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불만제로'의 약국 불법영업행위 보도에 전국 약국가가 충격에 휩싸이자 대한약사회가 카운터 신고 대응책을 내놓는 등 진화에 고심하는 모습이다.
하지만, 대한약사회가 제시한 일련의 조치들이 보도 이전과 크게 달라진 부분이 없고, 이 정도 수준의 대응책은 보도 이전에도 충분히 제시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안일한 대처라는 비판이 섞여 나온다.
이같은 비판은 MBC가 약국에서 구입한 약 부작용이나 약값관련 피해사례 등 약국을 겨냥한 후속 취재를 준비하고 있다는 상황과 맞물려 약사회의 발빠른 대응을 요구하는 목소리로 번지고 있다.
약사회는 불만제로 보도 이후 대한약사회 홈페이지와 전화 등을 통해 기존에 운영해 오던 '약사 신문고'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카운터 신고란을 신설해 일반인들도 별도의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제보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
또, 약사회는 각 급 약사회와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무자격자 의약품 판매 및 조제행위에 대한 문제를 지적하는 홍보 활동을 벌일 예정이다.
구체적인 신고센터 강화 방안을 묻는 데일리팜의 질문에는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약사회는 밝혔다.
이처럼 대한약사회가 이 문제에 대해 소극적인 움직임을 보이는 것은 약사회장 직무대행 체제라는 한계가 있는데다, 담당 이사들이 18대 국회 개원을 앞두고 약사회와 관련해 처리해야 할 업무가 쏟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9일 오전에는 한나라당 민생특위가 마련한 의약품 안전 사용을 위한 행사에 담당 이사들이 모두 참석해 대책회의가 무산되기도 했다.
한나라당 민생특위는 원희목 전 회장이 국민건강안전분과 위원장으로 활동하는 부서이기도 하다.
약사회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논의를 해야 하는 것은 맞다"면서도 "구체적인 대응책을 말하기는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다른 약사회 관계자는 "그동안 약사사회의 곪은 상처가 한꺼번에 터져나온 것"이라며 "대한약사회 차원의 대응책도 중요하지만 일선 약국가의 자정결의와 양심선언이 전제될 때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와 관련, 서울의 한 약사는 "긴급회의라도 열어 약사들과 약국에 대한 이미지 타격을 최소화시켜야 할 상황임에도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고 있는 약사회가 답답하다"고 토로했다.