)을 하고 난 다음에 다시 더 깨달을 것이 있겠습니까? 깨달을 것조차 없는데 무슨 10지 따위의 깨달음의 단계를 설정하겠읍니까?"
언어나 문자로도 견성을 할 수 있읍니까?
객승이 또 질문했다.
"옛사람이 말하기를 '무명의 거친 풀을 헤쳐버리고, 조사의 가풍을 우러러보는〔撥草瞻風〕이유는 오직 견성을 하려고 그런것이다'라고 했읍니다. 또 부대사(傳大士: 497∼569)도 말하기를 '다만 말소리를 막은것도 견성성불을 도모하려고 그런 것이다'라고 했읍니다. 그런데 이것 말고 따로 견성하는 이치가있읍니까? 만약 없다면 납자(衲子)들은 어떻게 해야 합니까?"
나는 이렇게 대답했다.
"가령 단펀적으로 견성(見性)을 말한다면 옛시람들이 깨달은 오묘한 이치를 두루 설명한다 해도 수행에 장애가 될 것은 없읍니다. 그러나 처음이 잘못되면, 뒤로 가편 갈수록 깨달음에서 더더욱 멀어지는 것을 어찌하겠습니까? 대체로 견성의 이치는 말로써 표현할수 없으며, 생각으로 알수가 없으
며, 분별할수도 없으며, 취하거나 버릴 수도 없습니다. 그러나 그것의 작용은 아주 위대하고 그것의 본체는 완전한 것입니다. 그대들이 한 털끌만큼이라도 알음알이를 가지고 있으면, 본체를 마주 하더라도 계합할 수가 없습니다. 요즈은, 눈 있고 귀 있는 자들치고 어느 누구인들 견성을 말하지 않는자가 있겠읍니까? 그러나 다른 사람들로부터 견성에 대하여 질문을 받으면 있는것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틀린다'고 대답합니다. 그리고는 교학에서 말하는 '법(法)은 마음에서 나온 것이다'라는 말을 억지로 끌어들여 자기 주장의 근거로 삼고 있읍니다.
여러분들에게 다시 말하겠습니다. 말로하면 말이 옳지만 깨달음이란 깨달아야만 분명해집니다. 그러니 견성이란, 언어나 문자를 매개로 하여 생각하면 생각할수록 그 깨달음에서는 멀어져 가고 맙니다. 그 이유가 무엇인가? 명근(命根)이 끊어지고 주체와 객체가 없어진 자리에서 깨달은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다만 5음(五陰).6식(六識) 따위에 의지하여 알음알이 만을 일으켰기 때문입니다. 그저 말로 할 때에는 견성한 듯 하지만 정확하게 말해보면 미혹한것이 아닐 수 없읍니다. 다시는 그대의 무명과 사망(邪妄)이 멋대로 발생하는대로 지껄이지 마십시요. 말할 때에는 엄연히 두개의 본성이 있는 듯하니 어찌 일관성 있게 생각을 하는 것이겠습니까? 꼭 알아두어야 할 것은 견성을 한 사람에게는 오히려 일관성 있는 도리를 말하는 것조차 인정되지 않거늘, 하물며 일관성이 없는 것은 말 할 것도 없읍니다.
꼭 알아야합니다. 이처럼 잘못된 견해를 가진 사람에게는두 가지 허물과 착오가 있읍니다. 첫째는 자기가 발심하여 도를 배울 때에 언어나 문자로써 도를 통하려 했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애초부터 결단코 생사대사(生死大事)를 확실히 밝히겠다는 생각이 없었던 것입니다. 두 번째는 스승이 잘못 되어 제자외 근기를 고려하지 않고,천부적으로 타고난 재주가 약간 있는 것만을 보고서 교묘한 방편만을 가르칠 뿐, 결코 마음을 바르게 갖도록 제자를 가르치지는 못한 것입니다. 다만 한결같이 '마음이 그대로 부처이다〔卽心是佛〕'와 '물질 그 자체에서 마음을 밝힌다〔卽色明心〕'는 등의 그럴 듯한 회두로서 스승과 제자가 서로서로 속고 속이는 것입니다. 다만 스승은 자기가 체험한 경지로 이끌어 제자가 언어나 문자로 이해하기를 바라는 것입니다.
요즈음 선림(禪林)도 서로서로 영향을 주어서 한 가풍을 이루었습니다. 그러나 정말로 그들이 무엇을 하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2천년 전에 부처님께서는 「원각경」이나 「능엄경」에서 이네들의 잘못된 견해를 꾸짖고 나무라셨습니다. 대체로 성인께서는 말세의 중생들이 이런 허망한 잘못이 있으리라는 것을 미리 아셨던 것입니다. 그래서 그 처럼 문답을 자세하게 베풀어 그들 자신의 잘못을 스스로 고치도록 한것입니다. 그런데 어찌하여 생사대사(生死大事)를 해결하려고는 하지 않고, 언어나 문자로써 견성을 하려고 합니까? 그러다가 홀연히 바른 안목을 가진 수행자가 나타나 그것이 잘못됐다고 손을 저어 나무라기라도 하면, 마음 속에는 갖가지 의심의 물결이 출렁거리게 됩니다. 나아가 문득 꾸짖고 배척하면 화가 나서 어쩔 줄을 모릅니다.
당신이 정말로 견성하고자 한다면, 무엇보다도 눈으로 보고 귀로 들었던 언어나 문자를 싹 쓸어버려야 합니다. 만약 털끝 만큼이라도 그런 것들이 마음 속에 응어리져 있으면 이야말로 지독한 독이 심장에 들어간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이렇게 되면 설사 부처님이라도 구제하기 어렵습니다.
대체로 참선하는 납자(衲子)가 이렇게 잘못된 데에는 두
가지의 이유가 있읍니다. 첫째는 스승의 잘못이고, 둘째는 자기 스스로가 언어나 문자로써 알음알이를 소중하게 여겼기 때문입니다. 당신이 정말로 생사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면, 설사 석가과 미륵부처님께서 선도(禪道)와 불법(佛法)을 직접 당신의 허파와 간장에 부어준다 하더라도 그것에 끄달려서는 안됩니다. 언어가 끊어진 바로 근본 자리〔一句子〕를 반조해 보면 몸속에 깊숙이 배어버린 독소를 모두 토해낼 수 있습니다. 당신인들 어찌 이 나쁜 독을 받이들이기를 원했겠습니까? 그러나 오직 바른 견해〔正見〕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눈을 뜨고도 잘못된 스승에게 고여 넘어기는 것입니다.
당신이 과연 선(禪)을 알음알이로 이해하려고 한다면 무심코 던지는 한 토막의 비유도 이해하지 못할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비록 당신에게 1,700공안을 일시에 뚫어버릴 수 있도록 해주더라도 그것이 뭐 그리 어려운 일이겠습니까?
그러나 그것은 아무런 소용도 없을 뿐더러, 차라리 일생동안 선에 대한 이해가 없었던 것만도 못합니다. 이런 내용을 당신이 이해 한다면, 향엄(香嚴)스님께서 지난날 위산(위山)스님의 문하생으로 있다가 말문이 막혀, 남양 땅에 있는 암자로 피해가 고생했을 필요가 없었다는 것을 알 것입니다. 또한 아난이 능엄회증다(楞嚴會中)에서 슬피 우느라고 애쓰지 않아도 됐으리란 것을 알수 있읍니다. 그대는 상대의 말을 이해했다고 해서 그것이 진정으로 깨달은 것이라고 말해서는 안되는 줄을 알아야합니다. 가령 깨달은 내용을 정확하게 가져와서 주장하더라도, 이는 벌써 걸맞지 않는 것입니다.
하물며 사량분별〔心鏡識〕로써 그럴듯한 언어나 문자를 매개로 하여, 허망하게도 눈앞에 나타난 소소령령(昭昭靈靈)한 허깨비를 주인공이라고 잘못 알고 보배처럼 아끼며 가슴에 새겨두고 있읍니다. 실로 미혹한 사람 중에서도 가장 미혹한 사람이라 하겠읍니다. 이것을 오래도록 고치지 않으면, 훗날
에는 반야(般若)를 잘못 말했다는 과보를 받을 것이며, 가까이는 죽는 마당에 후회한들 무슨 소용이 있겠읍니까?
옛날 혜충국사(慧忠國師)께서 말씀하시기를, '요즈음 남방의 불법이 크게 변해버렸다. 그들은 4대신(四大身)속에 신령한 성품이 들어 있어 불생불멸한다고 한다. 또 이 4대(四大)가 파괴되더라도 이 성품은 파괴되지 않는다고들 한다.
그러나 이러한 그들의 견해는 인도의 외도(外道)들과 같은 것이다'라고 했읍니다. 또 장사(長沙)스님 같은 분은 '도를 배우는 사람들이 진실을 식별하지 못하고 그저 옛 사람들이 말해놓은 신령한 말만을 좇는다'라고 했읍니다 이것은 요즈음 수행자들이 6진(六塵)을 반연하여 일어나는 그림자를 자기의 참마음이라고 잘못 인식하는 풍조를 지적한 것입니다. 즉 「능엄경」에서 말하는 '백천(百千)의 큰 바다는 알지도 못하고 한 방울의 물거품으로 전체의 바닷물을 알려고한다'는 것과 상통합니다. 또 진여(眞如)를 제대로 알지도 못하는 무리들이 말하기를, '시방세계(十方世界)가 그대로 바로 나〔我〕이다. 이 성품은 허공을 둘러싸고 온 법계를 두루 했으며 고금과 범성(凡聖)을 가릴 것 없이 두루 있으며 삼라만상에 가득하다'라고 말들 합니다. 그리하여 마침내는 옛사람이 말한, '한 줄기의 풀을 들고 이것이 장육금신(丈六金身)이다'라 한 것과, 또 '한 털끝마다 부처님 나라〔寶王刹〕가 나타난다는 등의 말을 인용하여 자키 주장의 근거로 삼습니다. 그러나 아무리 음식에 대해서 말하더라도 역시 배는 고픈 것이며, 의복에 대해서 말하더라도 추위를 막을 수는 없습니다. 이런 이치를 어찌 하겠습니까? 모름지기 깨달음이란 직접 스스보 겪어봐야만 됩니다. 또한 설사 그대가 직접 깨달아 봤다 하더라도 본색종장(本色宗匠)을 만나서, 그대가 깨달았다는 그 자취마저도 싹 쓸어버려야만 합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이른바 '알음알이가 도리어 가시가 되어 심장을 찌르고, 좋은 약을 고집하다가 도리어 병을 얻고 만다'는 꼴을 면치 못할 것입니다. 그러니 이것이 어찌 언어나 문자로 통할 수 있고 의식으로 도달하여 알 수 있는 것이겠읍니까?
한량없이 오랜 세월 이전부터 흘러온 생사의 굴레를 금일에 완전하게 끊어머리고, 또 그대가 끊어버렸다는 사실조차도 단박 잊어버려야 합니다. 그런데 어찌 작은 근기, 천박한 재주로써 헤아릴 수 있겠습니까? 내가 이렇게 말하는 까닭은 정말로 그대의 미혹을 더욱 부채질하려는 것은 아닙니다. 그대들이 생사의 굴레에서 헤매이는 것이 너무나도. 애통하여서 간절한 마음으로 이렇게 하는 것일 뿐입니다. 그러나 참선을 그저 말로 만하려는 자들이 얼굴을 돌려서 나에게 침을 뱉는다 하더라도, 또한 무슨 할 말이 있겠읍니까!"
염불이 참선보다 더 효과적입니까?
서귀자(西歸子)라는 스님이 문앞을 지나다가 나에게 질문하였다.
"나는 아미타불을 염송하여 정토(淨土)에 태어나길 바랍니다. 생사에서 획실하게 벗어나는 길은 참선하는 것보다 아미타불 염송이 쉬운 듯합니다. 이 까닭은 멀리 계시는 아미타부처님께서 그윽하게 가피를 주시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당신네들이 하는 참선은 잡을것도 없고, 성스러운 힘의 가피
를 받을 수 도 없읍니다. 실로 아주 근기가 빼어난 사람들이 한번 듣기만 하면 수천 가지를 깨닫는 정도의 재주가 아니고서는, 참선의 본면목에 들어가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영명(永明)선사께서도 '참선하는 사람 열 명 중에 아흡 명은 잘못된 길을 걷고 있다'라고 걱정하기도 하지 않았읍니까?"
내가 하도 한심하여 대답했다.
"ㅉㅉ! 이 무슨 말씀입니까? 그렇다편 극락정토 밖에 따로 참선이 있단 말입니까? 설사 정말로 있다고 한다면 불(佛)과 법(法)이 서로 모순이 됩니다. 그래서야 어찌 불법으로써 사람을 인도하는 원융한 이치가 될 수 있겠습니까? 그대는 상황의 적절한 방편을 잘 모르고 자신의 견해에만 국집하여, 선철(先哲)을 속이고 비방하는 격입니다.
실로 영명스님께서 참선과 정토를 짝지어 4구게(四句偈)를 만드신 까닭은, 듣는 이의 근기에 알맞게 특별히 방편을 써서 강조한 것일 뿐입니다. 대체로 교학(敎學)에서 이른바, '원래는 1승도(一乘道)뿐이지만 방편으로 분별하여 3승도(三乘道)를 설한다'라고 한뜻과도 같습니다. 장로(長蘆).북간
(北磵). 진헐(眞歇).천목(天目)등 여러 스님들이 저술하신 정토에 관한 게송도 모두 말로써 풀어놓은 즉심자성(卽心自性)의 참선입니다. 애초부터 별다른 무엇이 있어서 그랬던 것은 아닙니다.
또 어떤사람이 말하기를 '동도(東都)의 희법사(曦法師)가 선정(禪定) 속에서 연꽃을 보았답니다. 그런데 그 연꽃에 원조 본선사(圓照本禪師)의 이름이 쓰여있었다고 합니다. 달마스님 선법을 정통으로 이은 원조스님으로서 어떻게 연꽃에 이름이 박혀 있을 수가 있을까 하고 의심했읍니다'라 했다.
그래서 일부러 내가 가서 질문했더니, 원조스님께서 이렇게 말씀했읍니다. '내가 비록 선문(禪門)에 있었으나 정토신앙을 겸해서 수행했다.' 그 당시에 원조스님께서는 갖가지의 방편으로 찾아와 질문하는 사람들을 지도한 것이지, 어찌 정말로 그랬던 것이겠 읍니까? 미혹한 사람들이 방편으로 그런줄을 모르고 제멋대로, '참선 말고 따로 정토에 귀의해야한다'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나아가 영명스님의 「정토4구게(淨土四句偈」를 변명의 구실로 삼기도 하니, 이것 역시 잘못이 아니겠읍니까 !"
손님이 자리를 고쳐 앉으면서 좀더 자세한 설명을 청했다.
"정토와 침선의 경지가 서로 어떤지 자세히 말씀해 주십시요.."
내가 대답했다.
"정토도 마음이며 참선도 또한 마음으로서 본체는 하나이지만 이름을 서로 달리했을 뿐입니다. 어리석은 사람은 그 명칭에 집착하여 그 본체를 미혹하고, 반면에 깨달은 사람은 그 본체를 알아서 이름에 끄달리지 않습니다. 어찌 정토만이 그렇겠 읍니까? 교학(敎學)에서 말하는, '일체의 모든법(法)이 마음에 싱주한 자성〔卽心自性〕임을 알아야한다'라고 말한 부분과, '삼라만상이 한법〔一心〕에서 나왔다'라고 한 것이 모두 그렇습니다. 다만 자기 마음 속의 선(禪)을 깨닫기만 하면 삼계의 만법에 두루한 신령한 근원에 닿을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무엇이든지 완전하고 진실되어서 전혀
간택할 것이 없읍니다. 그리하여 이미 동쪽이니 서쪽이니 하는 구별이 있을 수가 없는데, 어찌 정토(淨土)니 혹은 예토(穢土)니 하는 구별이 있을 수 있겠읍니까?
십만억토를 한걸음에 다가가고 갖 가지의 보배로 온 우주를 그득히 채우기도 합니다. 나아가 한 찰나에 영원한 세월을 맛보아, 그 속에서 비취빛 대나무와 노란 국화가 동시에 피어나는 것을 보기도 합니다. 큰 바다와 같은 아미타불의 눈이 또록또록 빛나고, 다섯개의 수미산 같은 백호광명(白毫光明)이 곳곳에다 찬란한 빛을 분산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늙은 달마는 흘연히 명월주(明月珠)를 잊고, 아미타불도 황금도장날 잃어버릴 것입니다. 선문(禪門)도 군더더기에 불과한 말이며, 정토도 또한 헛된 이름에 불과합니다. 이름이니 본체니 하는 견해도 없어지고, 옳으니 그르니 하는 알음알이
가 없어지면, 장육금신(丈六金身)과 한줄기 풀이 어떤 우열이 있겠으며, 삼천대천 세계와 한점의 티끌에 어찌 크고 작은 차이가 있을수 있겠습니까? 이것이야말로 한결같이 평등한 법문입니다. 실로 참되고 온몸으로 깨달아 들어가지 않는다면 어찌 해탈할 수가 있겠습니까? 모름지기 참선을 하는
목적은 생사의 문제를 투철하게 해결하는 데에 있으며, 또한염불하여 정토에 왕생하기를 바라는 것도 오직 생사문제를 확실히 해결하자는 데에 그목적이 있읍니다. 성인들께서 중생을 교화하시는 방법은 수천수만 가지이지만 목적은 오직 한 가지, 생사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입니다. 그러니 생사의
굴레에서 벗어나려면 오직 한 부분이라도 투철하게 깊숙이 들어가야지, 이것 저것 겸수(兼修)를 해서는 안됩니다.
옛사람이 말하기를, '털끌만큼이라도 알음알이〔思念〕에 얽매인다면 3악도(三惡道)에 떨어집니다. 조금이라도 알음알이가 일어나면 오랜 세월동안 윤희에 빠집니다. 그런데 어찌 겸수(兼修)가 있을 수가 있겠읍니까? '라고 하였읍니다.
그러나 이와같이 수행하지 않고, 참선이 이러니 정토가 저러니 말로만 하면 쓸데없이 생각만 복잡해지고 알음알이만 더더욱 일어납니다. 그리하여 끝내는 생시문제를 해결하지 못합니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차마 내가 지적하지 않을 수가 없었던 것입니다.
왜 5가(五家)로 선풍이 분열됐읍니까?
객승이 질문하였다.
"달마스님이 처음 홀로 전한 바로 가리키는 선〔直指之禪〕이 10대(代)를 계속 전승되다가, 후에 분파되어 다섯 종파가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달마스님의 말씀 속에 이미 서로 다른 다섯 가지 내용이 애초부터 있었던 것이 아닙니까? 만일 그렇지 않다면 어떻게 한 스승 밑에서 5가(五家)로 분리
될 수가 있겠을니까?"
나는 이렇게 대답했다.
"그대가 말한 5가라는 것은 사람들이 다섯 부류이지 그 도(道)가 다섯 종류인 것은 아닙니다. 그대는 부처님과 조사들이 종지를 전수하는 행위를 이름하여 '등불을 전한다〔傳燈〕'고 하는 말을 듣지 못했습니까? 정말토 전등의 의미를 알았다면 5가(五家)로 분리된 것을 조금도 의심하지 않을 것입니다. 세속적인 의미로서의 등불을 알아보기로 합시다. 등불에는 새장처럼 생긴 등〔籠燈〕도 있고, 잔등(盞燈)도 있고, 유리등(유離燈)도 있읍니다. 등불이라는 의미에서는 모두 같지만 겉모양은 모두 다릅니다. 비록 5가(五家)로 분립하여 겉모양이 서로 같지는 않지만, 그러나 모두가 생사(生死)의 긴 밤을 밝혀주지 않는 가르침은 없읍니다. 어찌 지금의 5가(五家)만이 그렇겠읍니까?
옛날 달마스님의 한등볼이 네 번 전하여 대의(大醫)스님에 이르러 우두종(牛頭宗)이 설립되었고, 달마스님으로부터 다섯번 전하여 대만(大滿)스님에 이르자 북쪽의 신수(神秀)스님이 한 종파를 설립하였읍니다. 그리고 또 달마스님으로 부터 여섯번 전하여 조계(曹溪)에 이르게 되었읍니다. 6조스님 아래로 청원(靑原). 남악(南嶽).하택(荷澤)등의 세 스님은 절대로 그 선풍을 구별짓지 않을 수가 없읍니다. 이것은 어절 수 없는 것입니다. 대체로 각 종파로 나뉘어서 이리저리 작은 유파(流派)가 만연해졌읍니다. 그뿐만 아니라 인물도 번창하였으니 이는 곧 나뉘어지지 않아야 할 것을 나눈 꼴이 된 것입니다,
요즈음 말하는 5가(五家)는 남악(南嶽). 청원(靑原:?∼740) 양 파의 아래에서 서로 파가 갈라져 그렇게 된 것입니다. 어느덧 마치 소용돌이의 물이 넘쳐 거대하게 온세상을 적시듯이 각각 서로의 가풍을 드날렸습니다. 그뒤로 끊임없이 후진들이 배출되어 자기네의 가풍을 하늘끝까지 치켜올리니 드넓기가 끝이 없었읍니다. 그러니 이를 어찌 한눈으르써 관찰할 수 있겠습니까? 그렇기 때문에 부득이 5가로 나누지 않을수가 없었던 것입니다."
객승이 또 물었다.
"분파된 5가의 차이점을 살펴보니 소속된 인원수뿐만 아니라 각파의 종지(宗旨)도 동일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무슨까닭 인가요.?"
나는 대답했다.
"다른 것이 아닙니다, 대부분은 같고 약간 다른 점이 있을 뿐입니다. 대부분이 갈다는 것은 달마스님이 전한 한등불〔一燈〕과 동일하다는 것이고, 약간 다르다는 것은 쓰는 말과 표현하는 방법이 우연히 달라졌다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자면 위앙종(위仰宗)의 근엄함과, 조동종(曹洞宗)의 자상함과, 임제종(臨濟宗)의 통쾌함과, 운문종(雲門宗)의 고고함과, 법안증(法眼宗)의 간단 명료함이 그것입니다. 이런 차이점 등은 각각 그 종파의 인물들의 천성에서 나온 것입니다. 이것은 마치 부자지간에 걸음걸이가 서로 닮은 것과도 비슷합니다. 쓰는 말과 표현하는 방법이 서로 비슷하게 닮는 것은 의도적으토 그렇게 한 것은 아니지만, 저절로 서로 닮아지는 것입니다.
가령 당시의 종사(宗師)들이 괜히 서로 다른 것만을 숭상하여, 사사로이 한 가문의 전승(傳承)을 삼고자 했다면 그것이야말로 크나큰 잘못입니다. 만약에 그렇게 하고서야, 불조(佛祖)께서 세상을 비추는 혜명의 등불〔命燈〕을 후세에 전파하고자 했던 본래의 임무를 어찌 감당할 수가 있겠습니까? 요사이에 참선한다는 무리들이 종지(宗旨)에 얽매여 허공을 쯔개려는 듯한 허망한 견해를 일으켜 서로를 비방하고 있읍니다. 이런 꼴을 열반에 드신 5종(五家:오가)의 스님네들이 본다면 어떻게 되겠읍니까? 분명히 열반의 적정(寂定)속에 계시면서도 그 하는 꼴이 냄새나고 더러워서 코를 틀어막을 것이 분명합니다."
공안(公案)의 뜻과 그 기능은 무엇입니까?
객승이 또 질문했다.
"부처님과 조사들이 깨닫게 된 계기〔機緣〕를 사람들이 공안(公案)이라고 부르는 것은 무슨 이유 때문인가요?"
나는 대답했다.
"공안(公案)이라고 한 것은 관청에 있는 문서에다 비유해서 말한 것입니다. 국가에는 법령이 있어야만 왕도정치가 제대로 실현되는지를 알 수 있읍니다. 공(公)이란 훌륭한 도(道)를 깨달아 세상사람들에게 그 길을 모두 함께 가도록하는 지극한 가르침이며, 안(案)이란 성현들께서 그 도(道)를 수행하는 바른 방법을 기록한 것입니다.
무릇 천하를 다스리는 자라면 누구든지 관청을 설립하지 않을 수가 없고, 관청이 설치되면 자연히 그것을 운영하는 법령이 없을 수가 없읍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바른 이치를 받아들여 법령을 만들고, 바르지 못한 것들을 박멸하려고 그러는것 입니다. 공안(公案)이 시행되면 바른 법령이 통용되고, 바른 법령이 통용되면 천하의 기강이 바로잡히면 왕도정치가 제대로 되는 것입니다.
부처님과 조사들이 깨우치게 된 계기〔機緣〕를 공안(公案)이라 이름 붙인 이유도 역시 위와 같은 뜻에서 그랬읍니다. 그러니 이것은 한 사람의 억지주장이 아니라 신령스런 근원에 딱 들어맞고, 묘지(妙旨)에 계합하여, 생사외 굴레를 타파화는 것입니다. 그러니 공안은 언어나 문자로 따지는 것을 초월하며, 이것은 시방삼제(十方三世)의 수많은 보살과 함께 똑같이 지니고 있는 아주 지극한 도리입니다. 그것은 생각이나 이치로 알수도 없으며, 언어로 전할 수도 없으며, 문자로써 설명할 수도 없으며, 알음알이로 헤아릴 수도 없읍니다. 마치 독(毒)을 바른 북을 둥둥 울리게 되면 듣는 이는 모두 그자리에서 죽는 것과도 갈으며, 큰불구덩이 속에 갓난아기가 들어가면 그대로 타죽는 것과도 같습니다. 그러므로 영산(靈山)에서 말한 '별전(別傳)'이라는 것도 이를 전한 것이며, 달마스님이 말한 '바로 가리키는 선〔直指之禪〕'도 이것을 두고 한 말입니다.
남종(南宗)과 북종(北宗)이 분리되고 5가(五家)로 갈라진 뒤로부터, 모든선지식(善知識)들은 누구를 가릴 것 없이 부처님의 별전(別傳)과 달마스님이 그대로 지적한도리〔直指之道〕를 전하려고 애를 썼으니, 마치 손님이 찾아오면 즉시에 주인이 나오는 것처럼 했읍니다. 우두법융선사에서 마조도
일선사에 이르기까지 모든 정안종사들이 입에서 튀어나오는대로 한 말로 번개처럼 즉각에 본성을 드러내주시니, 귀를 기울여 따져볼 겨를조차도 용납하지 않았읍니다. 예를 들면 '뜰 앞의 잣나무〔庭前柏樹子〕','삼세근〔麻三斤〕', '똥 묻은 막대기〔乾屎궐〕'와 같은 공안(公案)은 사량분별로써는 조금도 말 수 없읍니다. 위와 같은 공안에 부딪치면 마치 은산철벽(銀山鐵壁)처럼 사량분별로는 뚫을 수가 없읍니다. 오직 눈 밝은 사람만이 언어나 문자가 끊어진 자리에서 알아차릴 수가 있읍니다. 한곡조 부르고 거기에 한 곡조 화답하는 것이 마치 공중을 날아가는 새처럼 자취가 없고, 맑은 물에 비친 달그림자처럼 흔적이 전혀 없읍니다. 비록 천 갈래 만갈래 길로 이리저리 방자하게 사량분별한다 해도 알 수가 없읍니다. 멀리는 영취산에서 꽃을 들어 대중들에게 보인〔拈華示衆〕일로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또 그밖에 1,700공안(公案)만이 어찌 그러했겠읍니까! 다른 방법이 있을 수 없읍니다. 오직 마음을 깨달은 사람이라 야지만 알수 있는 도리입니다. 정말로 사람들에게 사량분별이나 증진시키고 그저 이야깃거리의 밑천이나 삼으려고 공안을 만든 것은 아닙니다.
이른바 장로(長老)라는 뜻은 즉 총림(叢林)이라는 관청의 최고 관리자이며, 「전등록」에 실려 있는말씀은 선풍을 드날릴 묘안들을 기록한 공문서입니다. 옛 사람들이 혹은 제자들을 지도 하거나 혹은 대문을 잠그고 수행에 정진하던 여가에, 틈틈이 평석하거나〔拈〕.판단하거나〔判〕.노래하거나〔頌〕. 다른 논지률 펴거나〔別傳〕한 것을 모아놓은 책이 바로 「전등록」입니다. 어찌 보고 들어 따지는 죽은 지혜만을 증장시키고, 끝내는 눈밝은 고승대덕 스님들에게 대들어 실력을 겨루려고 한 말씀이겠습니까? 이렇게 한 이유는 대법(大法)이 장차 피폐해지는 것을 가슴아프게 생각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방편을 자세하게 베풀어 후배들의 지헤의 안목을 열어주고, 그들로 하여금 모두 본래의 진면목을 깨닫게 하려고 했을 뿐입니다,
공(公)이란 뜻은 개개인의 주관적인 주장을 개입시키지 않았다는 것이며, 안(案)이란 뜻은 기필코 불조(佛祖)의 깨달음과 동일하에 만들겠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공안(公案)이 풀리면 번뇌의 알음알이〔情識〕가 사라지고, 번뇌의 알음알이가 사라지면 생사의 굴레가 공(公)해지고, 생사의 굴레가
공(公)해지면 불도(佛道)를 이룰 수 있읍니다. 위에서 말한 '불조(佛祖)의 깨달음과 동일하게 만들겠다'라는 뜻은, 중생들이 생사의 번뇌 속에서 제 스스로 꽁꽁 묶여 풀려나지 못하는 것을 보고, 부처님과 조시들께서 불쌍히 여기시는 상황을 두고 한 말입니다. 따지고 보면 말로써 표현할 수 없는 자리이지만 할수 없이 중생들을 위하여 말로 표현한 것이며, 형상으로 드러낼 수 없는 이치이지만, 중생들을 가엾이 여겨 형상으로 드러내어서 미혹의 오랏줄이 풀려지기를 기다리신 것입니다. 깨달음외 자리에 어찌 언어나 형상을 들먹거릴 수가 있겠읍니까?
세상 사람들이 사회생활을 하다가 불공평한 사건이 생기면, 반드시 관청에서 공정하제 재판해줄 것을 요청합니다. 그러면 이조(吏曹)에서는 공포된 법조문을 근거로 공평하게 재판해 줍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참선하는 자가 깨달은 부분이 있으나 제스스로 획신을 못하겠으면 스승에게 질문합니다. 그러면 스승은 공안(公案)을 근거로 하여 의심을 풀어줍니다. 공안이란 바로 번뇌망싱의 어둠을 밝혀주는 지혜의 횃불이며, 보고 듣는것에 얽매인 결박을 끊어주는 날카로운 칼날입니다. 그런가하면 공안이란 번뇌의 뿌리를 끊어버리는 날카로운 도끼이며, 성인과 범부를 가려내는 신령스러운 거울입니다. 조사들의 본뜻이 공안때문에 분명하게 밝아지고,부처님의 마음이 공안 때문에 드러납니다. 번뇌를 밀끔히 털어버리고 불조의 혜명을 드러내는 데에 이 공안보다 더 좋은 길잡이는 없읍니다. 이른바 공안이란 법을 아는 자만이 두려워할 뿐, 그렇지 못한 사람들은 그 근처에 어른거리지도 못합니다.
아아 ! 슬프도다 ! 미망에 빠진 인간들은 근본자리를 돌볼생각은 하지도 못하고, 그저 자신의 총명만을 밑천으로 삼아 요리조리 사량분별만 하여 언어나 문자로 깨달으려 하는구나! 그리하여 끝내는 마음자리를 깨달으려 들지 않습니다. 방(棒)이나 할(喝) 등의, 방편의 채찍으로 몰아대는 마차는 결국 번뇌와 망상이 우거진 숲속에 처박히고, 용(龍)이나 코끼리처럼 훌륭한 조사스님네들의 말씀은 결국 사량분별하는 잘못된 함정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사량분별하게 되면 그 결과 좋아하고 싫어하는 욕정이 눈가에 넘치고, 취사선택하는 어리석음이 가슴에 가득하여집니다. 옛 스님들이 말한, '제호(醍호)가 도리어 독약이 된다'라는 비유의 말씀이 바로 이것을 두고 한말이 아니고 무엇이겠습니까? 총림이 무너지는 것은 바로 이 때문입니다. 슬프도다! 이것은 마치 법령을 집행하는 담당관이 법령을 미끼로 삼아 사람들의 뇌물을 받아서 호의호식하는 꼴과 다를 것이 무엇입니까? 자기의 개인적인 사리사욕에 빠지면 아무리 공명정대하게 하려 해도 세상이 잘다스려질 까닭이 없습니다.
공안에 집착하는 것도 어리석은 짓이 아닙니까?
객승이 또 질문하였다.
"조사의 공안(公案)은 본래 참선하는 사람이 의심이 생겨서 질문한 것입니다. 그러니 옛사람이 깨달은 마음자리는 마치 빈 골짜기의 메아리와도 같고, 혹은 커다란 북이 두들기는대로 소리가 나듯이, 상대에 따라 그 반응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공안이란 다른 사람의 의심덩어리를 풀어주는 것에 불과한 줄 압니다. 그렇기 때문에 '바로 가리키는 선〔直指之禪〕에서는 언어나 문자를 중시하지 않으며 한 법도 남들에게 준 적이 없다'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대체로 공안이란 선배들이 다른 사람의 스승이 되어서 마지못해 주고받은 짧은 얘기입니다. 그러다 그것들이 총림에 전해져서 깨달은 이들이 이것을 공안이라고 후에 이름을 붙인 것입니다. 원래의 공안은 분명한 도리에 근본하였는데, 요즈음 총림이 되어가는 모양을 보니 전혀 처음의 분명한 도리는 없어진 듯합니다. 그리하여 부처가 무엇이냐고 묻거나, 달마스님이 인도 땅에서 중국으로 온 뜻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삼세근〔麻三斤〕이다, 혹은 똥 묻은 막대기〔乾屎궐〕이다, 혹은 수미산(須彌山)이다, 혹은 망상 피우지 말라〔莫妄想〕는 등등으로 대답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다만 도(道)가 낮은 사람을 인도하려는 하나의 방편이라고 합니다. 그리하여 오히려 감파(勘婆).화타(話墮).탁발(托鉢).상수(上樹)등등으로 대답하는 것을 도가 높다고 평합니다.
그런가 하면 후학을 제접하는 방편으로 3현(三玄)을 나열하여 귀결시키기도 하며, 혹은 모든 언어를 과판(科判)하여 4구(四句)로 만들기도 합니다. 그러다가 그 구구절절한 말들을 1,700공안(公案)으로 정리하고, 그 각각에 이름을 붙여서 서열을 매기게 되었읍니다. 그러나 난 잘 모르겠읍니다. 위와 같이 한 것이 본래 눈밝은. 종사들외 본 뜻인지?"
나는 대답했다.
"조사의 말씀은 아주 공적(空寂)하여서 인위적으로 꾸민 것은 아닙니다. 그러므로 손 가는대로 쓴 것이지, 애초부터 사량 분별하여 선택해서 쓴 것은 아닙니다. 무릇 모든 것이 달마스님이 흘로 전한 뜻〔單傳之旨〕에 근본을 둡니다. 그러므로 말을하기 시작하면 아주 세밀한 부분까지 보여주니, 결코 숨기거나 감추는 것이 없읍니다.
비유하자면 다름과 같습니다. 달이 하늘에 떠 있지만 동쪽으로 가는 사람이 바라보면 달이 동쪽으로 가는 듯하고, 서쪽으로 가는 사람이 달을 바라보면 달이 서쪽으로 가는 듯합니다.
그런가하면 움직이지 않고 가운데에 가만히 서 있는 자는 '달이 나외 함께 움직이지 않고 있구나' 라고 말할 것입니다. 이처럼 자기가 빠져 있는 소견으로 서로 동쪽, 서쪽, 혹은 움직이지 않는다고 달리 말하게 됩니다. 그러나 보름달이 허공에 뜨면 실로 '동쪽이다','서쪽이다'하는 것도 결국은 움직이지 않는 원래의 자리를 기준으로 말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러쿵 저러쿵 공안에 대하여 서로 다른 말이 생긴 이유는 법〔法〕의 근원을 획실히 깨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보는 상대방에 따라 허공의 크기와 모양이 달라진다는 비유도 생기게 되었습니다. 깨달은 선배 종사(宗師)들이 공안을 설명할 때에 혹은 생략하기도 하고, 혹은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그렇다고 언어로 설명하는 본뜻이 혀끝에 있지 않다는 말로써 증거를 삼아 종사들을 비난해서는 안됩니다. 자기의 수준에 맞게 이해한 뜻으초서 종.탈.역.순(縱奪逆順)으로 종횡무진하게 설명하는 정안종사의 말씀에 부딪치게 되면 어찌할 바를 모르게 됩니다. 이렇게 되는 이유는 다름이 아니라 이치롤 극진히 깨닫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모든 공안이 그에 알맞는 도리를 갖고 있읍니다. 그러나 각각 공안마다의 깊이는,사람이 바다에 들어가 바다의 깊이를 재는 것처럼, 깨달은 정도에 따라 모두 다릅니다.
들어가면 갈수록 더욱 깊어져서 계속 들어가면 가장깊은 밑바닥까지 도달할수 있읍니다. 이렇게 가장 깊은 곳에 도달하고 나서 흘연히 왔던 길을 되돌아보면,바로 이것이 바다였구나 라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만약 그 깊은 곳에 몸소 도달해서 한번 뒤돌아보지 않았더라면, 가슴 속의 의심덩어리를 집어내어 제 스스로 해결하려 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어떤 스님이 마조스님에게 묻기를, '무엇이 부처인가요? '라고 하자 마조스님이 말하기를, '마음이 바로 부처이다'라고 대답 했습니다. 이 공안은 비록 전에 참선한 적이 없었던 사람이라도 모두가 알았다고 지나쳐버리기 쉽습니다. 그러나 그 지극한 뜻은 오래 참선한 선승(禪僧)이라도 거의가 잘못 알고 있습니다 무엇 때문인가? 아마도 그 사람에게 '무엇을 마음이라 하는가?'라고 다시 질문하면, 이것은 벌써 옆길로 새는 것입니다. 여기에서는 그 지시하는 당처(當處)에서 그대로 훌쩍 뛰어넘기를, 마치 손바닥 뒤집듯이 쓱싹 해버려야 하는 것입니다. 공안의 참뜻을 분명하게 알아서, 마치 교통
이 자유로운 십자로(十字路)위에서 그리운 어버이를 만나 달려가듯이, 이리저리 따질 겨를 없이 단박에 깨쳐야 합니다.
혹 어떤 무리들은 전혀 참선도하지 않고, 또 마음자리를 분명히 밝히지도 않고, 생사의 큰 의심덩어리인 번뇌를 절단하지도 않고, 오직 총명한 재주만을 믿고 고금의 문자만을 이리저리 따지고 연구하여, 그저 그럴듯한 언어로 비교하고 헤아려서는 고금의 공안을 모두 알았노라고 자만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자신이 생사의 근본을 몰랐다는 사실조차 알지 못하는 것입니다. 차라리 이런 무리들은 아무것도 모르겠다고 하는 솔직한 사람만도 못합니다. 솔직한 사람은 지금까지는 공안의 깊은뜻을 몰랐으나, 어느 날엔가 홀연히 신심(信心)을 일으켜 똑 바로 공안을 참구(參究)하기만 하면 명확하게 깨닫는 시기가 있을 것입니다.
오직 총명하고 영리하기만 하여 머리 속에서만 미리 알아버린 사람은 절대로 다시는 올바른 믿음을 내어서 명확하게 깨닫지 못할 겁니다. 요즈음 총림에서는 남의 말 듣는 데에 급급하며, 또한 참선하는 이들을 대접하지도 않고 있읍니다.
언어나 문자로만 따지는 무리들은, 근본자리에 부딪치게 되면 회두 한 귀절 대하는 것이 마치 어린아이가 어려운 책을 읽듯이 쩔쩔맵니다. 이 무리들이 알음알이로 공안의 뜻을 풀어보려고 하지만, 이것은 마치 그물 속에 입으로 바람을 불어서 가득차게 하려는 것과 다를 바가 없읍니다.
진정한 선객〔本色道流〕은 이와 같은 나쁜 독약을 먹으려 하지 않습니다. 어쩌다 고금의 기연을 만나더라도 절대로 이리저리 따지려들지 않고 그 자리에서 단박 깨우쳐 생사의 바른 뜻을 꿰뚫어버립니다. 마치 눈앞에 수 만 길이나 되는 장벽이 서 있는 것처럼, 오래도록 공안을 참구하다가 홀연히
의심덩어리를 타파합니다. 그러면 백 천만 가지 공안의 심천(深淺).난이(難易).동별(同別)이 한꺼번에 뚫려서 자연히 남에게 묻지 않게 됩니다.
가령 마음의 눈이 아직 열리지 않았는데도 자키자신에게 되물어 참구하려 하지 않고 끌내 남들이 열어 보여주기를 바란다면, 비록 석가모니부처님과 달마스님이 간과 쓸개를 꺼내어 보여준다 해도, 오히려 그 마음의 눈만을 멀게 할 뿐입니다. 생각하고 또 깊이 생각해 보십시오! "
[출처] 山房夜話 上|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