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정현 신부는 우리를 인도하는 세례자 요한" | ||||||||||||||||||||||||||||||||||||||||||||||||||||||||||||||||||||||||||||
5월 18일 2012 광주인권상 시상식 열려 문정현 신부 "가난한 이들의 자발적 연대가 민주주의, 인권, 평화 지킬 수 있기를…" | ||||||||||||||||||||||||||||||||||||||||||||||||||||||||||||||||||||||||||||
| ||||||||||||||||||||||||||||||||||||||||||||||||||||||||||||||||||||||||||||
“문정현 신부는 권력의 탄압이 사법살인으로 치닫던 1970년대의 개발독재 시대에서부터 1980년대의 군사정권을 거쳐 지금의 강정마을에 이르기까지 가톨릭 사제로서 부당한 국가권력에 저항하고, 고통받고 소외받는 사회적 약자의 아픔을 위로하는 동시에 생명과 평화운동을 온몸으로 전개한 성직자로서의 일관된 삶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수상 결정문 중) 5·18기념재단(이사장 김준태)의 2012 광주인권상 시상식이 5월 18일 오후 7시 광주 5.18기념문화관 대동홀에서 열렸다. 수상자인 문정현 신부(전주교구 원로사목)는 광주인권상 한국인 수상자로서는 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에 이어 역대 두 번째이며 개인으로서는 처음이다.
시상식에는 김준태 5·18기념재단 이사장, 레닌 라구와니쉬 2007 광주인권상 공동수상자, 옥현진 광주대교구 보좌주교, 조철현 몬시뇰, 문규현 신부를 비롯한 사제단, 권오광 천주교정의구현전국연합 상임대표와 강정마을 주민, 지킴이 등 300여 명이 자리를 채웠다. 광주인권상 심사위원회는 수상자 결정문에서 1970년대 개발독재 시대로부터 평택 미군기지 반대 운동, 용산참사 현장, 현재 강정마을에 이르기까지의 여정을 되새기며 “‘길위의 신부’로 불리는 문정현 신부의 삶을 통해 우리는 부당한 권력에 대해 투쟁하지 않는 한 민주주의와 인권, 생명과 평화를 지킬 수 없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깨닫게 된다”고 전했다.
김준태 5·18기념재단 이사장은 “문정현 신부님의 수상은 우리들로 하여금 많은 것을 깨닫게 한다. 평생 권력으로부터 탄압받는 약자 편에서, 생명과 평화가 위협받는 곳이라면 어디라도 달려가 그들과 함께 소리치고, 아파하고, 밥을 나누고, 비를 맞으며 살아온 한국 현대사의 압축”이라고 소개하며 “수상식 전까지도 강정마을에 있었던 문정현 신부님은 우리들 모두가 당신을 평화를 지키는 사람, 평화를 만드는 사람으로 바라보게 한다. 문 신부님은 우리 시대의 싸우는 영혼이며, 우리가 가장 힘들 때, 우리가 갈 길을 찾지 못할 때 우리를 인도하는 광야의 세례자 요한을 떠올리게 한다”고 의미를 밝혔다.
“나는 광주항쟁의 정신을 주먹밥이라 생각합니다. 주먹밥은 평범한 사람들이 더 이상 현실의 불의를 보고 참을 수 없어 자발적으로 나선 시민행동이었듯이, 오늘도 그 정신은 이어지고 있습니다. 용산참사, 한진중공업과 쌍용 해고노동자, 4대강, 강정에서도 이름 없는 사람들의 주먹밥이 힘과 용기를 주고 있습니다. 이처럼 가난한 이들의 자발적인 연대가 밑바탕이 되어 민주주의와 인권, 평화가 지켜질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문정현 신부 연설문 중에서) 이어진 수상자 연설에서 문정현 신부는 산 자로서 광주 영령들 앞에 감히 이 상을 받을 수 없다고 생각했지만, 강정마을 주민들을 생각하며 상을 수락했다고 밝히며 “수상 소식으로 강정마을 사람들은 민주주의를 이루기 위한 거룩한 투쟁이 강정에서도 이어지고 있다는 자부심으로 기뻐하고 있다. 민주열사들과 길에서 만난 투쟁하는 소중한 이들이 있었기에 오늘의 내가 존재한다. 그들에게 경의를 표하며, 그들과 함께, 그들을 대신하여 기도하는 마음으로 무겁지만 기쁘게 상을 받는다”고 수상 소감을 전했다.
5·18기념재단은 5만달러의 상금과 함께 금장 메달, 상장 등을 문정현 신부에게 수여했고, 문 신부는 상금 5만 달러를 강정마을을 위해 쓸 예정이라고 밝혔다. 광주인권상은 5·18기념재단이 인권과 통일, 인류의 평화에 공헌한 국내외 인사, 단체를 발굴해 시상함으로써 5.18민주화운동 정신을 널리 알리고자 2000년부터 제정, 시상해왔다. 현재까지 공동수상자를 포함해 개인 13명과 단체 1개가 광주인권상을 받았다. 역대 주요 수상자로는 사나나 구스마오 동티모르 전 대통령(2000년), 한국의 독재정권 희생자 유가족으로 구성된 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2002년·단체), 아웅산 수찌 버마 민족민주동맹 사무총장(2004년), 파키스탄 인권변호사 무니르 말리크(2008년), 네팔 인권운동가 수실 퍄큐렐(2010년), 인도 인권운동가 비냐약 센(2011년) 등이 있다.
한편, 강정마을 지킴이들과 문정현 신부는 시상식에 앞서 17일부터 광주를 방문해 제주 해군기지 반대운동을 알리기 위해 기자회견, 강연 등을 이어갔다. 또 최근 진보정당에서 벌어지는 문제를 포함한 정치권 상황에 대해서도 “정치는 마치 야합해도 되고, 어떤 때는 진실을 배반해도 되고, 그래서 그 문제만 해결되면 되는 것처럼 보인다. 정치인이라면, 고통받는 사람들을 일으켜 세우고 나라를 돌봐야하는 사람이라면 불이익을 당할 때 불이익을 감소할 수도 있어야 하고, 그것 때문에 죽어야한다면 목숨이라도 내놓을 수 있는 사람이라야 지도자가 되는 것이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문 신부는 잊히는 5월 정신에 관해 언급하며 “나에게 관변의 유혹이 없었던 것도 아니지만, 성직자로서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남는 자’가 되겠다고 생각했다. 그것은 가난하고 고통받고 소외된 사람들이 있는 곳에 있어야 하는 것”이라며 “5·18 민중항쟁의 정신은 지배자들에 의해 탄압받고 왜곡되어 왔다. 그 정신은 절대로 사라질 수 없는 만큼 5·18을 길바닥에서 느낀 그대로 정확하게 남겨두고 계속해서 접근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문 신부는 한국의 인권 상황에 관해 “사기와 거짓으로 시작된 제주 해군기지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으니 광주의 경찰까지 출동시켜 주민들을 탄압하고 있다. 이것이 민주주의인가? 인권이 살아있는 것인가?" 하고 물으며 "인권은 바닥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한진중공업, 쌍용자동차, 전북고속, 재능교육 등 정당한 권리를 누리지 못하는 곳곳의 문제에 대해 안타까워했다.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