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얼굴에 기미낄 구(耇)자는 의부(義符)로 늙을 로(老)자에 성부(聲符)로 글귀 구(句)자를 했습니다. 글귀 구(句)자는 말을 표시하는 입 구(口)자를 싸안는 쌀 포(勹)자를 해서 말을 보충하는 것이 글이라는 뜻을 표시했습니다. 공간적 시간적 제약을 받는 말의 단점을 보완한 것이 글입니다.
耇
늙을 구(耈,耉)자는 의부(義符)로 늙을 로(老)자에 성부(聲符)로 글귀 구(句)자를 했습니다. 늙을 구(耈)자는 늙을 로(老)자 아래에 글귀 구(句)자를 했고, 늙을 구(耉)자는 상고할 고(考)자에 입 구(口)자를 했습니다. 두 글자가 뜻은 같지만 글자는 다르게 씁니다. 읽기는 글귀 구(句)자나 입 구(口)자가 들어 있어서 모두 ‘구’로 읽습니다.
+ = 耈
팔십 늙은이 질(耊,耋)자는 의부(義符)로 늙을 로(老)자에 성부(聲符)로 이를 지(至)자를 했습니다. 이를 지(至)자는 공중을 날던 새가 땅으로 내려와 새의 둥지로 날아오는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글자입니다. 막을 질(窒), 조카 질(姪), 차꼬 질(桎), 거머리 질(蛭), 어리석을 질(侄), 막을 질(厔), 깨물 질(咥)자들은 이를 지(至)자가 들어 있어서 ‘질’로 읽습니다.
耊
늙을 혼(䎜)자는 늙을 로(老)자를 좌우(左右)로 두 개 나란히 해서 늙은이가 둘임을 나타냈습니다.
+ = 䎜
날아오를 저(䎝)자는 날아오를 저(翥)자와 같은 글자입니다. 여기서 날아오를 저(䎝)자는 날아오를 저(翥)자의 모사(模寫)입니다. 글자를 ‘저’로 읽기 때문에 날아오를 저(翥)자를 기준 글자로 보아야 합니다. 날아오를 저(翥)자는 의부(義符)로 깃 우(羽)자에 성부(聲符)로 놈 자(者)자를 했습니다. 놈 자(者)자는 늙을 로(耂)자 아래에 가로 왈(曰)자를 했습니다. 여기서는 늙을 로(耂)자가 늙었다는 뜻으로 털을 그린 글자가 아니라, 쌀 미(米)자의 변형입니다. 쌀 미(米)자의 모사(模寫)로 늙을 로(老)자를 슨 것입니다. 가로 왈(曰)자는 입을 뜻하는 글자로 생명을 말합니다. 놈 자(者)자는 쌀을 먹는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분명할 저(著), 돼지 저(猪), 솜옷 저(禇), 닥나무 저(楮), 물가 저(渚)자들은 놈 자(者)자가 들어 있어서 ‘저’로 읽습니다.
+ = 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