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수(刺繡)
허영자
마음이 어지러운 날은
수를 놓는다
금실 은실 청홍(靑紅) 실
따라서 가면
가슴 속 아우성은 절로 가라앉고
처음 보는 수풀
정갈한 자갈돌의
강변에 이른다.
남향 햇볕 속에
수를 놓고 앉으면
세사 번뇌(世事煩惱)
무궁한 사랑의 슬픔을
참아내올 듯
머언
극락정토(極樂淨土) 가는 길도
보일 상 싶다.
(시집 『가슴엔 듯 눈엔 듯』,1966)
[작품해설]
이 시는 사랑과 절제의 시인으로 불리는 허영자의 대표작으로, ‘수놓기’라는 일상적 일을 통해 세사(世事)의 번뇌와 사랑의 슬픔을 다스리고 마음의 평화를 찾아가는 체험을 노래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시의 제목이자 핵심 소재인 ‘자수’는 시인에게 있어 실제적인 수놓기가기보다는 고뇌를 견디는 방법이요, 극기(克己)의 상징으로 쓰이고 있다.
모두 6연으로 이루어진 이 시는 의미상 3단락으로 나누어진다.
첫째 단락은 1연으로, 화자가 수를 놓는 일이 어떤 실용적 목적이 아니라, 마음속의 고뇌나 슬픔을 가라앉히기 위한 것임을 알려 준다.
둘째 단락은 2~3연으로, 오랜 번민을 가라앉히고 아름답고 평화로운 심경에 다다르는 수놓기의 과정을 보여 준다. 여러 가지 색실을 따라가며 화자가 수를 놓다 보면, 어느덧 ‘처음 보는 수풀’이나 ‘정갈한 자갈돌의 강변’에 이른다, 그러므로 그 곳은 현실 세계가 아니라, 내면적 상상의 세계로 화자가 수를 놓으면서 되찾게 된 마음의 평화를 의미한다.
셋째 단락은 4~6연으로, 수를 놓고 있으면 사랑의 슬픔도 이겨내고 번뇌로부터도 완전히 벗어날 수 있으리라는 기대와 소망을 보여 준다. 또한 1연의 ‘어지러운’과 2연의 ‘아우성’으로 암시되었던 고뇌의 내용이 섹째 단락에 와서 보다 분명해진다. 그것은 바로 화자를 오래도곡 괴롭혀 왔던 사랑의 고뇌요 슬픔이다. 아마도 화자는 수를 놓는 행위를 통해 아픔을 극복하고 ‘극락정토’라는 절대적 구원까지도 얻을 수 있으리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는 듯하다.
허영자의 시는 일반적으로 간결과 반복의 표현 특징을 갖는다. 간결함은 곧 함축성을 뜻하는 것으로 허영자의 경우, 행의 길이가 짧을뿐더러 작품 전체의 길이까지도 짧다. 이 작품도 일체의 군말을 배제한 표현의 절제를 통해 고도의 압축미를 보여 준다. 시인은 전통적 서정을 주조로 하여 사랑과 기다림, 한과 고독의 본질적인 인간 내면을 이와 같은 절제의 압축미를 통하여 표상하고 있다.
[작가소개]
허영자(許英子)
1938년 경상남도 함양 출생
숙명여자대학교 국문과 졸업
1962년 『현대문학』에 시 「도정연가(道程戀歌)」 등이 추천되어 등단
1963년 우리 시문학사상 최초의 여성 동인회 ‘청미회’를 조직하여 동인지 『돌과 사랑』발간
1972년 제4회 한국시인협회상 수상
1986년 제20회 월탄문학상 수상
1992년 제2회 편운문학상 수상
성신여자대학교 국문과 교수 역임
시집 : 『가슴엔 듯 눈엔 듯』(1966), 『친전(親展)』(1971), 『어여쁨이야 어찌 꽃뿐이라』(1977), 『빈 들판을 걸어가면』(1984), 『내 작은 사랑은』(1986), 『꽃 피는 날』(1987), 『이별하는 길머리엔』(1987), 『말의 향기』(1988), 『시가 있는 수요일』(1989), 『조용한 슬픔』(1990), 『아름다움을 위하여』(1991), 『기타를 치는 집시의 노래』(1995), 『무지개를 사랑한 걸 후회하지 말자』(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