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역 7개 시내버스 노조가 올해 단체교섭에서 난항을 겪자 오는 11일 전면파업을 예고해 시민들의 불편이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10일 울산지방노동위원에서 열리는 마지막 조정회의에서 접점을 찾지 못할시 파국은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울산지역에는 한국노총 산하 울산여객, 남성여객, 유진버스, 대우여객 등 4개 노조와 민주노총 산하 학성버스 노조, 상급 노동단체가 없는 기업노조인 한성교통과 신도여객 등 모두 7개 시내버스 노조가 있다.
전국자동차노조연맹 울산지역조합은 지난 7일 지역 7개 시내버스 노조가 11일 오전 4시 첫 차부터 전면파업에 돌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들 노조는 지난 3월부터 각 회사별로 교섭을 진행했으나 접점을 찾지 못하고 지난달 15일 교섭 결렬을 선언했다.
앞서 지난달 8일 신도여객 노조가 조합원 찬반투표를 통해 파업을 가결한 데 이어 나머지 6개 노조도 같은달 23일 찬반투표에서 83.4%의 찬성으로 파업을 가결한 상태다.
이들 노조는 10일 울산지노위가 조정중지 결정을 내리면 다음날부터 전면파업에 돌입할 것을 결의했다.
울산지역 시내버스 회사들은 만성적인 적자가 이어져 노조의 요구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지역 7개 시내버스 노조가 동시에 전면 파업을 벌이면 총 730대의 버스가 멈춰서면서 하루 평균 승객 27만여명의 발이 묶이게 된다.
더욱이 울산지역에는 지하철이 없어 시내버스 운행 중단에 따른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들에게 전가된다.
이에 울산시는 시내버스 전면파업에 대비해 비상 수송버스 115대를 확보하는 한편 파업이 끝날 때까지 개인택시부제와 승용차 요일제를 전면 해제할 방침이다.
한 시내버스 회사 관계자는 "승객이 갈수록 줄어드는데다 압축천연가스(CNG) 가격 인상, 도심 외곽노선 추가 등으로 인해 해마다 적자가 누적되고 있다"며 "한 버스회사는 CNG 연료비를 감당 못해 일부 버스 운행을 중단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전국자동차노련 관계자는 "지난 6일 추가 교섭을 진행했으나 사측이 임금인상, 정년연장, 퇴직금 적립 등 노조의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 최종 결렬됐다"며 "회사측의 무성의한 교섭 태도 때문에 더 이상은 기다릴 수 없다고 판단해 전면파업 방침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