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리케이션명 | 특징 |
KEEP | - 2015년 2월에 시작해 1억 명 이상의 유저를 보유한 중국 최대 모바일 피트니스 APP |
daily yoga | - 216개국에 진출했으며 유저 4000만 명을 돌파한 전 세계 다운로드 횟수 1위 요가 APP |
훠라젠션 (HOTBODY) | - 2014년 11월에 시작해 4000만 명 이상의 유저를 보유한 헬스 전문 APP |
자료원: 바이두 및 각 APP 홈페이지
ㅇ 홈 트레이닝 제품
제품 | 특징 | 사진 |
Li-Ning 요가복 | - 중국 스포츠 의류 및 액세서리 브랜드인 Li-Ning에서 출시한 여성 요가복 | |
YIJIAN 다기능 트레드밀 | - 스마트 체중 기능을 통한 체중변화를 핸드폰에 기록할 수 있으며 신체 컨디션에 따른 1:1피드백 제공 | |
YOOZI 다기능 스마트아령 | - 진동기능, 블루투스 전화 및 스피커가 탑재된 다기능 스마트 아령 | |
MIKE 전동 폼 롤러 | - 자신의 몸무게를 이용해 뭉친 근육을 풀어주고 혈액순환을 돕는 마사지 도구 | |
JOINFIT 요가밴드 | - 요가, 필라테스, 스트레칭 및 근력운동 등 각종 운동에 활용 가능한 요가밴드 | |
ADKING 싯업보드 | - 싯업을 비롯한 푸쉬업, 시저킥, 레그레이즈, 스트레칭, 로프 운동 등이 가능한 가정용 멀티 헬스 기구 | |
자료원: 바이두 및 각 기업 홈페이지
ㅇ 고성능 수입 홈 트레이닝 제품
제품명 | 특징 | 사진 |
VHOOP | - IoT를 적용한 세계 최초 스마트 훌라후프 | |
Move It | - AB휠, 줄넘기, 푸시업 스탠드, 저항밴드 로 구성돼 있는 종합 운동 기구 | |
버치 바이크 | - 날씨와 계절, 공간의 제약 없이 실내에서도 야외 라이딩의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는 가상현실 사이클 머신 | |
자료원: 바이두 및 각 기업 홈페이지
□ 인터뷰
ㅇ 톈진 최대 규모의 종합 스포츠 D 매장 직원 인터뷰 자료원: KOTRA 톈진 무역관 촬영 Q2. 주로 실내 헬스용품을 구매하는 소비층은? Q3. 매장 내 판매하는 제품의 주요 수입국은 어디이며, 수입 제품 구매 형태는? |
□ 시사점
ㅇ 최근 중국 1인 가구 급증 및 발전 추세로 솔로이코노미 시장이 확대될 전망임.
- 20~30대의 가치관 변화, 평균 수명 연장 등 이유로 중국 1인 가구는 2004년 7.8%에서 2016년 14.9%로 급증했으며 그 인구 수는 2억4000명에 달함.
- 1인 가구 중 화이트칼라의 중산층이 주요 소비군에 해당하며 이들은 일과 생활의 균형(Work and Life Balance)을 추구하고 가정에 대한 부담이 적어 소비력이 높음.
- 중국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은 1인 가구를 겨냥한 홈 트레이닝, 간편식 등 독신경제 시장에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ㅇ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운동 수요가 증가하면서 실내헬스기기 및 의류 시장은 중국의 유망산업으로 떠오르고 있음.
- 현재 중국 헬스시장은 관련 수요가 급격히 성장하는 것에 비해 피트니스시장을 선도하는 브랜드의 집중도는 낮은 상태
- 중국 산업정보망에 따르면, 중국 실외헬스기기시장은 이미 성숙기에 접어들었으며 품질에 대한 요구가 높으나 실내헬스기기시장은 최근 떠오르기 시작해 향후 성장 잠재력이 상대적으로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음.
-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중국 애슬레저시장은 2015년 253억 달러 규모에서 2020년 431억 달러로 커지며 명품시장 수요를 앞지를 전망
ㅇ 우리 기업 디자인 및 기능에 주력한 제품을 고안해야 함.
- 수요대비 기술 수준은 아직 높지 않은 바, 우리기업은 친환경 소재 등을 사용한 사용자 중심의 정교한 설계와 한국 뷰티 아이템과 연계한 차별적인 디자인으로 중국 시장을 공략해야 함. 현재 중국 시장에는 보편화되지 않았으나 향후 유망 품목으로 개인용 스마트 짐, 스쿼트 기구 등이 있음.
- 위치, 걸음 수 등 단순 데이터를 넘어 혈당, 체내 수분 등 운동 및 건강 관련 데이터 기술이 발전하며 IoT 및 인공지능 기술을 결합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수요 또한 높아질 전망
- 온라인 마케팅 보편화를 고려, SNS 헬스분야에 다수의 팔로워와 영향력을 지니고 있는 헬스스타를 통한 방식도 적극 활용 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바이두, iResearch, 이관 빅데이터, KITA, 수투연구원, 유로모니터(Euromonitor) 및 KOTRA 톈진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